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겁혈신

비뢰도에 언급되는 존재. 주로 천겁이란 이름으로 등장인물들에게 통칭된다. 이름은 아마도(!) 위천무. 필시 최종보스로 추정된다. 볼드모트마냥 이름을 부르는 것 마저 금기시 된다. 활동당시 가면을 쓰고 다녔다고 묘사된다.

100년 전 홀연히 나타나 백도 흑도 가릴 것 없이 그 강력함을 과시해 공포로 몰아넣었으며 그 강력함에 끌린 자들을 이끌어 천겁령이라는 단체를 만들었다. 책에선 3권에서 처음 언급되는데 출신분명임이 확실해진 지금과는 달리 흑도 출신이라고 추측되고 있었다.[1] 점차 이야기가 진행이 되다가 없던 내용이 개연성 없이 붙은 경우다. 비뢰도의 하고 많은 오점 중 하나. 흑도와 백도가 뭉친 무림연합은 거의 떡실신을 당하고 있었고 무신 혁월린과 무신마 갈중혁이 합격으로 간신히 쓰러트린 이후 행방이 묘연하다. 위천무를 따르던 천겁령의 끄나풀들은 무림에 흩어져 재기를 도모하고 있으며[2] 또 다시 천겁혈신 같은 자가 나타날 것을 대비하고 또 위천무가 살아있을 가능성[3]에 흑도와 백도가 세운게 후임 고수 양성기관인 천무학관과 마천각이다.[4]

작중 여러번 나온 묘사를 보면 비뢰문과 관계가 있는게 확실해 보이며[5] 이 때문에 정체에 대해 말이 많았다. 다만 최근 나온 외전에서 언급된 노사부의 첫 제자가 위천무일거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작중 묘사를 보면 마천각의 대장중 한명인 무명일 가능성이 너무 대놓고 높다. 기억상실 때문인지 성격은 죽은듯[6] 또한 사천멸겁의 스승이다. 수제자는 북천.

그렇지만 아무도 이 녀석이 노사부를 이길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무명이 비류연을 압도하면서 천겁혈신이 맞다면 노사부를 어떻게 할수 있다고 예상하는 경우도 있으나, 노사부는 비뢰도의 경지에 이른 뒤 몇 백년 동안 살아있었던 괴물농담이 아니라 말 그대로이다. 애초에 무명이 천겁혈신이 맞다면 결국 금제에 당해 인격이 봉인된 것이니 무리였다고 봐야......안습 무명이 비류연의 금안을 봤을때 영혼 깊숙한 곳에서 공포를 떠올렸다는 묘사를 보면 어지간히 깨진게 아닌 모양이다.

무명은 생사안의 경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생사안은 노사부가 말한 심안(心眼)과 같아보이며 이것 또한 나예린의 용안과는 달리 후천적으로 얻게 되어지는 눈이다. 전해져 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생과 사조차 꿰뚫어보는 눈으로 수백, 수천만을 넘어 셀 수 없는 생과 사를 넘어사며, 그 경계에서 그 몸을 비우고 마음조차도 무(無)로 만들게 되면 일체의 관념으로부터 해방되어 사물의 본질을 직시할 수 있게 되어 개안하는 눈이라고 한다. 즉 생사안의 보유자는 오로지 생과 사를 초월한 정각자인 것.

무명의 눈은 작중에서 표현되길, "맑고 깨끗하면서도 깊으면서도 무구한 눈. 어딘지 공허한 눈. 그 눈이 공허한 것은 아마 그가 현실을 보고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도저히 인간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눈. 그 눈은 오욕칠정이라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조차 뛰어넘어 있었다. 세사의 이치를 한 번에 꿰뚫어 볼 것 같은 눈, 그의 눈에 이 세상은 어떻게 비춰지고 있는 걸까."라고. 비류연의 감상평은 '저런 눈을 가진 걸 인간이라고 할 수가 있나'였다.

생사안이 "생과 사를 꿰뚫어본다"라는 것, 본문의 "그들이 살아 있든 죽어 있든 그에게는 큰 의미가 없었다. 아니, 생과 사 자체가 그에겐 별다른 의미를 주지 못하고 생과 사 조차 당연한 자연 현상의 일부일 뿐이기 때문이다"라고 묘사된 것을 보면 노사부가 언급한 심안의 단계 중 하나이자, 생과 사를 초월하고 월공안과 시월안의 능력을 합한, 시공안과 동급의 경지가 아닐까 생각된다.[7]

무명은 비류연과 같은 일종의 봉인도구를 하고 있는데, 비류연의 목룡환처럼 봉신환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얼마나 오래 차고 다닌 것인지 이제는 신체의 일부 그 자체가 되어버렸다고 한다. 비류연이 보고 놀라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봉신환은 비뢰문의 것, 혹은 노사부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 봉신환을 해제하자 지진이 난 게 아닌가 싶을 정도의 큰 소리를 동반하고 청석 바닥 위에 거대한 균열을 만들었으니 사양은 묵룡환 이상. 비류연은 봉인을 푼 무명을 보고 노사부의 기운을 느꼈다고 하며 무량(無量)이라고 평가하기 까지 했으니 뇌신에 도달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비류연보다는 까마득히 높은 경지인 듯 하다.

작중 천겁혈신이 사용한 무공의 이름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무명은 제 1 초 무흔권, 2 초 무상장, 3초 무형검이 등장하였다. 나백천의 말에 의하면 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는 이른바 무음무혼무형의 절대무적의 일격[8]. 비류연과 무명의 대결에서 묘사된 바는 다음과 같다.

  • 제 1 초 무흔권은 그 비류연조차도 반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볼에 화끈함을 느꼈다.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겨우 막아내는 것에 그쳤으며 처음의 예상과는 달리 반격조차 할 수 없었다.
  • 제 2 초인 무상장을 회피하려 했으나, 천라지망과 같은 무수한 변화가 내재되어 있는 일격이기에 도리어 휩쓸릴 것을 우려해 함부로 움직일 수 없었다.
  • 제 3 초 무형검은, 비뢰도 오의 풍운뢰명의 장 뇌광류하곡을 파해했다.[9]

무명이 천겁혈신이 맞다면 그 동안의 전적을 납득할만한 절초다. 그 간의 묘사들을 통해 천겁혈신이 비뢰문의 무공을 능숙하게 자주 사용했던 흔적이 보였으니, 비뢰문의 무공을 참고해서 직접 창안해낸 위천무만의 독문무공이라 여타 무공을 사용하지 않는 지금도 몸에 남아있는 남아있다고 봐도 좋을듯 하다. 아니면 기억을 잃어버린 동안 새로 만든 무공이거나.
하지만 무형무음무혼의 무공이라고 해서 과연 노사부를 이길 수 있을지는......다시 봉인이나 안 당하면 다행 이게 다 작가의 역량 때문이다

현재 29권에 나온 나백천의 회상에 따르면 결국 혁월린이나 갈중혁은 천겁혈신에게 당해내지 못한 듯 보인다. 합격으로 최후의 절초를 사용했지만 오히려 혁월린이 중상을 입었다고. 이 이후는 나백천도 기억하지 못했는데, 위천무가 이후 금제를 당한 걸 보면 노사부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무명은 비류연 일행과 함께 움직이고 있는데, 비뢰도의 스토리가드디어 중후반에 들어가고 있으니 조만간 기억을 각성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후 비뢰도는 나오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비뢰문의 무공 최종단계인 뇌신을 습득하기 위해 묵룡환을 풀고 그 힘을 제압할 필요가 있다는 묘사를 볼 때[10] 천겁혈신 본인이 비뢰문 제자가 맞다면 그 수위는 뇌신까지 가진 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태까지 노사부가 키운 들을 봐서 이 사람도 제 3의 성별일 가능성이?
  1. 증거는 없었지만 손속의 잔인함 때문에 모두가 흑도 출신이라고 확신했다고 한다. 초반에는 정파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었으니까
  2. 이들을 본체에서 떨어져나간 깃털이라 하여 천겁우라 한다.
  3. 위천무의 경지를 생각하면 예상수명은 150세 이상이라고 한다.
  4. 문제는 마천각은 이미 천겁령이 거의 장악해버다는 것.
  5. 위천무는 제대로 싸울때 가면의 눈부분에서 황금빛이 뿜어져 나왔다고 언급된다. 이건 비뢰문의 뇌령신공을 익히고 비뢰도를 사용할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비류연은 무공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아서인지 금빛의 호안석과 가깝다. 또한 위천무의 수법이 남긴 흔적은 비뢰문의 무공과 유사한점이 많다.
  6. 다만 본래 성격이 무명과 비슷할 수도 있다. 자신의 제자인 북천과 대화를 보면 생각보다 너그러워보인다. 제자가 자신에게 약간 기어올라도 그러려니하는 모습을 보면 최소한 가까운 이에겐 어느정도 관대한듯 하다.
  7. 시공안은 오륙 단계를 합친 단계이다. 자신이 절대자가 되는 최강의 경지인 신안의 직전.
  8. 정확한 묘사인지 확인바람. 이 전 수정자분이 절대, 무적이라는 표현을 쓰는 걸 너무 좋아하셔서 의심이 좀 가네요.
  9. 초식의 상세묘사를 기억하시는 분은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10. 비류연은 좌수룡을 제압한 뒤에야 뇌신의 실마리를 간신히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