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오브 카드(영국 드라마)

마이클 돕스가 제작한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BBC에서 1990년 방영한 3편의 시리즈로 구성된 정치 드라마. 총 3편으로, House of Cards (1990), To Play the King (1993), The Final Cut (1995) 로 구성되어 있다. 책은 현재 출판사 푸른숲에서 차례로 번역중.
미국 넷플릭스에서 2013년 이를 미국 정치 배경에 상황으로 재구성하여 시리즈를 제작하였다.

이 문서를 찾아본 이들은 대체로 미국판 하우스 오브 카드를 찾아보다 넘어왔을 것이고, 유사성이 큰 관심거리일 것이다.
미국판과 비교하자면 Season 1에 해당하는 House of Cards의 큰 줄거리의 흐름과 등장인물들의 유사성이 강하다. 다른 점이라면 영국이 입헌군주제로 대통령제인 미국과는 정치적 상황이 다르며, 소재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달리 보수당과 진보당 두가지로 크게 나뉘어져 서로 대립하는 여건을 활용한다는 점, 개인의 입신을 위해 주변 환경을 능수능란하게 활용한다는 점이 미국판 시리즈에 공히 활용되는 설정이다. To Play the King과 The Final Cut 두 시리즈는 주인공의 굴곡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부분만 제외하고는 미국판은 순수 창작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시즌 전반의 주요 내용은 주인공인 프랜시스 어카트(Francis Urquhart)가 대권(총리)을 잡기 위해 권모술수를 펼치고, 총리가 된 후 승승장구하면서 정적을 없애다가, 실정을 통해 몰락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1. House of Cards - 어카트가 어떻게 수상 (Prime Minister) 이 되었는가
2. To Play the King - 자신의 정책에 반대하는 국왕(가상의 영국왕)을 어떻게 이기고 끌어내렸는가
3. The Final Cut - 세계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다가 괴물이 되어 가면서 어떻게 죽음에 이르게 되었는가

1 배경

이 드라마은 마거릿 대처의 사임을 암시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주인공이 화면을 보며 영원한 권력은 없다는 말을 하며 미소를 짓는 것이 인상적이다. 당시 대처 하 영국은 강력한 자본주의 중심의 성장을 주도하여 노조와 대립, 노동자 계급의 임금 격차 심화와 고용 안정성 불안을 야기하였으며, 공공 서비스 비용의 삭감으로 성장 만큼의 분배가 이뤄지지 않았던 시기였다. 살기좋고 따사로운 새로운 영국을 만들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던 시기였으나, 누가 리더십을 발휘하여 국민들을 이끌지 의견이 분분하던 정치적 혼란기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

2 줄거리

작중 주인공인 프랜시스 어카트는 보수당(Conservative Party) 원내총무(Chief Whip)로, 자신이 속한 당에서 총리가 배출되도록 전력을 다하였으나, 그에 상응하는 지위인 당대표를 맡지 못하는 것에 앙심을 품고 권모술수를 활용하여 총리를 몰아내는 마음을 먹는 것으로 시작한다. 미국판도 동일하게 선거의 승리에 따른 보상이 주어지지 않자 교육개혁 법안을 다루는 것으로 장악력을 키우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여기자 매티 스토린(Mattie Storin)과 만나 모종의 계약관계를 맺게된다. 그러나 매티가 연상의 강한 남성상을 그리워 한다는 점, 어카트는 오래동안 딸을 가지고 싶었으나 자식이 없는 점 등 상호간의 불륜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여건(?)을 확인하면서 불륜관계로 발전한다.

3 등장인물

  • 프랜시스 어카트(Francis Urquhart)
  • 엘리자베스 어카트(Elizabeth Urquhart)
  • 팀 스탬퍼(Tim Stamper)
  • 매티 스토린(Mattie Storin)
  • 빌스보러 경(Lord Billsborough)
  • 마이클 사무엘스(Michael Samuels)
  • 코더(Corder)
  • 사라 하딩(Sarah Harding)
  • 국왕(The King)
  • 브루스 불러비 경(Sir Bruce Bullerby)
  • 톰 메이크피스(Tom Makepeace)
  • 헨리 콜린리지(Henry Collingridge)
  • 패트릭 울턴(Patrick Woolton)
  • 조프리 부자-피트(Geoffrey Booza-Pitt)
  • 클레어 칼센(Claire Carlsen)
  • 맥스웰 스탠브룩(Maxwell Stanbrook)

4 비교

4.1 설정

  1. 화면을 바라보며 속내를 이야기 하는 설정은 미국판도 동일하다. 그러나 영국판이 더 다정다감하다. 특히 매티를 죽이고 나서 시청자들을 바라보며 아무 것도 묻지 말라는 제스쳐를 취한다. 이러한 대사 방식은 매우 독특한데, 케빈 스페이시가 Ellen 쇼 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세익스피어의 헨리3세의 연출 방식이라고 한다.
  1. 주인공의 이름이 Francis Urquhart 이다. 한편 미국판은 Francis "Frank" Underwood 로 이름이 유사하다. 줄여서 FU라고 부른다. 미국판 Season 2 첫회에서 앞글자를 딴 커프스 링크을 선물 받는데, 영국판의 오마주이다.
  2. 영국판에서는 90년형 벤틀리를 타고 다니며, 미국판은 캐딜락 SUV를 타고 다닌다.
  3. 자동차 운전 및 보디가드 역할을 하는 인물들이 더러운 일들을 처리한다는 점은 유사하다. 단, 미국판에서는 운전사의 존재가 큰 반면, 영국판에서는 별도의 보디가드가 등장한다.
  4. 프랜시스 어카트는 보수당이나, 프랭크 언더우드는 민주당이다. 드라마가 만들어질 당시의 양국의 집권당을 설정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5. 배우자의 역할과 비중이 다소 다르다. 영국판에서는 주인공을 다독이는 역할이 크고, 필요시 나서서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잘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다 시즌 3에서 갑자기 비중이 높아지면서 어카트의 죽음에 기여한다. 한편, 미국판에서는 UN에 까지 활동무대를 넓히고 적극적으로 남편의 행보에 기여한다.
  6. 미국판에서는 자신이 직접 더러운 일에 나서는 비중이 다소 적다. 영국판에서는 사기, 도청, 독약주입, 살인교사등을 직접 행한다. 영국 신사의 표본으로 보이는 사람이 눈 하나 깜짝 않고 독약을 타는 장면은 백미.
  7. 미국판과 달리 영국판이 여성편력이 강한 것.....으로 나온다. 시즌 1-3까지 주요 여성 배역들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심지어 당시 공중파로서는 과감한 연출까지...
  8. 어카트와 매티의 관계가 다소 로맨틱하다. 미국판의 경우 기자(조이 반스)와 주인공의 관계가 건조하고 업무적 관계(?)이지만, 영국판에서는 정신적 교감의 관계로 그려진다. 그런 이유로 갑작스러운 매티의 죽음이 충격적으로 묘사된다. 이때문에 1편에서의 매티의 죽음이 시즌 2, 3에서 계속 변주되며 간간히 살인을 정당화하는 장면이 나온다. 감정이 없지는 않았던 듯.
  9. 미국판 시즌 2부터는 군주제도의 차이점, 외교적 문제와 국정 문제의 디테일이 달라 내용의 공통요소가 상당히 적다. 미국판 시즌 2부터는 원래 이야기와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이다. 그러나 등장인물들의 긴장요소는 유사점이 존재한다.

4.2 트리비아

  1. 프랜시스 어카트가 여기자 매티를 만나서 한 대사가 큰 유행을 했다. " You might very well think that(용케도 그런 생각을 했군요)", 와 "I couldn't possibly comment(내가 해줄 말은 없습니다.)". 미국판에서 프랭크 언더우드가 조이 반스를 처음 만났을때 동일하게 트리뷰트 격으로 다시 활용되었다. 사실 미국식 영어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 표현이다.

5 기록

  • 영국 100대 드라마 순위중 84위로 랭크되어 있다.
  • 주인공 프랜시스 어카트를 연기한 이언 리처드슨은 1991년 BAFTA TV 어워드에서 최고 배우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