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바움가르트너

felix-baumgartner-standing-in-his-capsule-about-to-dive-640x480.jpg

"I know the whole world is watching now. I wish you could see what I can see. Sometimes you have to be up really high to understand how small you are... I'm coming home now."

"세계가 절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저는 알고 있습니다. 제가 볼 수 있는 풍경을 여러분들도 볼 수 있길 빕니다. 언젠가 여러분들도 이렇게 높이 올라와서 여러분들이 얼마나 작은가를 알아야 합니다...저는 이제 집에 돌아갑니다."
ㅡ 2012년 10월 세계기록 갱신 점프를 뛰기 직전에 한 말.

이름펠릭스 바움가르트너 (Felix Baumgartner)[1]
출생1969.4.20
국적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출신 스카이다이버로, 16세 때 스카이다이버가 되기로 결심한 이후 세계의 여러 마천루에서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최초로 인조 날개를 달고 영국 해협을 건너는 등 갖가지 기록을 세우며 유명해졌다.

가장 유명해진 계기는 아무래도 2012년 10월 14일 레드불 스트라토스 (Red Bull Stratos)라고 불리는 스페이스 다이빙 프로젝트로, 그는 약 39km 상공에서 자유낙하하며 스카이다이빙 최고 고도 기록을 소유하게 됨과 동시에 사상 최초로 맨몸[2]으로 음속을 돌파한 사나이가 되었다.[3][4] 이 때의 점프는 유튜브 등을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되었다.

아래는 레드불에서 올린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이 당시의 복장을 보며 많은 우주덕들이 NASA 제미니 계획 우주복을 떠올렸다 카더라.

이 기록이 작성된 후 화젯거리 중에는 2003년 2월 1일의 STS-107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귀환 도중 공중분해 사고 당시 승무원들이 탈출할 수 있었더라면 이 기록도 훨씬 일찍 작성되지 않았겠는가 하는 탄식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 낙하 고도와 폭발 고도가 좀 차이가 있긴 하지만 조건이 마련되면 못할 것은 아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바움가르트너의 기록 역시 컬럼비아 참사를 큰 반면교사로 삼아 진행된 연구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보면, 그리고 애초에 탈출 방법이 원체 불편해가지고 실제 생존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는게 중론. 이 바움가르트너와 레드불 스트라토스 팀의 도전에는 STS-107 참사에서 부인 로렐 클라크를 잃은 후 우주 공간에서의 인류의 생존 연구에 투신한 NASA 항공우주의료팀 출신 조너선 클라크 박사가 의료팀으로 합류하여 크게 기여했다.
  1. 이동 실제 발음은 바움가트너에 가까운 듯.
  2. 이동 엔진기관의 도움 없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3. 이동 이 때의 공식적인 최고 속력은 약 마하 1.25라고 한다. 시속으로 따지면 대략 1,357㎞/h 정도.
  4. 이동 사실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세계 신기록을 한가지 더 세웠는데, 그것은 바로 기구를 통해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갔다는 거였다. 원래 기록은 1960년에 미국인 닉 피안타니다(Nick Piantanida)가 세운 37,640 m(123,500 피트)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