鐵鞭.
타격 무기의 일종. 회초리와 비슷하게 생겼다.
편이라는 이름때문에 Bull Whip(흔히 채찍하면 생각하는 길고 유연한 타격 무기. 인디아나 존스등이 쓰는 것이 Bull Whip)과 혼동되지만, 사실은 다른 무기다.[1] 종종 쇠도리깨나 편곤도 철편이라 하기도 한다.
사실 저 鞭이란 한자는 채찍이란 뜻외에 '대나무뿌리'란 뜻이 있다.
예전 학교체벌이 폐지되기 전에 교사들이 체벌용으로 들고 다니던 구불구불하고 둥그런 고리같은 마디가 있던 나무막대기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게 바로 대나무뿌리인데, 그 모양을 본따 만든 무기가 바로 鞭이다.
타격용의 철편은 좀 더 굵직한 쇠몽둥이에 가까우며, 수호전의 호연작, 손립은 이쪽을 양손에 들어 무기로 쓴다 또한 손신, 풍태, 등감은 철편 1개를 무기로 쓴다. 간혹 번역본을 보면 역자가 저 한자의 뜻을 잘 몰라서, 마치 SM을 연상케 하는 채찍으로 묘사를 할 때도 있다.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쌍채찍을 무기로 쓴다는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무기용법에서 아주 황당한 소리이다. 비슷한 유성추가 익숙해지기까지 과정의 난이도를 생각해 보면 양손을 따로 다루면서 본인이 다치지 않는 게 신기하다.
신윤복의 월야밀회 |
신윤복의 그림등을 보면 조선시대의 포졸들도 가지고 다녔다. 일본에서 쓰였던 걸로 알려져 있다.
사망유희의 이소룡도 댄 이노산토와의 격투씬에서 쌍절곤을 꺼내들기 전까진 철편을 사용했다. 다만 일반적인것보다도 훨씬 가늘어서 진짜 회초리로밖에는 안보이는 수준의 철편이다.
조선시대의 기병들도 사용한 대표적 둔기인 편곤도 철편이라 불렸으나, 위의 무기와는 달리 도리깨와 같은 형태이다. 서융족 기병에게서 기원한 무기로 임진왜란때 명군 소속 타타르 기병대에 의해 조선에 전래되었다.- ↑ 일본의 만화가들이 한때 이걸 모르고 혼동해서 철편마저도 쇠사슬로 만든 채찍으로 그려서 큰 오해가 발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