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

1979년작 코미디 영화인 "몬티 파이톤과 브라이언의 삶" 의 라스트를 장식한 노래. 몬티 파이선 팀의 일원인 에릭 아이들이 작곡과 작사를 했다.

경쾌한 멜로디와 초반부의 긍정적인 가사를 들으면 무척 밝은 노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이 노래는 바로 그런 노래들 (특히 디즈니의) 을 패러디한 것으로 뒤로 갈수록 냉소주의와 자포자기하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인생은 똥이야! 사실 극중에서 이 노래가 흘러 나오는 장면 자체가 시궁창같은 상황의 끝에서 나온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노래는 원래 극기주의적 민족인 영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 쩍하면 합창되곤 하는 국민가요로 자리잡았다. 포클랜드 전쟁때 격침된 영국군함 셰필드와 코벤트리의 승조원들이 구조를 기다리며 이 노래를 합창했다는 유명한 에피소드가 대표적.

가사는 이렇다:

Some things in life are bad
They can really make you mad
Other things just make you swear and curse.
(살다보면 나쁜 일도 있지/정말 화나는 일/욕나오는 일도 많이 있어)

When you're chewing on life's gristle
Don't grumble, give a whistle
And this'll help things turn out for the best...
(인생이 찌꺼기를 던져 주더라도/투덜대지 말고 휘파람을 불어봐/그럼 일이 잘 풀릴테니까)

And...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Always look on the light side of life...
(그리고...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

If life seems jolly rotten
There's something you've forgotten
And that's to laugh and smile and dance and sing.
(혹 삶이 형편없다고 느껴진다면/뭔가 잊은게 아냐?/웃고 춤추고 노래를 해야지)

When you're feeling in the dumps
Don't be silly chumps
Just purse your lips and whistle - that's the thing.
(암울한 기분이 들어도/바보같이 굴지 마/입술을 모아 휘파람을 불어- 바로 그렇게)

And...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Always look on the light side of life...
(그리고...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

For life is quite absurd
And death's the final word
You must always face the curtain with a bow.
(인생이란게 원래 웃긴 거라서/마지막은 항상 죽음으로 끝나니까/막이 내려오면 절을 해야 해)

Forget about your sin - give the audience a grin
Enjoy it - it's your last chance anyhow.
(죄? 그런건 잊어버려/관객들을 웃겨 보라구/즐겨봐, 어차피 이게 마지막 기회야)

So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death
Just before you draw your terminal breath
(그러니까 늘 죽음의 밝은 면을 보렴/마지막 숨 넘어가기 전에)

Life's a piece of shit
When you look at it
Life's a laugh and death's a joke, it's true.
(생각해 보면/인생은 똥이야/삶은 웃음거리고 죽음은 농담에 지나지 않지)

You'll see it's all a show
Keep 'em laughing as you go
Just remember that the last laugh is on you.
(전부 쇼였어/죽을땐 죽더라도 관객들을 웃겨봐/결국 웃음거리는 너지만 말이야)

And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Always look on the right side of life...
Come on guys, cheer up!
(그리고...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모두들 힘 내!)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Worse things happen at sea, you know.
(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바다에선 이보다 더한 일도 많다구.)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
I mean - what have you got to lose?
You know, you come from nothing - you're going back to nothing.
What have you lost? Nothing!
Always look on the right side of life...
(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잃을 게 뭐가 있어?/무에서 와서, 무로 돌아가는 거야/잃은게 뭐 있지? 아무것도 없다구!/늘 삶의 밝은 면을 보렴...) [1]

이 노래는 영국과 영 연방 국가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심지어는 장례식에서도 즐겨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 가사를 보면 실제로 죽음과 삶에 대한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니... 그래서 그레이엄 채프먼의 장례식에서 몬티 파이선 멤버들과 조문객들이 모두 이 노래를 합창하는 모습이 보인다.

또한 이 노래는 2012년 런던 올림픽 폐막식에서도 한 장면을 장식했다. 에릭 아이들이 올림픽에 맞게 약간 가사를 바꿔서 직접 퍼포먼스와 함께 부른다. 이 노래를 잘 아는 사람들은 떼창을 하지만, 이 노래가 생소한 지역권의 사람들은 그저 호응만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 노래는 영국 찰스 왕세자의 생일 기념 공연에서도 등장하였다. 역시 개사가 된 채로. 찰스 왕세자가 보는 앞에서(4분대) "너는 슬슬 환갑인데 네 엄마(=엘리자베스 2세)는 아직도 무대(=왕위)를 안 떠나지. 그래도 넌 웨일즈 공작이잖아."(When you're 60 years of age. And your mum won't leave the stage. It's good to know that you're still prince of Wales.)라고 대놓고 불러댔다. 이게 위로야 욕이야
  1. 이동 이 뒤로도 에릭 아이들이 뭐라고 중얼거리는데, 와 영화 끝났다, 사운드트랙 판매중입니다 운운하는 농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