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CRAFT/부품/대공포

< ROBOCRAFT‎ | 부품

1 개요

로보크래프트의 무장 중 하나

2 종류

2.1 Aeroflak Sentinel

600px
무기 이름Aeroflak Sentinel무기 분류대공포
CPU 소모150발당 파워 소모139.831
대미지9,592/5,755(중첩 대미지)[1]초당 파워 소모481.38777/s
질량600 kg폭발 범위21.3 m
체력67,725프로토늄도1.75
공격 속도2.22(1개)/3.17(4개)제작 비용15,000 Robits
Max Fire Rate Count4희귀도Rare

2.2 Aeroflak Guardian

600px
무기 이름Aeroflak Guardian무기 분류대공포
CPU 소모300발당 파워 소모139.381
대미지9,592/5,755(중첩 대미지)[2]초당 파워 소모373.34877/s(1개)|464.13873(2개)
질량1,200 kg폭발 범위21.3 m
체력135,450프로토늄도1.75
공격 속도2.67(1개)/3.33(2개)제작 비용75,000 Robits
Max Fire Rate Count2희귀도Epic

3 상세

파일:GptcLjQ.gif
말 그대로 대공만을 목적으로 한 대공포

탄속이 느린 플라스마 비슷한 투사체를 쏘는데 VT신관마냥 공중에 떠있는 적 근처에서 폭발하며 대미지를 준다. 연막탄으로 시야 방해는 덤. 덕분에 업데이트 이전까지 깽판을 치던 공중 미니드론들(가시상자. 보통 테서락트라고 한다.)이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지상형 기체한테는 약한데, 지상에서는 폭발하지 않고 대미지도 3분의 1로 줄어들기 때문. 그냥 내구도 좋고 탄속 연사력 느리고 부피와 에너지만 왕창 먹는 레이저가 된다. 단 지상 장비라도 적당한 높이 이상 뜨기만 하면 공중기체 판정이 되어서 탄이 터지고 무지막지한 데미지를 입는다.이제는 아니다 오 예!!!! 이 점을 이용해 대공포 실력자들은 차륜 로보가 도주를 위해 절벽지형에서 떨어지거나, 로봇 다리가 회피 등을 목적으로 점프할 때를 바로 포착해 대공포를 꽂아넣는다.

연사력이 느리고, 여러 개를 장착해도 연사력 증가량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주력 로보끼리 싸울 때 뒤에서 공중을 견제하거나 다른 무장으로 지원사격하는 게 좋다. 대공포끼리 지상전하면 탄막게임이 된다. 또한 탄속이 타 무기와 비교해서 느린 편이기 때문에 공중 로보를 잡을 때도 어느 정도 예측샷이 필요하다. 빠른 기동성의 공중 로보들은 이 느린 탄속을 이용해 회피 기동을 선보이기도 한다.

로터나 메가 호버 등은 대공포 특유의 빛나는 투사체를 보자마자 재빨리 내려가지 않으면 공중에서 말 그대로 녹는다... 그리고 로봇 다리도 적팀에 대공포가 있으면 사실상 점프를 봉인 당한다. 점프를 한 상태의 로봇을 공중 기체로 인식해서 무지막자한 데미지+시야 방해 크리를 먹인다.

하지만 6월 30일 업데이트에서 호버에 추가 피해를 주지 못하게 되면서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거기에 대공능력도 레이저나 레일에게 밀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리잼도 이걸 알고 있고 9월 6일 업데이트에서 상향되었다.

3.1 밸런스 패치

6월 30일 패치에서 대공포의 폭발 범위가 감소하고 공중 판정 고도가 높아졌다. 메가 호버를 제외한 호버 기체들은 대공포에 추가 피해를 받지 않게 되었다.

7월 18일 패치에서 대형부품들의 무게가 조정되면서 무게가 대폭 감소했다.

8월 4일 업데이트에서 피해량이 10% 증가했다.

9월 6일 업데이트에서 피해량이 10% 증가하고 Sentinel의 연사력이 4개 기준 1.33에서 1.59로, 1개 기준 0.67에서 1.11(최대 연샤력의 70%)로 증가했다.

3.1.1 HOLLOWFEST 3

잘 쓰이지 않다가 2016년 10월 27일 이벤트에서 개편되었다.

  • 기본 대미지가 4분의 1으로 줄어들고, 공격 속도가 2배로 증가했다.
  • 공중에 있는 적을 공격하면 추가 피해(기본 피해의 60%)가 중첩되며 최대 10회까지 중첩된다. 중첩 대미지가 없을 때는 DPS가 기존의 절반정도지만, 10회 중첩시 DPS는 기존의 3.5배로 늘어난다.
  • 1초 이내에 중첩 피해를 쌓지 못하면 대미지 중첩이 초기화된다.

4 장점과 단점

4.1 장점

  • 대공 능력- 애초에 '대공'을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대공능력은 최강이다.
  • 내구도- 로보크래프트의 무기 중에서 체인건 다음으로 체력이 가장 높다.

4.2 단점

  • 지상 기체에게 취약함- 상대 로보가 지상 기체일 경우 투사체가 폭발하지 않아서 직접 맞춰야 하는데, 탄속이 느린 대공포에게는 치명적이다.
  • 공중에서의 정확도 감소- 공중에서는 에임이 크게 벌어져서 정확도가 대폭 감소한다. 이 때문에 대공포를 공대공으로 운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심각한 수준의 부피- 너무나도 큰 부피탓에 어지간한 로보로는 한문 붙이기도 벅차다. Guardian의 축소판인 Sentinel도 왠만한 대형 무장들보다 크다.

5 기타

이 무기가 나올 당시(2015년 12월~2016년 1월)에 가시상자[3]가 심각한 밸런스 붕괴를 일으키고 다녔는데[4], 대공포와 이후 추가된 미사일 런쳐는 이런 기체들을 상대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전의 대공포의 에임은 레이저처럼 연사하면 조금씩 벌어지는 방식이었는데, 이후 업데이트에서 지상에서는 에임이 벌어지지않고 공중에서는 정확도가 대폭 감소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 최대 10회 중첩된다. 자세한 내용은 3.2문단 참고.
  2. 최대 10회 중첩된다. 자세한 내용은 3.2문단 참고.
  3. Corner Slope블록의 무게 대비 체력이 상당히 높다는 점을 이용해서 다수의 추진기와 소수의 조향익(러더)으로 이동하고 Corner Slope블록으로 이동수단을 보호한 소형 드론.
  4. 당시의 배틀/리그 아레나는 그냥 가시상자가 많은 팀이 이긴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ROBOCRAFT/부품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