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6월 진행 상황.
1 상황표
상세 진행상황 및 감염, 사망 정보 | |||||||||||||||||||
201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15년 | 1월 | ||||||||||||||||||
발병국가 및 관련 국가 | 에볼라 치료제 개발진척도 |
5월 | → | 6월 | → | 7월 | ||||||
조사일자 |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6월 2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
감염상황 | 291명 감염 | 193명 사망 | 13명 감염 | 9명 사망 | 50명 감염 | 6명 사망 | 354명 감염 | 208명 사망 | ||
조사일자 |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6월 5일[1]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
감염상황 | 344명 감염 | 215명 사망 | 13명 감염 | 9명 사망 | 81명 감염 | 7명 사망 | 438명 감염 | 231명 사망 | ||
조사일자 |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6월 10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
감염상황 | 372명 감염 | 236명 사망 | 13명 감염 | 9명 사망 | 89명 감염 | 7명 사망 | 474명 감염 | 252명 사망 | ||
조사일자 |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6월 18일[2]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
감염상황 | 398명 감염 | 264명 사망 | 33명 감염 | 24명 사망 | 97명 감염 | 49명 사망 | 528명 감염 | 337명 사망 | ||
조사일자 |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6월 24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
감염상황 | 390명 감염[3] | 270명 사망 | 51명 감염 | 34명 사망 | 158명 감염 | 34명 사망 | 599명 감염 | 338사망 |
2 상세
6월 2일자 조사에서, 누락인원이 있다는 첩보가 입수되어 6월 2일자 조사자료가 정리되자마자 벌인 비상조사 결과 엄청난 증가량이 확인 되었다. 누락인원의 발생은 에볼라가 위험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된 현지인들이 감염사실을 숨기고 시체를 신고하지 않고 무단으로 유기, 추가 감염이 발생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6워 18일, 라이베리아의 수도인 몬로비아의 대형병원에서 감염자가 확인 되었다. 이 일로 인해 도시로 확산위기론이 정설로 굳어졌으며 동시에 사망자와 감염자의 비교를 통한 감염시 사망율에 대한 발표를 했다.
발표된 치사율은 75%로 발표했다. 학계는 그나마 "예측치보다 5%정도 치사율이 낮아 다행이다"라는 어쩌자는 건지모를발언을 내놓았다.
단, 이 발표의 치사율은 기니현지의 조사를 기본으로 한 것이며 타지역의 자료는 고려되지 않아 CDC를 대표로하는 타국가의 의료기관 발표와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 치사율 조사치가 낮은 곳은 65%대이며 높은 곳은 85%대이다.
6월 20일, WHO가 기니의 인접지역으로 확산되었음을 인정하는 발표를 내놓았다. 이번 에볼라 유행이 본격적인 국제문제로 인식되는 계기가 된 날이기도 하다.
6월 24일 정기조사 후, 국경 없는 의사회에서 감염을 막기 위한 방법이나 해결안이 없다는 충격적인 발표를 내놓았다.
6월 30일, 시에라리온에 현지 지부를 개설한 영국의 광산채굴 업체인 런던 마이닝이 현장 필수 인력을 제외한 사무직원과 현지스탭의 철수를 선언했다. 사전 예고 없이 갑자기 시행된 갑작스러운 철수선언이라 동종업계에선 런던 마이닝을 겁쟁이라고 일제히 비난[4]했지만 런던 마이닝은 현지 고용인력 중 50여명이 이미 에볼라로 사망한 상황이었다는 자료를 공개하며 "다른 회사들도 어서 철수하는게 좋다"라는 발언을 내놓았다. 그리고 하루가 안되어 CTAA를 필두로한 채굴업체들이 하루만에 모두 짐을 싸 시에라리온을 벗어나는 엑소더스를 선보였다. 이 철수로 인해 시에라리온의 대형 시장인 칼리하룬 시장이 폐쇄되고 외화를 지불하는 외국계 기업들이 모조리 빠져나가 칼리하룬 은행의 외국환거래 부분이 정지 됨과 동시에 기간폐쇄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