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Seoul

lRk6rTfQ1Q0UlDEAMywOVDeMlvSUROJcuu95I7DE2yKK3U7wfD7GajehN9klHdycFPLANrHkwGVCDbKe_3055jzAw3XcZ9RTKjwRd2qMH0WKVsxdkU0MvAkl_wqol0Pqqg#.jpg

목차

소개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사용된 서울특별시의 브랜드이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2012년 폐지되고 '함께서울', '희망서울' 등의 슬로건으로 바뀐 상태였다. 개인택시들은 택시등에 많이 붙여 다니고 있고 서울개인택시사업자조합의 부제 표시에도 하이서울이 들어가 있다.
2015년부터 I.SEOUL.U로 슬로건이 바뀌었다. 2015년 11월 현재는 호오가 갈리는지 인터넷상에서 웃음 재료로 패러디되고 있다. 박시장은 별로라는 반응은 새로운 것에 대한 낮섦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무플보단 악플이 낫다는 생각인지 패러디도 좋게 받아들이고 있다. 여기에 더해 I.SEOUL.U는 서울시가 독단으로 만든 게 아니라 시민 참여, 전문가 참여를 통해 다 함께 만든 것이라며 방점을 찍었다.

나는 서울한다 이후로 Hi Seoul 슬로건이 재평가받고 있지만, 이쪽도 직역하면 '안녕 서울'인 재미도 감동도 없는 브랜드로 호평보단 혹평이 많다. 영어권 사람들에겐 문맥적으로 매우 어색하기까지 하다. Soul of Asia라는 서브 슬로건은 반응이 좋았던 편이지만, 2006년 중국 정부가 '왜 서울이 아시아의 영혼이냐' 그럼 베이징만 아시아의 영혼이라는 건가 결국 '대국'인 자기들이 다해먹겠단 거지 며 Soul of Asia의 사용허가를 주지 않아 중국내 관광 마케팅에 사용할 수 없었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가 중요했던 서울시는 결국 Hi Seoul 슬로건을 포기하고 정 그게 문제라면 Soul of Asia만 바꾸면 될텐데 새로운 슬로건인 I.SEOUL.U를 제작하였다.만악의 근원 중국

참고로 Hi seoul에서 청소년 기자를 뽑아서 논술적인 능력을 키우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80년도 후반~90년도 초반 밀레니엄 세대는 어릴때 Hi soeul 청소년 기자에 당선되고서 아무것도 기사를 내지않은 적이 있을 수 있다.(..)

하이서울 로고송

2002년 당시 보아의 유명세를 이용해 Hi Seoul의 홍보 격인 곡이 나온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