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신관

MK53_fuze.jpg

(1945년에 종전 직후 배포된 교육 동영상.)

변태신관 VienTae

제2차 세계대전미군이 사용한 근접신관. 국군은 접근신관이라 부른다더라. 주로 대구경 대공포(기관총이 아니라 커다란 포) 탄환으로 썼다. 3,5,6인치.

작동원리는 주변으로 전파를 방사하다가 전파가 되돌아오면 작동한다. 전파가 되돌아 왔다는 것은 주변에 무언가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되돌아왔다는 뜻이며, 즉 주변에 무언가 물체가 있다는 소리가 되기 때문이다. 쉽게 이해하려면 원시적인 레이더라고 보면 된다.

지금 기준으로 보자면 신관 껍데기 자체가 일종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매우 단순한 구조다. 문제는 그 당시에 그리도 비쌌던 첨단 부품인 진공관을 포탄 하나하나에 다 집어넣었다는 점. 과연 진리의 쇼미더머니 미군. 2000년대로 치자면 포탄 한발 한발에 CPUSSD를 집어넣은 셈이다. 아니, 미국은 현대에도 진짜로 그런다. 혼자서만 TL을 다르게 노는 미군

VT라는 코드명 때문에 초기엔 가변 시한(Variable Time)신관으로 잘못 알려졌다. 즉 앞서 기술한 종전의 대공포탄인데 시간 세팅을 더 쉽게 한 종류로 알려진 것. 사실은 '탄약국'의 V섹션이 이 프로그램을 추진했고, 코드명을 T로 했기 때문에 VT였다. 덕분에 일본을 비롯한 추축국은 VT 신관의 정확한 작동메커니즘을 잘못 알았다고 한다. 타이밍을 가변설정할 수 있는 지연신관은 그거대로 양산했다

개발에 맨해튼 계획에 필적하는 자금이 투입되었고,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생산단가는 매우 비쌌다. 1942년도 기준으로 한발당 가격이 732달러. 현재 가치로는 9347.54달러다. 그러나 이후 대량생산에 들어가면서 1945년도 기준으로는 18달러, 현재 가치로 약 221.13달러까지 내려갔다.

원래는 적이 불발탄을 노획해서 카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상전이나 영국 본토 방어전에서만 사용되었으나, 이후 일본과 독일 모두 이것을 실용화할만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 된 이후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독일군은 VT 신관을 카피할 수준의 기술력은 되었지만 조그마한 포탄 한발 한발마다 진공관이 들어가는 이런 비싼 물건을 자국은 양산할수 없음을 알고 포기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일본 역시 공돌이들을 갈아넣어서 야마토 정신으로 어떻게든 비슷한 걸 만들긴 했지만, 막상 만들고 보니 답이 안나오는 가격 탓[1]에 생산 같은 건 무리리고 판단해서 보류했다. 그야말로 미국만이 가능한 돈지랄의 끝판왕.

2차대전 중에는 주로 대공포탄에 많이 쓰였다. 미사일이 없던 2차대전 당시에는 먼 거리의 항공기를 공격하기 위해 대구경 대공포를 쏘아서 '대충 적 항공기 근처에서 터지도록' 시간을 세팅하여 발사했는데, 따라서 포탄 발사 이후 항공기가 비행코스를 바꾸면 속수무책이다.[2] 그러나 이 VT 신관은 이보다 더 정확하게, 대충 근방에 적 항공기가 있다면 알아서 터진 덕에 명중률이 훨씬 좋았다. 기존의 시한식 대공포탄에 비해서 대충 3배 정도의 명중률 향상을 보였던 모양이다.[3] 다만 레이더와 FCS를 도입한 이후의 대공화기 명중률 상승이 약 100배였던 것을 감안하면 이 당시의 초보적인 VT신관은 대공화력망 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정도까지는 아니었다는 견해도 있다.

VT신관의 최초의 실전은 과달카날 전투 당시 문다 비행장을 포격하고 귀환하는 67기동부대가 사용 한 것이다. 과달카날 근방에 도착했을때 4기의 99식 함상폭격기의 공격을 받았고 경순양함 헬레나의 대공사격에 1기가 격추되었다. 다만 생산량이 딸렸던 초기에는 전선에 투입되는 양이 적어 그리 많은 전과를 올리지는 못했던 모양. 일본군의 항공기들이 말 그대로 작살 나버린 필리핀 해 해전 당시도 미군의 전투기들이 무쌍을 찍어버린 탓에 정작 격추된 일본의 항공기 378기 중 대공포화에 격추된 수는 19기에 지나지 않았다. 당시까지만해도 일본군이 가장 경계하던 대공무기는 VT 신관이 아닌 보포스 40mm 대공기총. 실제로 미군이 운용한 대공무기중 일본기를 가장 많이 격추한 것도 이쪽이다.[4] 결국 VT 신관이 본격적으로 그 힘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은 전쟁 말기에 들어 일본군이 카미카제 특공대를 운용하기 시작한 이후부터가 되었다.

이 외에도 VT신관은 독일의 V1 미사일을 요격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였으며, 야포탄이나 항공폭탄에 적용하여 포탄이 땅에 닿기 전에 공중에서 터지도록 해서 도로나 시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람만 제거하는데도 쓰였다(이 경우에는 지면에 전파가 반사되어 포탄으로 돌아간다). 또한, 공중에서 터지는 VT신관의 출현은 포탄 한발로 사상할수 있는 인원을 더 높혀주었고, 일반적인 포탄의 경우처럼 포복해 버리면 파편들이 위로 지나가서 살상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공중에서 폭발해서 파편을 사방으로 내리는 방식으로 극복. 인마 살상력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후에 공중에서 폭발해서 플레쉐트를 뿌리는 포탄등의 모태가 되었다. 공중폭발(Airburst)의 개념이 이미 이 때부터 응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단, 지상용으로 쓰는 것은 한동안 꽤나 자제되었는데, 만에 하나 불발된 VT신관이 적국(특히 독일)의 손에 넘어가서 적국이 VT신관의 파해법을 알아내거나 아니면 복제품을 제조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944년 아르덴 대공세 때부터는 이미 추축국이 패전직전이라 비밀을 알아내도 양산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는지 그냥 그런거 상관 없이 야포탄에도 VT신관을 대량으로 사용하였다.

이 신관의 전과 중에는 한국전쟁 당시 아군 오폭도 있다. 바로 김영옥 미 육군 보병대령과 그 부대를 "너무 북진해서 적인 줄 알았다."며 포격한 미 육군 포병대가 쏜 탄이다.근데 이 포병대는 평소에 명중률이 가장 낮던 포병대다(…) 이 일로 김영옥 대령은 중상을 입고 한국전쟁 전선에서 빠지게 된다.
  1. VT신관의 초기가격이 지프1대값과 맞먹었다고한다. 1발쏠때마다 자동차 1대가 날라가는셈.., 비슷한 이야기로 해군의 대구경 주포탄 1발의 값도 당시의 최고급 승용차값과 맞먹었다고 하나?.. 결국 전쟁은 경제력싸움!
  2. 궤적보다는 타이밍이 문제였다. 카미카제는 함선으로 똑바로 최고속력으로 돌입하기 때문에, 계산하고 신관세팅하고 발사하는 동안 항공기는 쑥 접근. 반면 VT신관은 세팅할 게 없고, 카미카제의 돌입코스는 뻔하기 때문에, 그냥 빨리 쏘기만 하면 됐다. 더 많은 사격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그리고 태평양전쟁 말기가 되면 미국은 구축함급에도 지금 기준으로야 초보적이지만 화기관제컴퓨터를 달아서 반응시간을 더 줄였다.
  3. 그래서 해전게임 네이비필드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밸런스 브레이커
  4. 다른 기록에 따르면, 20mm 오리콘 기관포가 숫자로는 가장 많다는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