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채벌레

총채벌레
Thrip이명 :
Thysanoptera Haliday, 1836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총채벌레과(Thripidae)
줄총채벌레과(Aeolothripidae)
관총채벌레과(Phlaeothripidae)
국명총채벌레
영명thrips
일명アザミウマ

날개가 달린 미소곤충이다. 몸 크기는 0.6~12mm 쯤 될 정도로 엄청 작다. 구기는 좌우 모양이 비대칭이며 긁어서 빨아먹는 특이한 기능을 갖고 있다. 턱수염은 2~8마디, 임술수염은 1~4마디로 되어 있다.

몸체는 등 부위가 납작하거나 원통 모양이다. 더듬이는 짧은 편이고 6~9절로 되어있으며 몇 개의 마디에는 여러 형태의 감각기를 가지고 있다. 겹눈은 크고 발달되었으며 홑눈을 가지고 있다. 날개는 막상이나 없는 종도 있으며 있는 종의 경우에는 긴날개형과 짧은날개형이다. 날개에서도 시맥의 수가 많지 않으며 퇴화되었다. 날개의 가장자리에는 곧거나 약간 꾸불꾸불한 연모가 많이 나 있다.[1]

다리는 짧고, 부절은 1~2절이며 끝부절에는 1~2개의 발톱과 1개의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복부는 10~11마디로 되어 있으며 관총채벌레아목의 암컷은 배 끝마디가 관모양으로 변형된 산란관이 있다. 배 끝에 미모는 없고 기능적인 기공은 1~8 복부마디에만 있다.

생식구의 위치는 수컷은 9~10복부절 사이에, 암컷은 8~9복부절 사이(총채벌레아목)이거나 9~10복부마디 사이(관총채벌레아목)에 있는데 관총채벌레아목은 산란관이 없다.

총채벌레의 생활사

특이하게도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들 중에 번데기 기간을 겪는 곤충이다. 4령부터 제1번데기가 되며, 5령은 제2번데기가 된다. 4~5령은 이전 단계와 달리 불완전한 형태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 성충 또는 약충으로 동면한다.

진딧물 등을 잡아먹는 일부 종들을 제외한 대부분이 식물체 조직 내에서 기생하거나 서식하는 해충이다.

총채벌레는 전세계에 약 5000종이 분포해 있으며 특히 열대 지방에 많이 퍼져 있다. 국내에는 2아목에 60여 종이 분포한다.
  1. 이렇게 나 있는 것을 보고 총채같다고 하여 총채벌레라고 부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