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창원시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목차
1 개요
30번대 노선은 봉암교 경유 또는 진해 방면 노선에 부여되던 번호대였다.
2 30번 (해운중학교-성주동)
해운중학교 - 대동씨코아 - 해안도로 - 대우백화점 - 신해안도로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충혼탑 - 대원동 - 지귀상가 - 사격장입구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사파동주민센터(성주동방향) - 대방동 - 성주사역 - 성주동
과거 경남대-대방동으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원래 마산시청, 어시장 경유, 신촌동 미경유 대방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이나, 해안로 경유, 성주동 연장, 신촌동 경유 등의 조정을 통해 위 노선의 모양이 갖추어 졌다.
같이 해안도로를 운행하는 22번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적은 곳 위주거나 수요가 많은 곳을 묘하게 피하는 탓에 22번과 더불어 파행운행이 잦던 노선이다. 덕분에 해안도로변은 버스 이용이 정말 어려웠다...
개편 때 창원 구간만 남아 창원터미널, 봉곡동, 창원대 경유 불모산동행으로 바뀌어 창원 버스 214로 남게 되었다.
3 31번 (마산역-선두)
마산역 - 정우맨션 - 수출후문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고현 - 선두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선두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번호는 불명. 2001년 통합노선 단축 이전까지는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충혼탑 - 창원운동장 - 병무청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개나리아파트 - 남산동 루트로 대방동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86번과 통합되어 창원 버스 74가 되어서 진동으로 단축되었다가 창원 버스 78이 신설되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4 32번 (월영아파트-대방동(순환))
월영아파트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기계연구원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개나리아파트 - 가음정시장 - 대동백화점 - 사파대동아파트 - 법원.검찰청(이후 동일)
원래 노선은 신촌동 미경유, 상남시장 경유, 대방동 연장 이전에는 다른 여타 대방동행 노선들 처럼 사파동사무소 루프 회차로 운행하였으나, 대방동으로 연장되면서 현재의 노선 형태가 되었다.
17번과 더불어서 독점구간이 많았던 노선으로, 기계연구원 뒷길, 가음정동 구간, 대동백화점 - 법원 구간을 유일하기 운행하던 노선이다. 신마산쪽에서 창원 공단쪽이나 신촌동에서 대방동쪽으로 제대로 운행하던 유일한 노선이라 어느정도 고정 수요는 있던 노선이다.
개편 때 창원운동장 경유, 대방동 구간이 단순화 되어 창원 버스 107이 되었다. 개편 이후 이 노선의 독점구간이었던 기계연구소 뒷길, 가음정시장 구간, 동산로 및 사파민원센터 구간은 대체노선 없이 전혀 버스가 다니지 않는 길이 되었다.
5 33번 (호계-인의동)
호계 - 동서병원 - 서광맨션 - 삼계 - 공단로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마산역 - 시외터미널 - 구암동 - 삼성병원(인의동방향)/도원예식장(호계방향) - 양덕1동 - 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진해역 - 인의동
원래 회성동에서 출발하여 시외터미널을 경유 인의동까지 운행하는, 당시 302번 좌석버스의 단축형 일반버스 노선이었으나, 회성동 종점 폐쇄로 인해 호계로 연장되고, 인의동 방향 한정 삼성병원으로 연장운행, 삼계지구 개발에 따른 삼계 연장으로 조정 되면서 위와 같은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여담으로 호계방향 노선중 유일하게 코오롱아파트를 운행하지 않았던 노선이다. 또한 마산-진해방향 노선중 유일하게 진해여객이 운행하지 않았던 노선이기도 하다.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창원 버스 761, 창원 버스 763, 창원 버스 162가 구간별로 대체하였다.
6 35번 (인의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
인의동 - 진해역 - 진해고등학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성주사역 - 남산동 - 상남시장 - 경창상가 - 수협도지회 -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 - 교통문화연수원 - 반지동 - 지귀상가 - 창원공고 - 농산물시장 - 창원대로 - 극동아파트 - 창원여고 - 소답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지귀상가 (이후 역순)
원래 노선은 창원터미널을 경유하여 창원대로를 거쳐 소답동에서 단순히 회차하였으나, 90년대 중반에 38번과 함께 순환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극동아파트 경유, 이후 2000년대 초반에 창원대학교를 양방향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창원-진해를 오가던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로 성주사역까지 경유하는 엄청난 굴곡 및 주요 수요지를 빗겨서 운행하여서 주로 진해-창원 직통 수요 보다는 진해-공단로, 창원 시내구간 수요로 나뉘던 편이었다.
개편 때 창원종합터미널로 단축되어 창원 버스 150이 되었다.
7 36번 (경남대학교-인의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진해역 - 인의동
마산과 진해 구 시가지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으로 80년대에는 5~10분 배차로 다닐 만큼 엄청나게 자주 다녔으며, 개편 직전에도 37번과 더불어 노선 변동 없이 마산-진해 주간선으로서 활약한 노선이다.
여담으로 진해여객 파업 당시에 시민회관까지만 운행하던 적이 있다. 마창8개사 파업 당시에는 진해여객차가 증차되어 다녔는데ㅜㅜ
개편 때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60이 되었다.
8 37번 (경남대학교-장천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풍호동 - 장천동
마산과 진해 구 시가지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으로 36번의 장천동 버전 노선이다. 80년대에는 36번과 교대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적도 있으며, 개편 직전에도 36번과 더불어 노선 변동 없이 마산-진해 주간선으로서 활약한 노선이다.
여담으로 진해여객 파업 당시에 시민회관까지만 운행하던 적이 있다. 마창8개사 파업 당시에는 진해여객차가 증차되어 다녔는데ㅜㅜ
개편 때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63이 되었다.
9 38번 (장천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
장천동 - 풍호동 - 경화시장 - 태백동 - 경화역 - 상공회의소 - 성주사역 - 남산동 - 대동백화점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까치아파트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지여고 - 도계주유소 - 소답시장 - 창원역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지귀상가 (이하 동일)
원래 노선은 장천동을 출발, 진해고등학교, 신촌동, 남창원역 등 공단로를 경유하여 소답동을 회차, 도계주유소, 명지여고 구간을 왕복운행하는 노선이었으나, 90년대 중반에 35번과 함께 창원대로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변경되고, 안민터널 개통으로 신촌동 대신 안민터널, 태백동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35번과는 다르게 중심지를 많이 경유하는 노선이라, 진해-창원간 수요는 물론 창원 시내 이동 수요도 어느정도 있던 노선이었다. 다만 35번과 38번이 서로 역방향으로 순환 하면서 경유지가 약간 다르다 보니 명지여고 이후 구간은 조금 시원치 않은 편이었다.
개편 때 창원터미널로 변경/단축되어 창원 버스 151이 되었다. 이후 지귀상가 이후 소답동까지 구간은 창원 버스 155가 신설되어 대체하게 된다.
10 39번 (마산대학-석교)
마산대학 - 죽암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회산교 - 부림시장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적현 - 제5부두 - 두산중공업 - 용호 - 삼귀동 - 석교
삼귀동 지역과 마산을 오가던 노선으로, 마산시내 구간은 18번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죽암에서 한국중공업(두산중공업)까지만 오가던 노선이었으나, 용호마을로 연장 된 후 39-1번과 통합하여 석교 까지 연장되고 이후 죽암 종점이 폐쇄되면서 마산대학으로 연장되었다.
56번 시리즈와 더불어 삼귀동 주민을 위한 노선이다 보니, 운행은 정상적으로 되었으나, 수요가 적은 편이라, 통합노선처럼 상대적으로 구형차량이 자주 투입되던 노선이었다.
여담으로 작성자가 통합 직후에 석교로 연장된 39번을 이용 한 적이 있는데, 폐차 직전의 무냉방 차량이 투입되었는데다 용호마을 이후는 도로가 포장이 되어 있지 않아서 맨 뒷열 의자 쿠션이 앞으로 엎어지는 신나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개편 때 부림시장으로 단축되어 창원 버스 257이 되었다가, 다시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2014년까지 유지되고 있다.
11 39-1번 (죽암-석교) (폐선)
죽암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회산교 - 부림시장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적현 - 제5부두 - 두산중공업 - 삼귀동 - 석교
한국중공업(두산중공업)까지만 운행하던 39번과는 달리 원래부터 삼귀동 지역과 마산을 오가던 노선으로, 마산시내 구간은 18번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였다. 용호마을 이후로는 원래 길이 없었기 때문에 당시 한국중공업 공장 내부 도로를 경유[1]하여 삼귀동까지 운행하다가, 석교 마을로 연장되어 폐선 직전까지 운행하였다.
두산중공업 내부 도로 경유 문제로 39번과 통합하여 39번이 용호에서 석교로 연장되었다.- ↑ 현재 국도2호선 귀산IC에 접속된 도로(현재의 귀산로)가 과거 39-1/56-1번이 운행하던 도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