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78년에 Robert J. Weber가 제안한 선거법. Approval voting에서 유권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든 후보에게 표를 던질 수 있다. 단, 후보자당 최대 1개 밖에 투표할 수 없다. 다르게 보면 당선을 원하지 않는 후보를 찍는 투표라고 볼 수 있다.
2 예시
홍길동, 홍길순, 김이박 이라는 3명의 후보가 출마한 선거구에서 유권자 A,B,C,D,E,F가 각각 다음과 같이 투표를 했다고 가정하자. 5표를 얻은 홍길동이 승리하게 되고, 3표를 얻은 홍길순과 김이박은 낙선한다.
A | B | C | D | E | F | |
홍길동 | O | O | O | O | O | |
홍길순 | O | O | O | |||
김이박 | O | O | O |
3 특징
- Approval voting은 "지지자가 많은 사람"보다는 "반대자가 적은 사람"이 높은 순위를 얻게 되는 경향이 있다. 즉, 집단에서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사람이 많은 대안이 선택되기 보다는, 그보다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사람은 적어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비교적 무난하고 중도적인 대안이 선택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 하나의 계파에서 후보를 많이 내보낼 수 있다면, 많이 내보낸 쪽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다수 후보'에 약하다.
- 사표를 최소화 하는 투표 방법이다.
- 기본적으로 '단일 당선자'가 나오는 소선거구제에 적합한 방식이다. 대선거구제에서는 다수 후보를 내세우는 쪽이 유리하게 되는 약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보완할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4 사용예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선거에 사용된 예가 있다고 한다.
- 한국의 민주당과 후신인 민주통합당의 경우 전당대회(특히 예선투표)에서 자주 이 방식을 실행한다. 그런데 자주 1등을 대표로, 2,3,4,5등을 최고위원으로 뽑는 식이 흔하기 때문에 각 계파 지지자들이 지지하는 계파의 대표 후보감에게 한표를 주고 두번째로 주는 한표에서 안티가 적은 사람들에게 주다보니 정작 다른 안티가 적은 중진이 2위, 3위가 되고 (상대적으로 수가 적거나 안티가 많은) 계파 후보들이 3,4,5위가 되는 현상이 벌어진다.
- 이는 Approval voting의 특징이고 장점이 드러나는 것이므로 비판할 사안이 아니다. 이 투표 방식은 '가장 많은 지지를 얻는 후보'보다는 '안티가 적은 후보', '중도적인 후보'가 뽑힐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