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襖 | 이체자 | 간체자 | 袄 | |
뜻 | 웃옷 | 소리 | 오 | 衤부 5획 | 총 18획 |
유니코드 | 8956 | 급수 | |||
중국어 병음 | ǎo | 주음부호 | ㄠˇ | 창힐수입법 | LHBK(中竹月大) |
일본어 음독 | オウ | 훈독 | あお, ふすま | 일본어 상용 한자 | (상용 한자 아님) |
월남어 | áo | 광동어 | ou2 | 대만어 |
웃옷 오.
한국에서는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 생소한 한자[1]지만, 월남어에서는 옷을 뜻하며 매우 널리 쓰인다.
반면에 일본 훈독으로는 후스마(ふすま)라고 하여, 특이하게도 옷이 아닌 일본 건축 특유의 종잇문을 의미한다.- 이동 ↑ 현대 표준어 중에는 이 한자가 들어가는 단어가 하나도 없다. 물론 과거 한문 문헌에는 자주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