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성 6부제

1 총강

3성 6부제란 교과서적으로 말하자면, '당나라의 중앙통치조직으로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의 3성(省)과 그 성 아래의 이, 호, 예, 병, 형, 공부의 6부로 이루어진 체제'이다.

이를 채용하여 통치한 국가가 한국사에도 둘 있었는데, 첫째로 발해는 3성 6부를 그대로 따 왔으나 그 명칭과 운영방식에 독자성이 있었다. 둘째로 고려는 3성 6부제를 모방한 2성 6부제를 운영하였다.[1] 하지만 고려의 경우는 도병마사, 식목도감이라는 특유의 귀족회의가 있어 귀족적 성격을 가진다.

동양의 중앙행정체제로, 그 시작은 수나라이지만 중국을 통일하고도 40년도 가지 못한(...) 수나라의 짧디 짧은 역사로 인해 아무래도 초기의 3성 6부제는 당나라에서 찾는 경우가 많다. 밑의 발해와 고려 항목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나라의 실정에 맞게 형태를 고치거나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흔했다. 고려같은 경우 나중에는 중서성이라는 이름을 썼으나 초기에는 내의성이라는 이름을 써 최고 장관의 직함도 내의령이었다. 중서성의 최고 장관은 중서령, 문하성의 최고 장관은 문하시중, 상서성의 최고 장관은 상서령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성의 장관은 그 품계도 최고위급에 해당하는 정 1품, 혹은 종 1품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시대 상황에 따라서 실권이 없는 명예직이 되는 경우가 흔했다. 아니면 생존해 있는 사람은 거의 임명되지 않고 죽은 후에 추존으로나마 직함이 쓰이는 경우도 있었다.

시대와 권력관계, 국가에 따라 역할이 다르긴 했으나 중서성과 문하성이 일종의 입법기관과 같은 역할을 했다면, 상서성은 6부를 통솔하여 직접적인 행정과 관련되는 역할을 맡았다. 중서성이 제안을 하면 문하성이 그 제안을 심사하고, 문하성에서 통과된 안이 상서성 산하의 6부를 통해 시행되는 형태였다.

발해와 고려는 물론, 일본에까지 어느정도 영향을 미쳤는데, 일본의 경우 성과 부의 형태가 아닌 관과 성의 형태(2관 8성)의 형태로 나타났다. 종교적 업무를 담당하는 신기관과 행정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태정관이 있고, 태정관 산하에 중부성, 식부성, 치부성, 민부성, 병부성, 호부성, 대장성, 궁내성의 8성이 존재하였다.

2 발해의 3성 6부제

  • ( )안은 당의 관제임.

문왕 때 편제된 중앙정치조직으로 왕 아래에 정당성(상서성),선조성(문하성),중대성(중서성)을 두었다. 당의 관제 방식을 따랐으나 명칭과 운영을 독자적으로 했다.

  • 정당성 밑에 좌사정, 우사정을 두고
  • 좌사정 밑에 충부(이부) ,인부, (호부), 의부(예부)
  • 우사정 밑에 지부(병부), 예부(형부),신부(공부) 를 두었다.

3 고려의 2성 6부제

성종 때 편제된 중앙정치조직이다. 3성 6부제를 받아들였지만 고려의 실상에 맞게 중서성과 문하성을 통합해 중서문하성과 상서성 2성을 두고 그 하위로 6부를 두었다.조선과 달리 6부의 순서는 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이다.
  1. 중서문하성, 상서성의 2성, 이, 병, 호, 형, 예, 공부의 6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