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터

어도비사의 벡터 이미지 제작 툴에 대해서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illustrator.jpg
Illustrator[1]

1 개요

그림계에서 일러스트레이션(=삽화)을 그리는 사람. 원 뜻은 삽화가라는 좁은 의미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파인아트의 아티스트와 구별이 모호할 정도로 그 영역이나 수단의 경계가 확장되었다.

흔히들 일러스트레이션을 일러스트라는 축약어로 부르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일러스트는 사전에 없 엉터리 축약어다. 하지만 매스컴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하도 많이 사용한 단어다 보니 국어사전과 영영사전에도 실리게 되었다. 이제는 업계인조차 일러스트란 단어를 자주 사용할 정도가 되어서 거의 표준어로 자리매김했다.
그대로 부르자니 너무 긴지 일부 사람들은 일러스트레이터를 일러스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일러스트 + -er이라는 완전히 잘못된 단어다. 일러레라고만 해도 웬만하면 알아듣는다.

국내의 대부분의 일반인들, 일부 프로들조차(…) 게임 업계에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모두 지칭해서 일러스트레이터, 정확히는 게임 일러스트레이터라고 칭하나,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틀린 표현이다. 게임원화가를 통상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하지만 그것은 서로 다른 직종을 모두 뭉퉁그려서 말하는 것. 게임업계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와 콘셉트 디자이너[2]로 구별을 둔다.[3] 더 세부적으로 나누면 일러스트레이터는 광고를 위한 일러스트를 그리는 사람에 한정된다. 게임원화가가 설정 초안을 잡으면 일러스트레이터가 그 설정 초안을 기반으로 광고에 사용할 포스터를 제작하는 것. 하지만 일반인은 그냥 게임 원화가까지 일러스트레이터로 치부한다.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작업의 세분화가 정확하지 않고 영세한 업체가 많아서 이 두 가지 작업을 한 사람이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밀레. 이런 식으로 한국에서는 불명확한 용법이 너무 굳어져 버린 탓에 "일러스트레이터 = 채색된 그림을 그리는 사람"[4] 용법마저도 성립하게 되었다. 상술하였듯 업계조차 경계를 나누지 못할 정도. 반면에 해외의 큰 업계에서는 엄연히 일러스트레이터와 게임원화가(콘셉트 디자이너)는 구별해서 단어를 사용한다.

그 외에 대표적인 일러스트레이션(삽화)은 신문에 나오는 전국의 일기도나, 취업률 그래프 따위부터 동화책에 들어가는 것까지 엄청나게 다양하다. 인터넷상에 돌아다니는 모에류의 그림들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분류하기에는 애매모호하다.

좁은 의미로는 벡터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을 의미하기도 하다. 또는 이런 벡터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도 지칭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컨셉 디자이너(원화가), 일러스트레이터(삽화가), 그래픽 디자이너의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이 세 직군을 묶어 엔터테인먼트 디자이너라 부르는 추세다.

1.1 한국 내 입지

한국 내 전망은 단적으로 그리 좋다고 할 수 없다. 이원호 작가가 문화일보에서 연재한 소설 <강안남자>의 삽화를 맡았던 난나 작가(본명 장하경·42)는 업계에서 실력과 개성적인 화풍을 인정받아 삽화가로서 거의 정점에 있던 작가였으나, 경력이 쌓였음에도 비현실적으로 적은 고료[5]로 인해 제대로 된 생활을 할 수 없었고, 생계를 위해 논술학원 강사로도 일했지만, 작가적 롤모델이 없는 현실에 절망하여 2015년 11월 안타까운 선택을 하고 말았다.(기사) 그녀의 자살 소식은 한국 그림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고, 캘리그라퍼 겸 일러스트레이터 비차가 캘리툰으로 그녀를 추모하기도 했고,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흑요석트위터를 통해 난나 작가를 추모하는 한편 블로그에 본인의 경험[6]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전업 일러스트레이터로 살아가기 위해 외국어 능력이 필요할 수 있다"요지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유명 게임 원화가이기도 한 김형태인터뷰를 통해 한국은 일러스트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일러스트로만 먹고 살기 어려운 여건이라는 의견을 냈는데, 한국 일러스트 업계는 일러스트레이터 개인의 화보집 등으로는 자생할 수 없는 상황이며 사실상 소설이나 게임업계 등에 붙어있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했다. 해당 인터뷰의 김형태가 흔히 오덕계 화풍이라 불리는 그림체를 구사하는 작가인 만큼 모든 일러스트 장르를 포괄할 수는 없으니 어느 정도 걸러들을 필요는 있지만 난나 작가의 부고 뉴스와 연관지어서 보면 오타쿠 문화에 걸쳐있는 일러스트레이터이든, 순수 삽화 계열에 걸쳐있는 일러스트레이터이든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관련 문서

  1. 간혹 일러스트 레이터라고 띄어 쓰는 사람도 있는데 일러스트레이터는 영어로 illustrator이므로 일러스트레이터라고 붙여쓰는 것이 옳다. 일러스트 레이터라고 띄어 쓰는 건 애니메이터를 애니 메이터라고 띄어 쓰는 것과 같은 이치다.
  2. 번역하자면 게임 원화가.
  3. 예를 들어서 와우의 포스터를 담당한 일러스트레이터들과 콘셉트를 디자인한 콘셉트 원화가(게임원화가)는 엄연히 구별된다. 리니지2의 홍보용 포스터와 일러스트를 담당한 정준호는 세부적인 콘셉트 원화를 전문적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즉 리니지 2의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작업했다. 게임 원화는 다른 여러 사람이 담당했다.
  4. 채색이 되지 않은 흑백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대체로 만화가이기에 이런 분류가 가능해졌다.
  5. 후술할 기사에서 언급된 2010년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실이 연구한 ‘민간 노동력 중개 기구의 수수료 및 노동 실태와 개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출판사에서 일을 받아 작가를 주선하는 에이전시, 또는 출판사 등이 떼는 수수료는 25~50% 수준이라고 한다.
  6. 한복과 동양화풍 일러스트를 주로 그리다보니 국내 업계에선 그녀의 그림에 대한 수요가 부족한 편이었는데, 서구권에 소개되면서 상황이 좋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