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System Management(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의 약자다. 예전에는 SM 이라고만 했는데 요새는 ITIL의 영향때문인지 해외에서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ITSM)과 일반 Service Management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SI프로젝트의 결과로 구축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업무를 한다. 실제 사용자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것을 관리하는 업무인 만큼, 기획자나 발주자만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트러블에 대응한다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화응대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친절한 말투와 세련된 말솜씨는 중요한 스킬이다(...).
SI프로젝트가 완료되면 개발자가 일정기간 운영에 개입하여 트러블 슈팅을 담당하게 되며, 따라서 SI개발자들은 흔히 SM업무도 경험하기 마련이다.
실제 업계비중을 살펴보면 신규개발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보다는 유지보수가 차지하는 규모가 크며, 대기업SI업체(ex.삼성SDS, LG CNS, SK C&C, 쌍용정보통신 등등)들도 SM인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건설업의 영향때문인지 단가나 인식면에서도 SI업무보다 홀대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웃나라인 일본 같은 경우에는 전혀 그렇지 않으며 오히려 SM업무가 대우나 단가면에서 존중받는 편이다
흔히 SI개발자들은 SM을 '전화 받는거 빼곤 할일도 없고 칼퇴가 가능한 땡보직'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한국업계의 특성상 SI개발이 워낙 일정에 무리하게 맞추기 위한 날림작업으로 이루어져서, 실제 서비스 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가 심각하며 그 부담은 고스란히 SM의 몫이 된다. 트러블슈팅을 위해 개발업무를 병행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때로는 유지보수의 규모가 신규개발에 비견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고객대응은 그것대로 하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낮에는 SM을 하고 밤에는 SI를 하게되는 지랄맞은 패턴을 마주하게 되는 것이 현실. 관공서나 정보계 SM 같은 경우는 정말 PC정비나 해주는 경우도 많지만, 금융업 SM은 그런거 없다.
잡코리아 같은데 검색해보면 SM은 대부분 금융계가 많은데, 워낙 떠나는 사람이 많으니까 그런거다.
게다가 맡아서 운영하게 된 시스템이 LG전자나 삼성전자, 현대자동차같은 글로벌 기업의 본사일 경우는 물론 전 세계 법인 모두가 사용하는 시스템일 경우, 시차 덕분에 자정이 넘은 오밤 중에 브라질 같은 곳에서 오는 전화도 받을 수 있는 매우 험난한 업무 환경에서 일하게 된다. 물론 의사소통은 대부분 영어로 한다. 중국법인의 경우 동북 출신 조선족이나 한국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덕택에 어떻게든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현지 법인의 컨택 포인트가 되는 경우가 많다.
SI업무가 보다 코딩작업이 많기 때문에 개발자로서 성장하기엔 SM보다 유리하다는 인식이 존재하며, 때로는 자신의 의사와 달리 SM 업무로 전업을 당해 고민하는 초짜 개발자들이 있기도 하는데, 어차피 SI도 비전이 없다는 점에서 쓸데없는 고민이다.
첨언하자면, 개발자의 운명은 개발목표가 아니라 자신이 몸담고 있는 회사가 결정한다. SI업체라고 해서 삼성SDS 직원과 OO정보통신 직원의 비젼이 같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안드로메다 만큼 다르다
2 유사 업무
- SI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