창원시 시내버스



동남권 대중교통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 글로벌캐쉬 / 센스패스
철도부산 도시철도
버스부산 시내버스부산 마을버스울산 시내/마을버스
창원 시내/마을버스김해 시내버스양산 시내/마을버스
거제 시내버스통영 시내버스함안 농어촌버스
창녕 농어촌버스고성 농어촌버스경주 시내버스
공항김해국제공항울산공항
관련 기업부산교통공사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한국철도공사
창원 - 김해간 버스
창원시 시내버스김해시 시내버스
3545115859
1701719798
시외버스
김해-마산 (완행)김해-마산 (고속)김해-창원김해-진해장유-마산장유-창원
경상남도시내/농어촌버스 회사
창원시동양교통대운교통창원버스
신흥여객신양여객마창여객
마인버스제일교통대중교통
동아여객진해여객함안군동일고속
진주시부산교통부일교통함양군함양지리산고속
시민버스삼성교통밀양시밀양교통
양산시(주)세원푸른교통남해군남흥여객
사천시삼포교통거창고속하동군하동버스
통영시통영교통신흥여객고성군고성버스
거제시삼화여객세일교통산청군산청교통
거창군서흥여객경전여객김해시가야IBS
합천군동부교통
의령군김해BUS
창녕군영신버스
파일:/image/003/2011/09/26/NISI20110926 0005201535 web 2 20110926174711.jpg

창원시내버스 표준도색(좌석/급행).현대차에 NGV가 적힌 건 넘어가자[1]

파일:/image/003/2011/09/26/NISI20110926 0005201536 web.jpg
창원시내버스 표준도색(간선).[2]

파일:/image/003/2011/09/26/NISI20110926 0005201537 web 0 20110926174711.jpg
창원시내버스 표준도색(지선/맞춤/공영).

Masan_Changwon_Jinhae_City_Bus_77-1.jpg
보라, 저 대중교통의 위엄을![3]

파일:L20160307.22005184134i1.jpg
성주공영차고지의 시내버스들 사진출처

1 개요

창원시 시내버스는 창원시내를 운행하는 시내/마을버스를 담당하고 있다.

창원시 시내버스는 마산(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창원(성산구, 의창구), 진해(진해구)이 통합하기 훨씬 옛날인 1977년 마창시내버스협의회의 출범과 함께 세 지역의 운수업체들이 공동배차를 실시하고 있었다.[4] 07년부터 통합 전까지 마산지선 및 읍면 노선에 한해 마산시에서 준공영제를 시행했었으나, 통합 후에는 폐지되었다. 대체로 지선 및 읍면노선은 1달 간격 순환배차, 간선 및 좌석노선은 공동배차를 하는 것이 일반적[5]이나, 몇몇 노선에 한해서는 단독배차이거나 공동배차를 하더라도 고정배차를 하고 있다.

창원시내버스협의회(옛 마산, 창원지역 업체) 소속의 마인버스, 신양여객, 마창여객, 제일교통, 대중교통, 창원버스, 대운교통, 동양교통과 진해시의 진해여객을 비롯한 3개사와 신흥여객이 운행하고 있다.

마을버스는 창원마을버스와 진해공영버스가 운행중이며, 창원시와 함안군을 연결하는 함안 농어촌 버스는 함안군 소속의 동일익스프레스가 운행중이다. 그 외에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김해시 시내버스가 관내 지역으로 운행한다.

2 업체

본 문단에서 ‘운영 노선’은 회사가 단독으로 운행하는 노선만 수록하였다.

2.1 시내버스 업체

상호명사무소 소재지운영 노선
간선지선읍면
창원마산진해10/3020/4050~80
대중교통마산합포구 현동로 252 (덕동동)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제일교통
대운교통성산구 불모산로 48번길 5(불모산동)
동양교통
창원버스
신흥여객마산회원구 3·15대로 756 (합성동)
진해여객진해구 속천로23번길 6 (태평동)
동아여객진해구 태평로34번길 17 (인의동)

2.2 마을버스/공영버스 업체

상호명사무소 소재지운영 노선
진해마을버스진해구 충장로 추가바람350, 351, 352, 353
창원마을버스의창구 동읍 화양리 5-11, 2, 7, 8

3 차량

2014년 기준 751대가 시에 등록되어 있다. 현대자동차, 대우버스 차량 위주로 운행하며, 한국화이바에서 제작한 프리머스도 극소수 존재한다.[6] 2006년 전국 최초로 저상버스 전용 노선122번 신설 이후로 저상버스의 비중이 꽤 높아졌으며[7], 저상버스 전용 노선만 9개[8]에 달한다.
도색은 기본적으로 경상남도 표준 도색을 적용했었으며, 일부 차량(주로 디젤차량)에서 통합 이전 자체 도색인 "Young City"(창원, 연두색 떡칠), "Dream Bay Masan"(마산)[9]을 볼 수 있다. 경남 디젤차량 표준도색도 소수 존재하는데, 일반 도색(남색바탕에 노란 글씨)는 진해구 지역에서만 소수 볼 수 있으며, 좌석 도색(빨간바탕에 하얀 글씨)는 폐차 직전의 예비차량에서나 볼 수 있다.[10]

2011년 9월 현재 새로 도입하는 차량부터 신 도색이 적용되고 있으며, 간선은 파란색, 지선/공영/마을버스는 연두색, 좌석버스는 주황색이다. 창원시 로고에서 따온 색상인듯. 아직 고정 배차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사실 고정 배차해도 3분요리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천연가스버스 차량에 부착되는 로고와 문구는 기존 차량의 재도색 과정에서 전부 덮어버려서 이 차량들의 경우 작게 "NGV 천연가스버스"로 표기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물론 신차로 뽑아오는 차량의 경우 타지와 똑같이 기본적으로 붙여나오는 로고가 붙어있다. 그리고 상호를 차량 뒤에도 부착함에 따라 차량 전후좌우 모두 상호명이 부착된다.(...)

여담으로 2011년 9월 부터 도입되는 신도색은 무려 특허청에 정식으로 등록된 특허받은 디자인이다!!
색상간선좌석지선, 읍면
출원번호302011004959830201100495993020110049600
등록번호300695676000030069567600023006956760001
출원인 : 창원시, 창작자 : 최용균

무려 아직까지도 AC540이 살아계신 곳이기도 하다. 동양교통에서 3대 예비차로 운용중이다. 결국 2011년 7월에 남은 3대도 모두 대차됨으로써 AC540은 전멸. 애초에 창원이 차 오래 굴리기로 소문난지라 마인버스에서 SAC를 2016년 1월까지 굴려 전국 시내버스로 마지막까지 SAC를 굴린 곳이기도 하다.[11]

몇몇 업체의 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저상 차량에서 하차벨 소리가 프리머스 특유의 그것과 같다. 2010년 후기형부터 기본옵션

2012년 3월에 있을 노선개편에서 간선급행노선인 800번대 등급이 신설되면서, 이 노선에 고급좌석버스가 투입 되었다. 대운교통, 마인버스, 대중교통, 제일교통, 창원버스, 마창여객에서 현대 유니버스 총 7대를 출고했고 대중교통은 추가로 FX116을 1대 더 출고했다. 그런데 860번에서는 항상 보이는데 800번, 801번에서는 전혀 안 보인다(...) 그냥 860번만 투입된다고 하지 860번이 감차크리를 당하면서 감차분에 해당하는 고급좌석버스들이 다른 노선에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급행노선뿐 아니라 거의 모든 좌석노선에 해당된다.

2012년 중반부터 창원시에서 노후차량에 대한 조기 대폐차를 지시하면서, 각 운수업체에서 전면적으로 대차를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회사는 현대버스로 출고하고 있으며, 동양교통New BS106을 출고했다.[12] 심지어 예전부터 대우 차량의 선호도가 높던 대중교통, 제일교통 역시 현대 차량으로 서서히 돌아서고 있다. 행당역 BS106 가스폭발 사고는 임팩트가 컸다. 2012년 New BS 출시 이후로 대우차만 신차출고하여 창원에서 유일하게 New BS 유로6 차량을 보유중인 동양교통마저 2015년 10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유로6 디젤 차량을 출고하였다.

4 요금

현재의 요금은 2015년 8월 1일부로 적용되고 있다. 경남도 공통으로 적용되며, 성인요금 기준으로 좌석 노선은 항상 일반 노선의 +500원을 유지하고 있다.

분류현금(원)카드(원)
좌석성인18001750
청소년/어린이13501300
일반[13]성인13001250
청소년900850
어린이650600
창원마을
진해마을
성인12001150
청소년850800
어린이600550

4.1 요금 부과 체계

구간에 상관없이 일회성 요금을 받고 있으며, 환승의 경우 카드가 하차 단말기에 인식된 이후로 25분(읍면 노선 40분)이내에 다른 노선(농어촌/부산광역시, 김해시 노선 제외)에 탑승할 경우 무료환승이 되며, 1회만 적용된다. 후행 버스가 좌석/급행이면 500원이 추가 과금된다.[14] 시계외로 나가더라도 시계외요금이 없는 지역으로, 과거에는 진영행 노선(35, 45번)에서 시계외요금을 거둬들였으나, 2007년 마산시에서 준공영제를 시행할때 사라졌다.

더 먼 과거, 80년대 정도까지는 마산-창원 간에도 구간요금을 받았다. 웃긴 점은 시외전화에 칼같이 시외요금 매기던 시절인데 마산-창원은 0551로 동일 통화권이라 시내요금이었다는 점. 전화요금이 시내인데 버스요금이 시외였다는 점이 의외다.

아, 그리고 마이비더라도 김해포유카드는 무료환승을 할 수 없다.[15]

2011년 12월 30일부터[16], 전 차량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여 하차 태그 후 25분(읍면노선 40분) 이내 탑승시 환승을 인정하는 것으로 환승 정책이 바뀌었다. 기준은 나중에 탑승하는 차량이다.
ex)108번에서 73번으로 환승시->40분 적용. 73번에서 108번으로 환승시->25분 적용.

그리고 김해시, 부산광역시, 양산시와 협의하여 네 지역간의 환승을 가능케 할 예정이라고 한다. 근데 김해포유카드는 막혀 있잖아? 안 될 거야 아마 캐시비는?

바뀐 환승 체제에 대해서 말이 많은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너무 짧은 환승 시간. 읍면노선과 몇몇 지선노선을 제외하면 환승시간이 하차 후 25분인데, 문제는 배차간격이 25분을 넘는 노선이 상당수 있다는 것. 또한 읍면노선의 40분도 현재 대다수의 읍면노선의 배차간격을 생각하면 너무 짧다는 의견이 다수. 또 시 권역이 넓은데도 환승 횟수가 1회라는 것도 문제다. [17] 하루 빨리 거리 비례제로 바뀌어야 한다. 그런데 안 될 거야 아마

4.2 통용되는 교통카드

2010년 12월부터 통용되는 교통카드가 대폭 늘었다. 그러나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서 통용되는 센스패스대구권에서 통용되고 김해시 시내버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탑패스는 안 된다.

4.3 요금자동집계기

400px
위에 보이는 노란 상자.

2007년 초에 시범 운용된 뒤, 통합 이전 창원시 운수업체에 조금씩 설치되다가 통합 이후 설치 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주로 노선전담제로 운행되는 차량에 설치된다. 설치 차량은 요금자동집계기를 설치했다는 스티커를 차량 측면에 부착한다.

문제는 위폐감식장치 인식률이 병맛이라서 위폐감식장치를 막아 버리고 다른 투입구로 지폐를 투입하기도 한다. 이걸 보면 승객이나 기사나 회사나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구관이 명관 창원대학교가 기점인 김해행 노선을 타보면 김해버스 기사분들이 이게 부럽다고 하신다.

5 노선 번호 체계

현재의 노선 번호 체계는 2005년 6월 20일부터 시행된 버스노선 전면 개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당시의 노선체계는 간선일반(1XX), 직행좌석(7XX), 지선(2XX), 읍면(XX)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이후 2007년 맞춤노선(5XX) 등급이 신설되었고, 2010년 마창진 통합으로 인해 그동안 마산/창원과 별개로 100번대를 사용해 왔던 진해지역 노선들이 300번대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2년 3월 9일 개편에 의해 광역급행(8XX)등급이 신설되었다.

  • 마산 남부/동부/서부 지역은 각각 신시가지/구시가지/내서 신도시를 가리킴
광역급행(8XX)간선(1XX)지선(2XX,3XX)
창원-마산 남부800번대창원-마산 남부100번대창원 지역210번대
마산-진해860번대창원-마산 서부110번대220번대
직행좌석(7XX)창원-진해150번대내서읍 순환240번대
창원-마산 남부700번대마산-진해160번대마산 남부-마산 서부250번대
창원-마산 서부710번대창원-장유170번대마산 남부-마산 동부[19]260번대
창원-진해750번대마산 순환270번대
마산-진해760번대진해 지역300번대
310번대
읍면 지역(XX)맞춤 노선(5XX)
북면-창원10번대창곡/차룡단지 공단셔틀노선500번대
북면-마산20번대마산 자유무역지역 순환노선530번대[20]
동읍/대산/북면/진영-창원30번대주말맞춤노선550번대
동읍/대산/북면/진영-마산40번대마을/공영 노선
내서읍 방면50번대창원마을버스0번대
구산면 방면60번대진해공영버스350번대
진동/진북/진전 방면70번대
진동-내서-창원80번대
  • 122번은 창원-마산 남부지역간 저상버스 노선
  • 1000번은 원래 260번대인 264번에 지정되었어야하나 어쩌다보니 이렇게 됨
  • 2015년 3월 20일부터 6월 19일까지 3개월 동안 주남저수지~성산구를 지나는 3000번이 시범운행하였다.

기종점이 같은 노선이 많다. 창원시의 노선은 구 마산, 내서읍, 구 창원, 구 진해 중 두 권역을 잇는 형태가 많은데, 이 권역들의 시가지가 대부분 길게 늘어진 형태가 많기 때문. 마산지역은 월영A/해운중/경남대, 내서읍은 마산대/안계초교/평성종점, 창원지역은 대방동/성주동(청솔A), 진해지역은 인의동(속천)/장천동으로 모이는 노선이 많다. 이를테면 마산과 창원을 잇는 100번대 간선노선의 경우 마산쪽 종점은 100, 106번이 해운중, 나머지 노선은 모두 월영아파트이며, 창원쪽 종점은 102(불모산동), 107(프리빌리지2차)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대방동종점이다.

2012년 1월에 노선 조정이 있다고 했었다. 주요 골자는 간선광역급행 등급인 800번대 신설, 유사노선 통폐합, 차량 증차를 통한 배차간격 감소. 하지만 코레일 타임2월이 다 지나가도록 감감무소식이다가, 3월 9일부터 개편되었다. #시청 공지문

5.1 2005년 이전

2005년 이전까지는 일반 버스는 두자릿수(XX)번호, 좌석 버스는 300번대(3XX) 번호를 사용했다. 노선이 생성된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되어 규칙 없이 무질서하게 번호가 나열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변종노선이 많아 21번의 경우 21-9번까지도 존재했다.

개편전 노선의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문서를 참조.

6 환승센터

2005년 노선 대 개편과 함께 읍면 환승센터가 진동과 수정(구산면)에 설치되었다. 시내와 읍면을 있는 노선은 여기를 종점으로 하고, 읍면만 도는 노선은 이곳을 시점으로 삼았다. 하차단말기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읍면환승센터에서 환승할 경우 2시간 이내로 인정해 주었다.

2012년 노선 개편과 함께 의창구에 의창동 환승센터와 마산회원구에 삼각지 환승센터(2단계)가 생겨 거의 모든 버스를 한 곳에서 환승할 수 있게끔 할 예정이다. 하지만..

의창동환승센터의 경우, 읍면노선(특히 마산으로 가는 노선)을 모두 이곳으로 오도록 억지로 만들다 보니
탁상행정차 돌려!읍면따윈 장식입니다높으신 분들은 몰라요 세번째, 네번째 답변을 잘 비교해 보자. 어째 담당자의 답변이 복붙처럼 보인다면 기분 탓이다(...) 불만사항이 폭증하고 있다. 승객이 버스 기사에게 차를 돌리라고 항의하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결국 2012년 3월 26일, 기존대로 환원되었다.#

삼각지공원환승센터의 경우에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곳을 기점으로 하던 29번, 49번은 2012년 8월부터 마산역광장으로 기점이 변경되었으며 여기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시청에서도 포기한 듯

때문에 2015년 현재는 사실상 진동환승센터만이 제 기능을 하고 있다. 진동과 시내를 잇는 70/71번의 기종점, 그리고 진동에서 각 삼진면 지역을 잇는 7X-1번의 기종점으로 유일하게 환승 휴게시설이 갖춰져 있다.[21] 가건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2013년 즈음에 전면 개보수를 거쳐 지금은 매우 깔끔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7 편의 시설

창원시의 PO현질WER 덕에 일찍부터 LED행선판과 BIS가 보급된 축에 속한다. 그리고 2012년 현재 이러한 편의시설들은 마을버스들에도 상당수 적용되고 있다.[22]

7.1 교통카드 단말기

450px-Mybi_1.jpg
초기 설치형(KEBT).

파일:Changwon bus new mybi.jpg
2009년 도입된 신형.

2002년에 마이비교통카드로 도입되었고, 2005년 노선 대 개편을 거치며 환승제도가 마련되었다. 2010년 12월에는 지원 교통카드 확대로 이비카드에서 만든 캐시비 단말기가 각 버스에 설치되었다.

교통카드 인식 멘트가 일반/청소년/소인 순으로 "안녕하십니까/반갑습니다/어서오세요"[23]이다. 하차 단말기 인식 멘트는 "하차입니다". 신형 단말기 도입 초기에는 청소년 카드 인식시 "청소년입니다"라고 하는 단말기가 종종 있었다.

교통카드 지원 확대로 교통카드 단말기가 이비카드의 단말기로 교체되면서 카드 인식 오류가 미친듯이 많아졌다.(인식 도중에 조금이라도 삐끗하면 오류난다. 3연속 오류는 애들 장난이다(...))

본래는 승차 후 1시간 이내의 방식으로 환승했지만이듬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개편하면서 이 환승 방식을 따라한다 2011년 11월 중순대구광역시보다는 늦네부터 하차 단말기가 설치되기 시작했다.(카운티 제외. 카운티는 승차 단말기가 하차 단말기를 겸한다. 단 전, 중비형 카운티는 승, 하차단말기 설치) 용도는 환승을 위한 하차시간 체크.

2016년 10월 27일 기준으로 현재 교통카드단말기를 부산, 양산에서 사용하는 삼원FA 신형으로 교체작업중이다. 이와 동시에 복사하차단말기가 설치중에 있다.

7.2 LED 표시기

전방 LED 행선지 표시기는 2005년 말에 보급이 시작되어, 2006년에 보급이 거의 완료된다. 2011년 현재는 마을버스에 운용되는 카운티에까지 모두 달려 있다. 현질의 위엄
표출방식은 2012년 3월 9일부터 시행된 노선 대개편으로 바뀌어 대전과 비슷한 형식을 띄고 있으며 영어표기와 지자체명은 삭제되었고, 고급좌석버스는 2피스형식을 채택했다.

2010년 마산/진해 업체에 전광판을 공급하던 업체가 부도크리 맞아서 공급업체를 싸인텔레콤(기존 창원업체)으로 공급하는 업체로 바꾸면서 마산과 진해소속 차량의 표기방식이 대전과 비슷하게 바뀐적이 있는데, 얼마 가지 않아 도로 원래대로 변경되었다.[24] 이때의 문구는 통합 창원시의 슬로건인 함께하는 창원 함께여는 미래.

한편 현재 후면 LED도 사용중이다. 별건 아니고 단순히 노선번호만 표시하는 것으로, 현재 카운티와 화재대차차량 포함 전차량 설치가 되어있다... 그런데 농담아니고 진짜로 뒤쪽에서 보면 베이징 시내를 달리는 노선버스(트롤리버스는 제외)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닮았다. 위치까지 똑같은지라 2015년 9월 중순부터 창원지역 3개사를 시작으로 현재 진주시와 동일한 후면LED로 변경중이다. 2012년 2월 말경부터 몇몇 저상버스에서 버스 내부 LED 행선지 안내가 이뤄지고 있다. 표기 방식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비슷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제 프리머스[25]와 일부 뉴슈퍼에어로차량의 내부 LED는 잉여 탈피. 하지만 대운교통 증차분은 다시 설치해야 된다는....

창원시 대중교통과는 다 코레일에서 스카웃한 모양이다. 식지 않는 LED 사랑

7.3 차내 안내 방송

마이비 이전, 그러니까 1990년대 초반부터 "세대기업사"의 수동방송이 존재했다. 특징은 앞문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방식으로 정류장을 지나가면 앞문을 열었다 닫는 행동을 운행사원이 반복하였다. 안내멘트는 "(딩동댕;조금 둔탁하게) 이번 정차할 곳은 ㅇㅇㅇ 정류솝니다. 다음은 ㅇㅇㅇ 정류솝니다"였다. 나름대로 IC칩 방송이라 최첨단(?)을 달렸으나 수동으로 문을 여닫아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방식이었다. 또한 회차지에서는 "이번 정류소는 이 차의 회차지점인 ㅇㅇㅇ 정류솝니다" 라고 했는데 "이 차의 회차지점인" 부분이 약간 하이톤에 빠른 목소리였다.

마이비 도입 때부터 자동안내방송이 시작되었다. 육성 녹음 방식이었으며, 2005년 노선 개편 때도 이 방식이 유지되었다. 문제는 변경된 사항을 TTS로 녹음했다는 것.[26] 때문에 육성과 기계음이 섞여서 방송되는 경우가 잦았고, 결국 교통카드 단말기 교체에 맞춰 TTS로 통일시켰다. TTS 전면 도입 초기에는 종점도 아닌 곳에서 종점 방송을 하는 경우가 잦았다.[27]

옛 창원시가 2008 람사 총회를 개최하면서, 주요 간선 노선의 주요 정류장[28]을 영어로 안내하기 시작했다. 도입 당시만 하더라도 KEBT제 단말기 체계에서 성우가 직접 녹음한 안내방송에다 다음 정류장 안내까지 존재했었지만, 2010년 12월 EB제 단말기로 전면 교체 이후로는 이번 정류장 안내만 짤막하게 말해준다. (ex. This stop is Fish Market(어시장)) 다음 정류장 같은 건 안 가르쳐 준다. 이뭐병 거기다가 영어 안내방송 마저 TTS를 그대로 사용해버리는 바람에 가장 중요한 발음도 개판이 되어버렸다. 버스 동호인계에서 문제가 되었었던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방식의 안내를 그대로 답습한 모양새. 리 스테이션이라던가, 스테이션이라던가

7.4 버스정보시스템(BIS)

290px
천장식 설치형(1차)스탠드형(1차)[29]
290px
LED식 표시기[30]2012년형 신형 단말기

구 마산시 지역은 천장식 설치형을 죽 늘리고 땅에 박은(?) 기둥형태가 대다수다. 노선검색 등등의 각종 시민편의형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만, 터치 인식률이 심히 골룸하여[31] 대부분의 시민들은 호기심+필요성으로 손댔다가 짜증내며 관두는 일이 다반사(...) 결국 2011년 11월 중순부터 제거하고 있다. 일부 정류장의 경우 해당부분이 교통카드 잔액확인기로 교체되었는 데, 선불 마이비 카드만 사용이 가능하며 경남은행 제휴 마이비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왜 단거야? 마이비카드만 되고...

통합 이전인 06년부터 공동으로 시내버스를 운영해온 마창 지역에는 정류장에 설치된 LCD 표시기나 LED 전광판, 인터넷을 통해서 BIS가 제공되고 있었다. 하지만 진해 지역 지선의 노선번호가 100번대로 중복되는 번호가 있어서 진해지역은 BIS 통합이 지연되다가[32], 통합 이후 진해 지선의 노선번호를 300번대로 옮기면서 진해 지역에도 BIS가 확대되어 LCD 표시기가 설치되었다. 진해 지역 이외에도 창원시의 PO현질WER로 마산 지역에도 대거 추가 설치[33] 되는데, 시점인 경남대학교에도 설치되었다. 그리고 옛 BIS 표시기에 새겨진 마산시 로고를 지우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2012년 하반기에 창원시에서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을 완전히 뒤엎어버리고 새로 시스템을 구축했는 데, 이때문에 이런 저런 문제가 많다. 구형 표시기는 새로운 UI를 감당하지 못 하고, 스마트폰 어플과 WAP 페이지는 완전 먹통이 되어버렸다. 이 모든 것이 정상화 되려면 10월 중순은 되어야 한다고. 이에 맞춰 신형 단말기가 나왔다. 3번째다, 3번째. 흠좀무 좀 더 커진 화면에 설치된 교통카드 잔액확인기는 선불교통카드[34]와 후불교통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2013년부터는 주요 정류장에 설치된 1차, 2차 천장형 설치형과 스탠드 설치형의 본체는 그대로 둔 채, LCD디스플레이를 2배 정도 큰 사이즈로 교체를 한 곳이 많다.

2014년에는 노후화 단말기 교체대상으로 3차 신형스탠드 단말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디자인의 단말기가 설치되었다. 해당 단말기는 나눔고딕을 사용한다. 그리고 1차, 2차 설치 단말기의 폰트도 나눔고딕으로 변경된 곳이 늘어나고 있다.

2016년에는 초기설치분의 액정교체분이 다른 디자인이 도입되고 있다.
추가바람

모바일에서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 공식 어플이 제공되고 있지만, 안드로이드에서는 'Lee Jun'이라는 개인이 개발한 '창원 버스'가 더 편하고 많이 쓰이는 거 같다.

창원시 버스정보시스템

7.5 차내 와이파이

2012년 3월부터 편의시설로 차내에 올레 와이파이가 설치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T 와이파이가 설치된 버스도 있다. 서울도 안 달아주는 걸 지방에서 먼저 하다니... 창원이 부럽긴 부럽다. 영원히 고통받는 U+ 이용자.[35]

8 기타

8.1 차고지

공영 차고지로는 덕동공영차고지(마산지역), 성주공영차고지(구.창원지역)의 2개소가 위치해 있고, 자가차고지로는 대운교통 마산영업소, 진해여객 속천차고지(본사), 동아여객 인의차고지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들을 참조.

이외에도 진동환승센터, 수정환승센터, 가포회차장, 마산역광장, 대방동종점, 장천동종점, 용원종점등지에 왠만한 중소규모 자가차고지급의 회차장이 설치되어있다.

8.2 금요일 개편

2015년에 들어서면서 유난히 금요일에 개편(노선 조정)이 많이 이루어졌다. 평일의 시작인 월요일도 아니고, 주말의 시작인 토요일도 아닌 금요일에 왜 항상 개편을 하는지는 의문. 2015년 한 해 동안만 3월 13일, 3월 20일, 8월 28일, 11월 27일 등 4차례의 노선 조정이 모두 금요일에 이루어졌다.[36]

2016년 2월 12일에 2016년 첫 개편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 날도 금요일이다.

9 여담

산복도로를 다니는 100번[37], 105번, 254번통학버스 3형제로 불리며 마산지역 학생들의 통학을 책임지고 있다. 특히 105번은 자타공인 창원시 통학버스. 아침에 시간 맞춰 나가면(...)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가 밀집되어있는 명곡동 지역의 212번109번, 113번은 헬게이트를 크고 아름답게 소환한다. 그나마 109번이나 113번은 상황이 낫지만 212번은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 신도림역 지방판 자세한 건 각 문서들을 참고. 707번? 그건 좌석노선이잖아! 265번266번이 생겨서 좀 나아졌으려나...
어떤 노선이 헬게이트니 어쩌고 해봤자 100번 앞에선 일개 미물일 뿐...
출퇴근 및 등하교 시간 한정, 102번도 답이 없다 하더라. 고만해 미친놈들아

막차 시간에 경남대 방면 산복도로 노선을 타보면, 버스로 하는 이니셜D가 이런 거구나라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동배차 혹은 순환배차가 주류를 이루는 창원시 시내버스의 특성상 버스 내부의 행선지 안내가 상당히 부실하다. 대부분 버스 내부에 해당 버스가 투입되는 여러 노선의 행선지 안내가 같이 붙어 있기 때문에[38] 초행자들은 탈 때 노선번호를 확인하고 들어가야 헷갈리지 않는다.[39] 이마저도 승객 수요가 적은 일부 정류장은 아예 생략되어 나오는 경우가 부지기수.

또한 일반버스의 거대한 행선판 수납공간 아래부분에 따로 행선판을 장착하는 방식을 현재에도 사용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꽤 많은 지역이 이 방식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거의 없어진 상태. 하지만 창원에서는 지금도 볼 수 있다.

3.15대로 월영광장~창원보훈지청 구간[40]왕복 4차선인데, 이 구간을 급행 3개 노선, 좌석 4개 노선, 일반 간선 13개 노선, 일반 지선 12개 노선, 읍면 노선 31개 노선, 총 63개 노선이 지나간다. 창원시 시내버스 128개 노선(맞춤, 마을, 공영노선 제외)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다.[41][42] 당연히 읍면노선의 배차는 시망이지만 덕분에 아침 RH시간에는 통근버스와 통학버스가 다함께 뒤엉켜(...) 헬게이트. 저 구간 사이에 있는 정류장인 문화동에서는 6량짜리 버스철을 볼 수 있다.

차량 도색을 통합 창원시 신도색으로 바꾸는 작업이 진행중인 시절, 사고 등으로 차량을 수리하고 나서 "어차피 새로 도색 할건데" 라는 배짱으로 그 위에 덧칠을 안 한적이 있었다. 덕분에 노란 밀랍 떡칠에 팬더 도색[43]까지 갖추고 있는 차량이 있었지만, 도색을 마친 현재는 보기가 드물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처럼 기사 교대를 운행 중간에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천연가스 충전소가 운행구간 중간에 있는 창원~진해 노선의 경우 운행 중간에 가스충전(!)하는 경우도 있다!
757번이 그랫지
동/하계 방학 기간 중에는 토/일/공휴일 수준으로 운행횟수가 줄어드니 주의하자.

난폭운전 및 불친절의 빈도가 높은 편으로 대부분의 버스가 크락션을 튜닝해서 소리가 요란하다고 한다. 대다수의 차량이 이런 크락션 소리가 난다. 출고 초기에는 기본 크락션은 사용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바꾸는 듯 하다.[44]

그리고 여기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처럼 기사분들의 급출발이 심하다. 물론 친절한 분도 계시지만 그래도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불친절한 분이 더 많다.

최근에 단말기 노후화로 인식이 되지 않았다고 뉴스에 나왔다. 따라서 창원시는 2016년 기존 단말기에 하차단말기만 추가 설치하는 계획을 수정해 전차량 삼원FA단말기교체를 현재 진행중에 있다.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 MCJBUS - 창원시민 두 분께서 만든 사이트로, BIS 사이트보다 가벼우며, 무엇보다 ActiveX가 없다! 하지만 실시간 위치조회 같은 건 안 된다.[45]
  • 창원시 유실물 통합센터 - 창원시 대중교통에서 잃어버린 물건들은 다 올라온다. 누가 습득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 창원시청 시내버스 정보 - 공지와 읍면노선 시간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창원시내버스협의회 - 각 노선들의 시간표를 확인할 수 있다.
  1. 사실 창원시 신도색으로 재도색을 하게 되면서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가 신도색에 덮여버리는 바람에 작은 네모 안에 NGV 천연가스버스라고 적어 놓은 것이다. 어차피 CNGNGV나 같다.
  2. 참고로 지금 저 차는 마인버스로 넘어간 상태다. 전 3950호, 현재 5058호
  3. 위 차량은 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다.
  4. 그래서 한국어 위키백과의 통합 이전 문서 명칭은 "마창진 광역권의 시내버스". 만약 통합 이전에 나무위키에 이 문서가 만들어졌었더라면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의 시내버스"라고 이름이 붙었을 지도 모른다. 으악 길다
  5. 때문에 간선/좌석노선은 상당수의 노선이 기/종점 동시출발을 한다.
  6. 마인버스와 대중교통 소유. 경남의 프리머스 운행업체 3곳중 2곳이 창원에 있다. 다른 한 곳은 진주시의 진주시민버스.
  7. 2012년 12월 현재 창원시에 등록된 차량 중 162대가 저상버스이다. 너무 많아서 저상이 예비차량 뛰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8. 80번, 108번, 122번, 163번, 164번, 212번, 220번, 258번, 259번
  9. 경상남도 표준 도색에서 경상남도 로고를 없애고 마산시의 슬로건인 Dream Bay Masan을 넣은 것. 통합 이후에는 마산시 슬로건 부분을 흰색으로 덮어버려 썰렁하기 짝이 없는 도색이 되었다.
  10. 의외로 생각보다 자주 볼 수 있다. 아예 예비차량을 고정적으로 배차에 넣는 듯. 대우버스 BM090(대중교통 소유)도 간간히 보인다. 주로 마산-진해 간선에 투입되는 듯. 일단 2000년에 제정된 엄연히 '신'도색이기 때문에 천연가스차량이 없거나 고유도색을 제정하지 않은 경상남도의 다른 지역에서는 여전히 이 도색으로 신차가 출고된다.
  11. 전국 영업용 전체 마지막 SAC는 전라북도 시외버스 업체인 안전여객에서 2016년 6월까지 굴렸다.
  12. 대운교통, 제일교통도 New BS106을 1대씩 보유하고 있지만 이것은 조기 대폐차와 무관하다.
  13. 창원공단셔틀 포함
  14. 선행 버스가 좌석/급행이라도 알짤없이 추가 과금된다. 후행 버스에서 최대 1,100원을 할인해서 과금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15. 왜냐하면, 김해시에서는 김해포유카드 외에는 환승이 안 되었기 때문. 일종의 보복 조치. 지금은 부산-김해-양산 통합 환승제 실시로 타 지역 마이비로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요즘은 캐시비로 바꾸잖아?
  16. 원래 2011년 12월 7일부터 였으나,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어 연기된 일정이다.
  17. 마산-창원-진해가 통합이 되었음에도 환승 횟수가 1회라는 것은 문제가 있다. 창원시는 통합 이후 면적 자체는 부산시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18. 다만, 부산 도시철도에서 발매하는 하나로 캐시비(하나로카드에 캐시비 로고를 박은 것)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주의.
  19. 마산 지역의 지선이지만 종점은 마산회원구 바깥의 의창구 소계동. 이는 소계동이 마산회원구 구암1동과 생활권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두 동네는 나란히 붙어 있고 둘 다 남해고속도로와 경전선 철도에 가로막혀 있어 고립현상이 심한 동네. 그냥 구암동에 종점 만들데가 없거나 종점이 가까운데 있어서 그런거같은데
  20. 정확히는 529, 530번이다.
  21. 마찬가지로 시설을 갖춘 수정환승센터는 2015년 3월 기준으로 아직 있기는 하지만 정류장으로서의 기능은 이미 사라진 지 오래이며, 지금은 구산면사무소에서 출발하는 260번, 263번의 회차지 겸 기사휴게소로 사용하고 있다. 수정환승센터는 진동환승센터와는 달리 면 중심지에서 다소 떨어져있어 운영 당시에도 이용률이 바닥을 기었던 곳이다.
  22. BIS, 안내방송, LED 행선판, 심지어는 와이파이도 달려있다.
  23. "학생입니다/초등학생입니다"라는 멘트가 인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이 나와서 비프음으로 바꿨는데, 알아 듣기 힘들어서 멘트로 바꿨다. 그리고 환승체계가 바뀌면서 카드 인식 멘트도 바뀌었다. 영 병맛
  24. 이때의 표기 방식은 "경유지-노선번호-종점"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옛 서울시에서 사용하던 방법이다. 무식하긴 했지만 시안성은 끝내줬다.
  25. 어느 수준으로 잉여였냐면 창원시에서 처음으로 배차된 마인버스 출고분의 경우 기본값인 서울 G20 정상회의 홍보가 G20 끝나고 나서도 출력되었다.(...)
  26. 김해시 시내버스도 지금 이렇다.
  27. 예를 들면 "이번 정류장은 경남대학교, 남부터미널 종점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해운동 종점입니다." 초단거리 노선
  28. 이게 교통카드 단말기의 용량 한계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근데 기기 바꿨는 데 더 안 늘림?
  29. 마산시 로고위에 통합창원시 로고가 덧씌워지고 UI가 바뀌었다.
  30. 현재는 볼 수 없다.
  31. 2000년대 중반에 설치된 주제에 무려 정전식이다! 화면말고 버튼이
  32. 진해 지역 지선만 표시가 안 되었고, 마산-진해 간선이나 창원-진해 간선은 정상적으로 지원했다.
  33. 이를 2차 보급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때 보급된 표시기는 1차와 달리 '노선정보안내'부분이 사라졌다.
  34. 티머니, 캐시비 포함
  35. 창원시 뿐만 아니라 U+는 전국 대중교통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시행하지 못한다. 보통 원가가 낮은 (?) 와이브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U+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대중교통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굳이 와이브로가 아니더라도 LTE나 CDMA 리버전을 통해 와이파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U+가 LTE로 와이파이를 제공하진 않을 것이고, CDMA 리버전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와이파이로 제공하긴 부족하다. 문제는 U+가 LTE 이외 대체 네트워크가 없고 LTE에 올인 중이기에 지고있는 와이브로엔 눈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다. 차라리 대중교통 요금제? 또는 타사보다 데이터를 조금 더 주고 말지... 그렇다고 와이브로가 CDMA에 비해 아주 빠른 것도 아니다.
  36. 다만 313번의 운행간격 조정은 5월 30일 토요일, 평성사거리 일대 노선 조정은 9월 24일 목요일(?!)에 이루어졌다.
  37. 창원, 마산의 수많은 중고등학교와 일부 대학교까지 경유하며, 창원시청과 경남도청 직원들의 출퇴근도 가능하다...
  38. 가령 마산-창원 간선노선에 투입되는 버스라면 마산-창원 간선노선의 행선지 안내가 무더기로 붙어있다. 100번부터 116번까지 모두 붙어있는 경우도... 심지어 폐선된 104번도 볼 수 있다.(...)결국 지역 언론에게 까였다(...). 2012년 3월 9일 노선 개편 이후로는 차내 노선표를 모두 제거하고 배차에 따라서 차내 노선표를 교체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제때 바꿔주지 않아 실제 노선과 노선표가 다른 경우가 부지기수(...).
  39. 이마저도 가끔 버스 행선판과 LED 행선판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105번이 116번으로 되기도 하고, 앞에는 122번 뒤에는 259번으로 출력되는 경우도 있었다. 무슨 짓거리야!? 보통은 LED 행선판 조작 미스.
  40. 사실 월영아파트부터 이 전쟁은 시작된다. 해운중 출발 노선이 몇 개 없기 때문.
  41. 통합 이전 마산시가 우위를 점하고 있을 때 마산시 중심으로 구축된 노선체계가 아예 자리를 잡아버린 모양.
  42.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게 창원시 간선의 기점이 경남대부근이고 종점이 대방동으로 수렴되는 상황에서 창원쪽 종점의 경우 대방동 종점으로 갈수 있는 경로가 창이대로, 원이대로, 창원대로의 3가지가 있고 메인인 원이대로 이외에도 주거단지 통과나 공단부근 통과등으로 차량의 이동이 아주 많은 주간선도로 이지만, 마산쪽 종점의 경우 메인인 3.15대로와 서브인 해안대로, 그리고 산복도로무학로가 있지만 3.15대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로는 철저한 서브역할이라 전통적인 시내버스의 루트가 되지 못한다. 다만 문제는 위에서 언급했던데로 가장 중요한 경유지가 왕복 4차선이라는거, 그래서 일반 승용차들은 6-8차로인 해안대로를 경유하여 가는 경우가 많다.
  43. 제조사에서 보내주는 수리용 외관 부품은 도색이 안 되어있는 진한 회색이거나 검은색이다.
  44. 예전에는 크락션으로 뱃고동 소리가 나는 버스도 있었다. 흠좀무
  45. 물론 이건 사설(私設) 사이트의 한계다. 애초에 실시간 위치조회란 기능은 사설 사이트로는 구현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