鐵布衫
외문무공의 일종으로, 몸을 단련해 맨몸으로 철갑을 두른 효과를 내게 하는 무공이다. 리얼계 무협에선 나름 대단한 무공.[1] 보통 검기가 깃들지 않은 검은 흠집하나 내지 못하며, 검기가 깃든 검도 대단한 타격을 주진 못한다. 하지만 철포삼은 몸 한부분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그곳을 조문이라 한다. 이곳은 어린아이의 살보다 연약하다는 식으로 묘사되며 이곳에 타격받으면 보통 몇배의 타격을 받고, 심할 경우 철포삼이 깨진다는 설정도 있다. 즉 금강불괴의 다운그레이드 버젼.
여담이지만 보통 거한에 아둔하고 타고난 괴신력을 바탕으로 싸우는 조연 캐릭터가 익히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과 맞설 때는 철벽 방어를 믿고 까불다가 압도적인 힘으로(...) 으깨지거나 내가중수법 등으로 인체 내부를 타격해서 패하는 패턴이 흔하다. 반면 주인공 편으로 나올 때는 힘세고 오래가는충직한 마당쇠 포지션을 맡는다.
이연걸 주연 황비홍 1편에서도 철포삼의 고수 엄진동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물론 황비홍에게 발린다. 한가지 흑역사라면, 당시 극장판이나 비디오판 자막은 번역자가 철포삼 무협용어를 몰라서 '철부신'등 요상망측한 단어를 써놓았다(...).
앞서 가공의 무공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는 개뻥 창작이 섞였다는 의미이고, 실제 중국 무술에 있는 단련법이다. 다만 시중에 나도는 이상한 쿵푸 서적 중에 철포삼을 익히는 법이 수록된 것이 있는데 골병드니까 절대로 따라하지 마라.
무슨 중화 삼천년의 비법 따위는 절대 아니고, 요즘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복싱에서 복부를 메디신 볼로 치거나, 무에타이.가라테 등에서 손발 등을 단단한 물체로 두드리는 등 맷집 단련하는 게 바로 철포삼이다(...).
아예 철포삼 단련법에서도 '손발은 막아도 되지만 무기는 막지 마셈'하고 못박는다. 괜히 무협 보고 헛바람 불어서 따라했다가 병원 신세 지지 말자.
물론 이게 우습게 볼 것은 아닌게, 이렇게 맷집을 단련하는 것과 단련하지 않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 평소 수련에서는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익혔다고 해도 맞을 때의 고통을 참지 못하면 배운 기술을 제대로 써먹지 못하고 그저 허우적대는 막싸움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중국 무협소설인 고룡의 <다정검객무정검>에서는 하필 동정이어야만 공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나온다. 맙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