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음기

gramophone_2242.jpg

蓄音機. Gramophone
원래 축음기는 일본식 표현이고, 한국에서는 유성기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축음기에 밀려 유성기 쪽이 쇠퇴한 상태.

1 개요

음을 기록 및 재생하는 기구. 의미만으로는 음악을 재생하는 모든 기구가 축음기가 될 수 있지만, 훗날의 물건들과 구별하기 위해 보통은 초창기에 나온 완전 어쿠스틱의 재생기만을 가리킬 때가 많다. 초창기 에디슨의 원통형 축음기부터 HMV등 유명한 회사들은 흔히 아는 나팔이 달린 태엽 축음기를 제작했다. 많이들 모르는데, 태엽과 나팔 시대의 축음기는 흔히 아는 LP판 대신 SP판을 사용한다. 이 시대에는 에디슨의 다이아몬드 디스크 라는 물건들이 만들어 지기도 했다. 수동식 태엽에서 벗어나 전기 동력을 사용하게 되고부터는 '전기 축음기'의 약자로 '전축'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고, 80년대까지도 오디오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잡고 있었다. 처음의 축음기는 에디슨이 발명했다.[1] 오디오가 기술상으로 크게 발전하는 데 발판을 만들어 주었고, 현재의 CD 플레이어의 원형이 될 수 있는 기계. 당시의 축음기는 아날로그 방식인 LP판을 사용하였기에 재생되는 소리는 지금의 소리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빈약하지만, 이런 소리를 좋아하는 팬 층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존재한다.

2 구조

일반적으로 음반을 회전시키기 위한 크랭크와 태엽, 그리고 소리 증폭을 위한 나팔관과 재생용 바늘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간혹 대형 몸체에 화려한 장식이 된 물건도 있고, 가구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3 원리

보통 축음기에 사용되는 LP판에는 미세한 홈이 파여 있는데, 바늘을 움직이는 LP판 위에 놓게 되면 바늘이 이 미세한 홈들을 지나면서 진동하게 되고, 그 진동을 나팔관[2]이 증폭시켜서 사람이 잘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소리를 키운다.

4 영향

전에는 1분정도 밖에 기록할 수 없었던 에디슨의 원통형 매체[3]를 바로 개량하여, 더 오래 음악 혹은 다른 음성 매체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본격적으로 오디오가 사람들에게 보급될 수 있도록 한 발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뒤 크기와 재질, 기록 방식을 달리 하면서 SP, LP, CD, SACD , DVD[4] 그리고 디지털 음악 파일까지 발전해왔다. 이 과정에서 사라진 매체도 적지 않다.
  1. 이전에 소리의 파형을 기록하는 포노토그래프라는 기계가 있었으나 기록한 소리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기계는 에디슨의 축음기였다.
  2. 사진에도 보이듯이, 나팔모양 처럼 생긴 관 이름이다.
  3. 흔히 납관이라 불렀다.
  4. 영상 없이 음악만 기록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