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유럽사

AP European History

미국 고등학생 대상 대학과목 선이수제인 AP에서 제공하는 과목 중 하나. 인문의 최종보스이다. 미국에서 고등학교 다니면서 이렇게 다양한 암기거리, 읽을 것, 쓸 것, 말 할것이 많은 과목은 정말이지 전무후무하다.

AP 미국사가 250년을 다루면서도 암기해야 할 것이 많은 것에 반해[1] AP 유럽사는 조금 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암기가 전부가 아니다.

AP 유럽사에서 배우는 주요한 주제는:

  • 중세 후기 사회
  • 르네상스
  • 종교 개혁
  • 과학의 발전과 계몽주의
  • 제국주의와 중상주의
  • 17세기 근대 국가의 부상[2]
  •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
  •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 자유주의와 국가주의(Nationalism)
  • 양차 대전
  • 냉전시기

이중 자유주의와 국가주의에서 아시아도 다루기는 하지만 에세이 주제로 나온 경우는 거의 없다. 원체 아시아에 대해서 아는게 빈약해서 그런지 교과 과정에서도 아시아는 후딱 지나가는 편이다.(...) 아니 애초에 유럽사인데 아시아를 심도 있게 다루지 않는게 당연하다. 안 그래도 그나마 가르치는 학교에서도 분량 과다로 인하여 학기 말 1차 세계 대전 이후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자~ 이 부분은 뭐 영화나 그런 것도 많고 하니깐 다 알지? 대충 지나간다~"하고 후딱 말아 먹고 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지역적인 범위를 넓힌다는거 자체가... 그래도 오스만 제국 같이 이슬람권에서 유럽과 워낙 교류가 많았던 부분은 어느 정도 다룬다.

말했듯이, 이 과목은 암기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인 이해를 중점으로 둔다. 정말로 원인과 결과를 중요하게 여기고 차근차근 분석을 해가면서 풀어나가기 때문에 대법원 판례 외우고 대통령 목록 외워서 풀어나가는 미국사와는 다르다. 특히나 유럽사 아니랄까봐 각국의 군주와 그들의 행적도 꽤 외워가야 한다는 것도 문제. 그래서 어느 AP 과목들보다도 5점 나오는 비율이 적고 정말 5점이 나오면 대단한거다. 한다하는 미국의 너드들도 이 과목에선 혀를 내두르면서 피를 많이 볼 정도.(...)[3]

위의 주제들의 목차를 봐도 알 수 있겠지만, AP 유럽사 과정이 추구하는건 결국 르네상스->종교개혁->계몽주의->쌍두혁명[4]->모더니즘으로 이루는 유럽 역사를 형성한 지식사적 거대 조류의 형성과 발달을 추적하는 것이며, 이는 즉 서양사 전체를 궤뚫는 질문인 근대성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커리큘럼 짠 교수들이나 생각 했을 법한 거대 담론은 집어 치우고, 이게 실제 수업에서 뭘 의미하느냐면 다른게 아니라 미칠듯한 분량의 1차 사료 탐독이 필요하다. 위에 열거 된 굶직한 역사적 사상 체계의 대표작 모두 한번쯤 들여다 보고, 그에 대한 바닥 없이 깊은 분석과 해설, 주석을 달아야 한다. 좋은 의미로는 이 수업을 제대로 들었다면 15세기 이후 서양 고전의 대부분은 상당수 들여다 보게 된다는 뜻이고, 직설적으로 말하면 고교 시절 일년을 마르틴 루터,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애덤 스미스 같은 냄새나는 죽은 백인 양반들과 씨름이나 하며 보내게 된다는거다 야 신난다.

이것 저것 귀찮으면 다 때려 치고 초인적인 암기로 어느정도 커버 할 수 있는 다른 인문-사회과 과목들과는 급을 달리한다. 역사적 조류 하나 하나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그 전후의 사건들과의 철저한 인과 관계 형성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인문학적 태제 형성 능력이 중요한데, 이런 능력은 보통 대학 가서 학부 때 기초를 쌓고 대학원에서 완성하는 거다(...). 게다가 글쓰기. 미친듯이 글을 쓰게 된다. AP 유럽사 시험 자체가 두편의 에세이에 지대한 초점을 두니, 새로운 주제를 배울 때 마다 그에 대한 분량 긴 레포트를 써야 된다. 대학교도 아니고 우리나라로 치면 고2 정도 나이에 밤세워 꼬박 꼬박 사료 인용해 가며 겨우 쓴 폰트 크기 12에 더블스페이스 한 A4 용지 열몇 장 짜리 레포트가 교사의 빨간펜 죽죽 그인 걸레로 돌아 왔을 때의 참담한 기분은 겪어 본 사람만 안다.

그런데 의외로 한국인들에겐 상대적으로 쉬울수가 있다.오늘도 밤새며 DBQ를 쓰고 있는 어떤 불쌍한 위키러가 코웃음을 보낸다 한국에서 중학교나 고등학교 1학년까지 다니다가 오고 이 시험을 친다면 자신이 아는 사람과 사상, 사건들이 꽤 나오기 때문.문제는 이름만 알고 있는 인물 한 명 한 명을 사료 하나하나 분석하면서 밤을 새며 공부해야 된다는 잔혹한 진실.. 한국 교과과정에서 조지 워싱턴과 링컨밖에 가르치지 않은 미국사보다야 훨씬 비중이 높으니 문제지를 착실히 읽고 책을 들고파면은 최소한 3점 아래로 떨어질 일은 없다.근데 진짜로 3점 맞으면 안 보는 것 만 못하다. 어차피 본인이 선택에서 시작한거니 일년만 고생해서 4점 이상 맞자작문 능력만 제외하면 말이다. 미국 문과에서는 아직도 유럽식 전통 그대로 역사학을 하든 경제학을 하든 '문장력' 자체를 당연히 갖추고 있어야 할 기본적인 학문적 소양으로 평가하며 이를 엄하게 평가 하는데 제대로 된 작문 교육은 대학교에 가서나야, 그것도 특정 전공에서만 배우는 한국인 학생들에게 의외로 쉬울 수 있다는 근거 없는 소리이다. 다시 말하지만 적어도 학교 수업 충실하게 들은 것만으로도 5점이 나올 수 있는 이 과목을 제대로 가르치는 학교라면 절대 수박 겉핡기 식으로 사건만 나열 하고 끝나지 않는다. 어디서 gpa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는데??

간단하게 생각해서 막상 깊이로는 별로 AP 미국사에 비해 얕지도 않은데(사회사, 경제사, 문화사, 플러스 미국사 보다 훨씬 더 광범위 하고 심도 있게 나오는 지식사...) 다루는 범위가 갑자기 500~600년으로 팍 늘어났고, 지역적으로나 내용 면으로나 훨씬 더 다양해 졌다고 생각 해 보자.(...) 다행히혹은 일부 역덕후들에게는 통탄의 한으로 AP 유럽사의 경우 학생들의 수요나 능숙히 가르칠 자격이 되는 교사들의 수나 충분하지 않아 가르치는 학교가 많지 않고, 그나마 있는 학교에서도 수강생 수가 10명을 겨우 웃도는 수준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서부의 아시안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AP 유럽사를 제공하는 학교에는 10학년들의 과반수가 이걸 듣는다고 한다... 뒤쳐지기 싫어서 이딴걸 고2때 들으면서 분노의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애초에 초인적인 노가다로 암기라도 하면 역사학적 안목이 없이도 어느 정도 커버 가능한 AP 미국사와 달리 AP 유럽사는 체계적인 학술적 분석 능력이 없으면 아예 다 배우는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확히 말하자면 미국인이라서 그런지 미국 교사들은 유럽사에 대해 잘 모른다.(...)

어찌 됐건 이 과목에서 5점을 받았다면 축하한다. 당신은 서구 문명, 나아가 서구 문명을 토대로 한 현대 문명의 큰 흐름과 기반을 탄탄하게 이해하고 이를 해석하는 방법을 터득한 것이다. 바로 그 능력으로 대학교 역사학과를 가서 본격적인 학자의 길을 걸을 수도 있고, 그게 아니라도 이 과목을 수료하면서축구 뛰고 게임하며 여학생들과 노는걸 대가로얻은 풍부한 교양과 통찰, 분석 능력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당장 이 과정 자체가 추구 하는 것이 인문학적 사고 방식의 확립과 그에 기반한 작문 능력의 숙달이니 요즘 여기 저기서 많이 듣는 인문학의 중요성이니 필요성이니 하는 소리가 나올 때 마다 어깨 쭉 펴고 뿌듯한 기분을 느낄 자격이 충분히 있다.

  1. 이것은 미국의 역사가 짧기 때문이다. AP 미국사는 굉장히 조그마한 사건도 과대포장하여 당당히 역사에 집어넣는다.
  2. 영국의 청교도 혁명, 종교 전쟁, 네덜란드 독립 전쟁, 프랑스 절대주의의 확립, 동유럽-지중해의 몰락과 북유럽-대서양의 부상, 등
  3. 너드는 근본적으로 역덕후에 가까운데 AP 유럽사에서 요구하는 것은 전반적인 지식이다. 즉 틀없이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특정시대 특정분야에 정통한 역덕후들로서는 보통사람들보다는 적성면이나 기본 소양은 낫겠지만 AP란 제도권에 들어오는 순간 헬인건 마찬가지다. 자신이 아는 분량은 한정되어있는데 시험 범위는 광범위하니까. 이해하기가 힘들다면 차이는 있겠지만 멀리 볼 것도 없이 국사와 근현대사가 사탐과목으로 있던 시절의 한국 역덕후들이 이런 잔혹한(...)현실을 겪으며 고군분투 했다.
  4. 프랑스 혁명과 영국의 산업 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