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히테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Johann_Gottlieb_Fichte.jpg
Johann Gottlieb Fichte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1762년 05월 19일 ~ 1814년 01월 27일

칸트[1]로부터 촉발되어 발전해나간 근대 독일 관념론의 대표적인 철학자들 중 한 명으로 그의 사상의 정수는 주관적 관념론(주관속에서 모든 것이 가능)이다. 그의 이어 쉘링은 객관적 관념론(객관속에서 모든 것이 가능)을 내세웠고, 헤겔은 피히테와 쉘링[2]철학을 교통정리하여 절대적 관념론을 내세워 근대철학의 하나의 완결된 형태의 것을 창출해내었다.

피히테칸트의 오성과 이성에 대한 개념 구분이 애매하다고 생각했고 필연성의 세계를 다루는 순수이성과 자유의 세계를 다루는 실천이성이 모순적인 관계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피히테의 철학은 그것을 해결하려는 데서 출발하게 되는데, 그는 이성이 윤리의 세계뿐만 아니라 필연성에 관계하는 학문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관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피히테가 칸트의 철학을 보완하였다고 하자 칸트는 내 철학은 이미 완결된 체계라며 발끈하였다.

피히테에게 있어 경험은 대상에 대한 경험이 아니라 앎(Wissen)에 대한 경험인데, 이에 따라 그는 앎을 대상으로 하는 철학인 지식학(Wissenschaftslehre)을 정초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자아는 앎의 출발점인데 이는 더이상의 전제를 가지지 않는, 모든 앎이 이끌려나올 수 있는 원칙으로서, 데카르트의 것과 유사한 면모가 있다. 자아는 단순히 사유하는 주관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자아아며, 자아는 절대적으로 독자적으로 활동하며, 자아의 활동은 무한한 것이다. 자아는 결코 외부의 어떤 것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신의 끊임없는 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피히테의 자아의 본질은 하나의 고착화된 사실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을 드러내는 역동적인 작용인데, 이를 사행(Tathandlung)이라 한다. 사실이라는 것은 이러한 자아의 적극적인 행위, 즉 사행의 결과이며, 자아는 자기의식(Selbstbewußtsein)으로 표현된다. 사행은 판단, 추리하는 이론적인 힘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정립하는 실천적인 힘이다.

사행을 근본적인 존재특성으로 가지는 자아엔 지식학을 가능케 하는 근본적인 도구로서의 세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로, 자아는 스스로를 정립한다.(동일률의 근거) 이것은 범주의 하나로서 실제성을 유도한다. 둘째로, 자아에 대하여 비아가 정립된다.(모순율의 근거) 이것은 범주로서 부정성(Negation)을 유도한다. 셋째로, 자아는 나눌 수 있는 자아에게 나눌 수 있는 비아를 정립한다.(근거율의 근거) 이것은 자아에게나 비아에게만 머무르는 정립이 아니라 양자를 모두 포괄하는 정립으로 제한(Limitation)의 범주를 유도한다.

자아(Ich)는 자신을 정립하면서 세계와 관계하고, 자아의 정립하는 활동에 거스르는 비아(Nicht-ich)가 다가오는데, 비아는 자아에 속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사행을 통한 자아의 자기정립에 거슬러 자아에 대해 반정립한다. 비아의 반정립은 이미 자아의 정립을 전제로 하기에 첫번째 원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자아와 비아는 갈등관계이다.

피히테의 철학을 종합하자면, 자아의 정립과 비아의 반정립이 대립하는 구도에서 절대적 자아가 그 대립을 지양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비아가 자아를 제한 또는 규정하는 것은 이론적인 것이며 이론적 학문을 성립시키고, 자아가 비아를 규정하는 것은 실천적인 것이며, 자아의 정립을 통해 대상인 비아를 규정하고 제한하는 실천적 학문을 정립시킨다. 그런데 이 구분은 자아가 비아와 관계하는 방식을 통해 구분되는 것일 뿐이다.

피히테는 자아의 정립하는 행위를 근본적으로 긍정하였고, 실천적 자아의 우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를 통하여 칸트의 철학에 있어서의 이론이성과 실천이성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비아는 모든 대상들의 전체를 의미하며 자아의 적극적인 활동에 의해 생기고, 자아의 존재는 궁극적인 출발점이 되는데 여기서 '궁극적 자아'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궁극적 자아는 비아에 의하여 생기는 부정과 갈등을 넘어 자신의 존재를 궁극적으로 정립하는 탁월한 자아이다. 피히테의 철학은 자기 자신만을 정립하는 유한한 자아가 비아의 저항과 부정을 제거하고 자신을 정립시키는 절대적인 자아로 나아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절대적인 자아는 실체로서 스스로를 정립하는 자아, 즉 절대자인데 이는 신과 같은 존재이다. 그러나 이것은 신비주의적인 개념이 아니고, 자아의 사유활동과 능동적으로 자신을 정립시키는 도덕적인 행위를 통해 드러나는, 자아 속에 숨은 신이다. 여기서 사행은 변증법적인 것으로서 자아와 비아의 갈등을 거쳐서 자기자신을 무제약적으로 정립시키는 탁월한 능력이다. 자아의 자기정립은 비아와의 대립을 넘어 절대적 자신을 정립하는 것으로서, 절대적인 자아를 논리적으로 전제해야 한다. 즉 이미 자아 속에 비아의 반정립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1. 칸트는 피티헤가 자신의 철학을 완전히 오인하고 있다고 했으며, 피히테의 학설은 기분나쁜 '자아 작용'의 반복이라고 평하였다
  2. 쉘링 역시 원래는 피히테주의자였으나 나중에는 이를 극복한다. 또한 헤겔에 대해서는 그는 자신의 사상을 훔친 가짜라면서 비난하는 태도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