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력

1 개요

판단력: 무언가가 더 옭고 그른지의 상황을 내리는 지능

2 상세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다.

- 장 폴 사르트르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합니다.

- 금성사(現 LG전자) 광고 문구

인간이 합리적이고 후회없는 판단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제이자 인생을 원활하게 사는 데 가장 중요한 개념. 만에 하나 판단력이 좋지 못 하다면 순간의 판단 미스로 눈 앞에서 굴러온 절호의 기회를 날려버릴 수 있다.

판단력을 굳이 분류하자면 감성의 영역에 있는 능력이다. 의외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무언가를 결정한다는 일은 철저한 계산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선택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판단력의 주요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굳이 따지자면 우뇌의 영역 즉 감성능력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통해서 어떤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가령 바르셀로나와 3부리그 팀이 붙을 경우 우리는 그동안 바르셀로나의 경기와 보진 않았지만 이름모를 3부리그에 있는 팀의 결과를 예상할 때 대략적인 이미지로 판단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서 우리는 바르셀로나가 경기에서 이길 것이라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 이는 정확한 데이터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보아왔던 총체적인 경험의 합을 통해서 판단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이에 따라 맹점이 존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서 어떤 형상에 대한 이미지를 통해서 추론한다는 개념으로 판단력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내릴 수 가 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활용이 될 수 있는 예이다 .가령 삼성 vs 애플의 구도로 갔을 때 브랜드 가치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그동안의 경험의 합으로써 인식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사람마다 삼성과 애플에 대해서 가지는 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에 삼염충과 앱등이의 전쟁은 결코 종결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A급 연예인 B급 연예인을 분류할 때도 명확한 기준이 아닌 인물 자체가 아닌 본인의 이미지에 근거하여 분류를 하게 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더 심화해서 생각해보자면 어떤 사람에 대한 선입견 역시 하나의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옷을 야하게 입는 여자는 헤픈 여자일 것이다. 이런 전제들이 사실은 논리적인 것보다도 이미지를 통해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어떤 사람에 대해서 매력적이다. 별로다 이렇게 판단을 하게 되는 것도 데이터를 통해서라기 보다는 느낌에 가까운 경우가 있는데 바로 이것도 판단의 일종이라고 보는 것이다.

운동이던 게임이던 정상급에 있는 선수들에게 어떻게 그렇게 경기를 잘 할 수 있냐고 물어보면 말로 표현해내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그것이 바로 이런 이미지를 통해서 사고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기업에서 광고나 이미지 구축에 혼신의 힘을 다하는 이유가 이것 때문.

그러다보니 정확한 판단에 대한 기준을 잡기가 굉장히 애매하다는 것도 사실이다. 기존의 이미지에서 나온 추론이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가 없다면 새로운 결론을 끌어내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열려있는 마음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에 대해서 재고를 하는 것이 항상 중요하다. 올바른 판단을 하고 싶다면!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살라고 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이미지의 중요성 때문이다. 우리가 무언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이미지 즉 연상하고 상상하는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무언가를 보고 좋은 방향으로 가져갈 수 있는 이미지가 있다면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 때 그 이미지가 주는 느낌대로 행동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는 삶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기 때문에 올바른 세계관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셈. 한 가지의 선택을 하는데 있어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대해서 혹은 어떤 사고방식에 지배받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장고 끝에 악수가 나온다. 처음에 생각한 답이 정답이다. 등 무수하게 인간의 판단력에 대한 메커니즘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이진 않지만 많은 부분에서 그동안의 경험이 틀린 답을 제시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갈수록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보단 기존의 가치관을 고수하는 경향이 커지게 된다. 판단력을 키우기 위해선 항상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고력이 있어야만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