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휴게소

1 개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직접가는 버스가 없을때, 다른도시에서 도착지로 가는 시외/고속버스로 갈아 타지 않고, 휴게소에서 갈아탈 수 있게 만든 곳이다.

2 역사

이전에는 고속/시외버스에서 환승을 위한 정차라는 개념이 없었으나 [1] 시외버스를 타고 모든 도시로 갈수 있는 게 아닌 이상, 주위 도시로 가서 갈아 타는 불편함이 있었다.
2009년 국토교통부(당시 국토해양부)는 휴게소에서 버스를 갈아 탈 수 있게 할것이라 했으며, 11월부터 정안 휴게소횡성 휴게소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한다고 하였다.2009년 11월 2일에 휴게소 환승제도가 시행되었으며. 2010년 3월 2일에 선산 휴게소에서도 환승할 수 있게 되었으며.2011년 10월 31일 이후 인삼랜드 휴게소에서도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8월 8일 정안 휴게소가 정안알밤 휴게소로 변경되었다.

3 노선

총 4개 휴게소에서 시행되고 있다. 노선은 코버스이지티켓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일부 노선[2]터미널협회 쪽에서 조회가 되는 경우도 있다.
파일:환승휴게소.png [3]

아래 표에서 빠진 노선은 추가바람

고양백석 ← 횡성 휴게소 →강릉
대전동해
동서울삼척
서울경부
파주문산
파주운정
고양백석 ← 정안알밤 휴게소 →전남강진
동서울고흥
부천광양
상봉광주
서울호남(센트럴시티)김제
성남(분당)나주
수원남원
시흥(시화)녹동
안산논산
안성담양
용인동광양
용인신갈목포
의정부벌교
인천보성
천안순천
여천
여수
연무대
영광
영산포
완도
전주
정읍
진도
해남
군산
동서울← 선산 휴게소 →경주
서울경부김해
성남(분당)김해장유
수원내서
용인대구한진
용인신갈대구동양
의정부마산
인천밀양
천안부산
청주서부산(사상)
서대구
영천
울산
진해
창원
창원역
포항
고양백석 ← 인삼랜드 휴게소 →진주
대전진주개양
동서울통영
부천고현
서울경부
서울남부
성남(분당)
수원
용인
용인신갈
인천
천안
  1. 시외버스를 시내버스처럼 운영하는 제주도는 예외.
  2. 특히 전환고속 노선
  3. 출처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