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색증

靑色症 , methemoglobinemia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염된 물속에 포함된 질산염(NO3)이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 공급을 어렵게 해서 나타나는 질병.

피부와 점박이 푸른색을 띄는 것으로 해당 부위의 작은 혈관에 환원혈색조가 증가하거나 산소포화도거 딸어져서 나타나는데, 산소 부족으로 인해 온몸이 파랗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인체 내에 일반적으로 헤모글로빈의 1~2%는 메트헤모글로빈이 존재하는데 10%를 초과하면 청색증, 30~40%를 초과하면 무산소증에 걸린다.
성인에게는 발병하지 않으며 태어난지 백일 이전의 갓난아기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증상은 주로 입술, 손가락 끝, 귀 등에서 푸른 빛이 나타난다.
주로 중심성과 말초성, 두가지로 나눠진다.

1 중심성 청색증

혀, 입술, 구강점막 등 중심부위에 주로 청색증이 나타나는 증상.
이 경우에는 폐에서 가스교환 문제로 동맥혈에 일정량 이하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생기는 현상으로 호흡기 질환이나 해발 2400미터 이상의 고지에 있는 경우 생긴다.

2 말초성 청색증

손가락 등의 신체말단부위에 주로 생기며 혈류 순환의 이상으로 신체의 말초에 혈루가 지체되어 있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