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티롭

パティロップ/Patty Lop
603px
603px
603px

자매 기술단 "롭 매지션스"에서 마술을 담당하는 언니로봇.
탁월한 마술실력과 마음에 들지않는 손님에게는 아무렇지도 않게 발포하는 자유스러움으로 스테이지에서 환성과 비명이 끊이지 않는다.

개틀링의 구세주!! 마술사 패티롭!!

300px
코즈믹 브레이크 컬렉션 카드 중[1] 롭 시스터즈 카드. 우측은 동생이자 조수인 레니롭.

1 성능

레벨 0 기준(순정 완성품 기준)

타입사이즈코스트최대 에너지체력근접원거리달리기비행인내
S820905345171718108

각 파츠별 성능

타입사이즈코스트용량체력근접원거리달리기비행인내비고
패티롭BDS46590522512121352내장 SUB: PUPPET SHOW
패티롭HDALLM4525112-12BD에 고정
패티롭LGALLS3520-11212BS 접속 가능
패티롭BSS35201-132
패티롭AMS40201212-1BD에 고정
패티롭AM2S5035321BD에 고정
가제트햇M150AM2에 고정
장비 MAIN:
SUB:
퍼펫 비트고정

1.1 카트리지

명칭코스트비고
최대 에너지 +70/용량 +7025체력 +10, 5회
본체 무기 강화/내장무기 강화302회
탄 방어 상승/실탄 방어20
검 방어 상승/검 방어20
폭발 방어 상승/폭발 방어15
대 스턴 저력/스턴 복구15
원더비트 HP 상승/원더 터프니스20
대쉬 저항 강화/터프 러너20
스웨이/스웨이15
숏 점프/숏 부스트15
부스트 러닝15레벨 6 이상
착지 안정/퀵 랜딩25레벨 6 이상
상태 이상 저항/퍼스트 리커버리20레벨 6 이상
스텔스 시스템40레벨 9 이상
화력 기동/무빙 버스트20레벨 9 이상

2 필요 경험치

레벨12345678910
2304609201610253034509200138002300036800

3 기체 설명

코즈믹 브레이크에 등장하는 S사이즈 육전형 기체.성우는 키사카 리오 (貴坂理緒)
자매 기술단 "롭 매지션스"(혹은 롭 시스터즈)의 마술을 담당하는 언니 기체.
자매기믹에서 흔히 볼수 있는 사고뭉치에 나서기 좋아하고 바보인 언니 컨셉으로 전투스타일도 동생레니롭과 대조된다. 바니걸 일색인 동생과는 달리 토끼귀를 제외하면 전부 마술사 컨셉으로 헤드 악세사리를 착용하면 토끼귀가 사라진다. 복장의 컨셉탓인지 날씬한 동생과는 달리 좀 펑퍼짐하고대신 슴가는 우월! 육중한 다리! 모양새도 좀 엉성한 느낌.

기체의 특징은 고정 원더비트인 퍼펫 비트. 토끼 모양 인형 4개를 소환하는데 고정된 순서에 따라 들고있는 무기가 다르다. WB게이지와 무관하게 BD 내장무기를 사용하여 소환하는데 기본 잔탄은 4발. 본체강화 카트리지로 1회에 4발씩 추가가 가능하며 2회 가능하긴 하나 1회 강화만으로도 충분하다. 한국 서버 기준으로 2012년 8월 24일 패치로 기본 잔탄이 8발로 증가하여 본체강화 카트리지를 찍지 않아도 충분한 잔탄을 지니게 되었다.[2] 게이지 충전이 필요없는 잔탄제 소환에 공격능력도 괜찮고 지속 시간도 길며 전개 폭이 커서 나름대로의 방패도 되어주지만 자체의 내구력이 낮고[3] 고정형이며 비트 자체의 무장도 순서에 따라 나오기 때문에 일관성이 떨어지고 다른 비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소환하는 비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603px

  • "머스킷" x 2, "서킷 브레이커" x 2
  • "리퍼x2" x 2 (2개체를 한개로 친다.)
  • "SB피쳐" x 4
  • "핸드 머신건" x 2, "샷건" x 2

이 중 브레이커에는 14분의 3 정도의 폭발 대미지가 분포되어 있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 가장 위협적인 비트는 아무래도 낫 비트. 반응 속도가 빨라서 피할 공간이 없다면 40급 위력을 고스란히 맞게 된다.

왼팔의 고정무장인 가제트햇은 개틀링 내장 실크햇이라는 무시무시한 물건으로, 개틀링과 해머의 복합무장. 개틀링의 경우 집탄율이 매우 좋고 데미지도 우수하지만 잔탄은 1000발로 여타 개틀링에 비하면 상당히 부족하다. 해머의 경우 단독으로는 영 좋지 않지만 격투콤보의 막타로서는 그런대로 괜찮은 성능.
일단 가제트햇은 소지 무기 판정이지만, AM2는 무기 파괴 데미지에 깨지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개틀링을 이용한 사격육전이 주가 되지만 기체의 능력치가 테크닉과 힘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개틀링을 서브로 하고 한쪽팔에 적절한 격투무기를 사용한 격투형으로도 가능하며 두 능력치를 적절히 분배한 하이브리드형도 가능했으나 기체 등장초기에 가능했던 이론상의 얘기다.

LL벌크 개틀링이나 휴즈 개틀링을 제외한 최고의 성능의 강력한 개틀링과 고기동성을 바탕으로 한 회피력, 탄수만 있다만 아무때나 꺼낼수 있는 비트와의 연계화력으로 최대한 딜링을 하는것이 본 기체의 제대로 된 성능발휘이다.


사격형의 경우 개틀링의 특성상 한방 위력은 떨어지므로 화력집중을 위해 적에게 노출되는 시간이 긴편인데 인내는 상당히 낮으므로 사용자의 회피능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순식간에 산화하기 십상이며 격투형의 경우도 S사이즈의 육전에는 난다긴다하는 격투기체들이 즐비하다. 때문에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려면 사용자의 능력이 요구되며 격투와 사격이 양립되는것은 동생과 동일과연 자매 대신 고정무장이 우수하므로 굳이 좋은 무기가 없어도 튠업과 카트리지조합만으로도 활약이 가능해서 사용 난이도는 언니쪽이 우월.바보캐답게 쉬운 공략난이도 다양한 고정무장탑재의 영향으로 여유코스트는 레니롭보다 빡빡한편.

같은 간판급 사격 육전인 코니 쉐리프와 비교하자면 적절한 한탕과 추격능력은 코니쪽이 우월하지만 이쪽은 비트의 높은 지상 저지력과 개틀링의 나름 푸짐한 장탄수를 이용한 장기전의 우월함이 있다.(물론 코니에 비해서 잔탄수가 많을 뿐 개틀링 중에서는 잔탄수가 상당히 적다.)

여담이지만 패티롭이 고정 개틀링을 들고 나오면서 전체적인 개틀링의 집탄율 향상이 있었다고 한다. 그야말로 개틀링의 구세주. 이제 히트건 든 지아스를 기다려 봐야지

동생과는 달리 파생형 그런 거 없다. 물론 파생형따위 없어도 동생보다 강하다... 였으나 도끼류처럼 회전 타격이 가능하며 한라봉펌프건을 탑재한 가제트 트렁크를 들고 마술사모자를 쓴 패티롭 PB가 등장했다.

2013년 3월 19일 부터 동생과 같이 로봇상점에서 RT로(3슬롯)으로 판매되고있다.

4 플레이 영상

코즈믹 브레이크북미서버 유저의 패티롭 소개영상.(영어)
  1. 메인 일러스트레이터 와카바씨의 그림들로 구성되어있는 한정카드들이다!
  2. 이것은 파생형인 패티롭PB도 동일하게 적용.
  3. 단 일반 비트보단 높은 편이며 원더 터프니스로 보완하면 꽤 견고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