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樂 | 이체자 | 楽(신자체), 㦡[1] | 간체자 | 乐 |
뜻 | 풍류, 즐거울, 좋아할 | 소리 | 악, 락, 요, (료, 록, 로) | 木부 11획 | 총획수 15획 |
유니코드 | 6A02 | 급수 | 6급 | 중학교 교육용 | 인명용 한자 |
중국어 병음 | yuè, lè, (yào, liáo, lù, lào) | 주음부호 | ㄩㄝˋ, ㄌㄜˋ, (ㄧㄠˋ, ㄌㄧㄠˊ, ㄌㄨˋ, ㄌㄠˋ) | 창힐수입법 | VID(女戈木) |
일본어 음독 | (ガク, ラク, ギョウ, ゴウ)[2] | 훈독 | (かな-でる, たの-しい, たの-しむ, この-む)[3] | 일본어 상용 한자 | (상용 한자 아님)[4] |
1 개요
Rock 음악을 들으면 즐거워지기 때문에 즐거울 락이 되는게 아니다
풍류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현악기를 본뜬 글자, 신을 모시는 춤을 출 때 손에 가지는 방울을 본뜬 글자, 북 따위의 타악기를 본뜬 글자 등의 유래가 존재한다.
기본 음가는 '악'이고, 전주된 음가로 '락'과 '요'가 있다. 락은 주로 형용사로 사용될 때, 요는 좋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 잘 사용되지 않는 음가로 '료', '록', '로'가 있는데, 료의 경우 시경의 진풍(陳風)의 可以樂飢라는 구절을 '가이료기'라고 읽는 데 쓰이며, 록의 경우 육도의 하략의 國乃安樂이라는 구절을 '국내안록'이라고 읽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로의 경우 광운과 효경에 그 기록이 보인다.
중국어 독음 yuè, lè, yào는 한국어의 '악', '락', '요'에 각각 대응되며, lào(한국 한자음 '로'에 해당)라는 독음은 일부 지명에 사용된다. (예: 허베이 성 탕산 시의 乐亭/樂亭(Làotíng) 현, 산둥 성 더저우 시의 현급 시 乐陵/樂陵(Làolíng) 시)[5]
1.1 이체자
楽(유니코드 697D, 木부 9획, XIOD(難戈人木))
乐(유니코드 4E50, ⼃부 4획, HVD(竹女木))
㦡(유니코드 39A1, 心부 15획, PVID(心女戈木))
楽은 樂의 신자체로 일본에서 사용하고, 乐은 樂의 간체자로 중국에서 사용한다.
참고로 완성형에서 가장 많이 중복된 한자이기도 하다. 완성형/중복 한자 항목도 참고.
2 용례
2.1 단어, 고사성어
2.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楽이 쓰이는 예는 楽 항목 참조.
- 동방 프로젝트를 만든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 (上海アリス幻樂団)
- 천악 (天樂)
- ↑ 樂의 음훈 중 '즐거울 락'하고만 통용할 수 있는 문자이다.
- ↑ ギョウ나 ゴウ는 교육 대상인 음이 아니어서 일반인용 사전에서 빠져 있는 경우가 많음. ギョウ, ゴウ는 한국음 '요'에 해당하는 발음이다.
- ↑ かなでる와 このむ는 교육 대상인 훈이 아니어서 일반인용 사전에서 빠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두 단어는 이 한자 대신 奏でる, 好む의 형태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かなでる는 '연주하다'라는 뜻이라 'ガク(대응되는 한국음: 악)'와 짝을 이루고, このむ는 '좋아하다'라는 뜻이라 'ギョウ, ゴウ(대응되는 한국음: 요)'와 짝을 이룬다.
- ↑ 신자체 楽이 상용한자로 등록돼 있다.
- ↑ 따라서 이 지명들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경우는 '낙정/악정/요정', '낙릉/악릉/요릉'이 아닌 '노정현', '노릉시'로 읽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