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도

사진의 노출
감도조리개셔터 속도

Film Speed / Sensitivity

사진 촬영 용어.
노출의 3대 요소 중 하나. '감광 속도'의 줄임말이다.

1 소개

좀 더 와닿는 표현으로 풀어 쓰자면, 사진술에서는 '감광면의 빛에 대한 민감성' 을 감도라고 이야기한다. 일반적으로 낮을 수록 화질이 좋고, 높을 수록 셔터가 짧아서 흔들림에 강하다. 필름, 디지털을 막론하고 카메라를 처음 배우게 될 때 비교적 쉽게 이해되는 요소.[1]

2 과거의 단위들

과거에는 ASA(미국 표준 기구)와 DIN(독일 공업표준) 단위가 혼용되었다. 지금은 국제표준인 ISO로 통칭하며, 선형 스케일인 ASA와 ISO의 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나이가 좀 있는 분들이 아직도 "아사 몇" 하는 식으로 이야기하셔도 이해하기 그리 어렵지 않다.

선형 단위인 ISO(ASA)의 경우, 조리개값을 고정했을 때 ISO200은 ISO100보다 2배 빠른 셔터 속도 - 절반의 노광에서 같은 노출을 얻을 수 있다. 허나 DIN단위는 좀 복잡한데, 이는 DIN이 로그단위이기 때문이다. ISO100은 DIN 21°에 상응하는 값이며, 1/3스탑 증감될 때마다 1°증감되므로 한 스탑 증감시 (ISO감도가 두 배 증가할 때) DIN은 3°증가한다.

따라서
ISO 25-32-40-50-64-80-100-125-160-200
DIN 15-16-17-18-19-20-21-22-23-24에 대응한다.
그러나 DIN 단위는 사장되었고, 필름 상자에 ISO값과 같이 표기되어 있는 정도이다. DIN이 뭔지 알면 유식하다는(!) 소리를 들을 일도 거의 없게 되었다. 안습.

2.1 1/3스탑 단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도의 값들을 1/3스탑 ISO단위로 표기하였다.

25-32-40-50-64-80-100-125-160-200-250-320-400-500-640-800
-1000-1250-1600-2000-2500-3200-4000-5000-6400-8000-10000-12800-16000-20000-25600

흔히 200 이하의 감도를 저감도, 1600 이상의 감도를 고감도라고 하며 경우에 따라 다섯 자리 감도 이상을 초고감도로 일컫는 경우도 있다.

3 디지털에서의 ISO

또한 사진을 잘 알더라도 낯설게 생각할 수 있는데, 흑백,컬러,디지털의 ISO표준은 제각각 다르다.

ISO 6:1993 (흑백 필름)
ISO 2240:2003 (컬러 리버설 필름)
ISO 5800:1987 (컬러 네거티브 필름)
ISO 12232:2006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한 필름과는 달리 디지털 카메라, 특히 DSLR의 경우 표기되는 감도와 유효 감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ISO100은 가장 통상적인 감도로 통하며, GN값이나 EV값을 표기할 때 별도의 표기가 없으면 ISO100에서의 값으로 여길 정도의, 여러 방면에서 기준이 되는 값이다. 그러나 더 낮은 감도를 가지는 경우도 물론 존재한다. 필름의 경우 각각 ISO50, 64인 후지 벨비아와 코닥크롬이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몇몇 소형 기종과 중상급의 DSLR 기종이 ISO100 이하의 저감도를 지원한다.[2]
그러나 요새 나오는 DSLR은 ISO200이 지원하는 최소 감도이거나, 그 이하를 지원하더라도 센서에서 지원하는 최저 감도가 ISO200이라 그 미만의 값은 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시 처리하는 함정카드확장감도인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초고감도 성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였기 때문이다.[3] 또한 저감도에 대한 수요는 극히 낮아져, 2009년쯤에 들어서는 ISO25 필름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4]

4 감도의 증감

필름의 경우 고감도로 갈수록 필름의 입자가 커지기 때문에 이미지가 거칠어지는 특성이 있고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고감도일수록 노이즈가 증가하고 채도가 떨어지며 디테일이 뭉개져, 결과적으로 열화된 듯한 이미지를 보여주게 된다. 또한 필름에는 없었던 색상 노이즈라는 것이 발생해, 어두운 부분에서 빨강, 파랑, 초록의 점이 무작위로 찍히게 된다.

초기의 디카는 ISO400을 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놀라운 일이었지만,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는 고감도 처리능력이 크게 좋아져 ISO400 정도까진 거의 변화 없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맑은 주광이라면 800도 비교적 깨끗한 사진을 만들어낸다.[5] 2016년 현재 대부분의 DSLR은 크롭 기종이라도 ISO 1600 정도는 거의 문제 없고 6400까지도 상용 감도[6]에 포함된다. 2014년 6월에 나온 소니 A7S의 경우 감도가 최고 102400, 확장 409600이라는 미친(...) 수치를 제공하며[7], 2016년 3월에 나온 니콘의 플래그십 카메라 D5의 경우 감도가 최고 102400으로 A7S와 같지만 확장 감도가 무려 328만에 달하는데[8], EXIF 표준에 기록할 수 있는 최대 감도는 65536이므로 이 카메라로 최대 감도를 이용하면 EXIF조차 감당할 수 없는 우월한 사진이 나오게 된다.
고감도 저노이즈에 대한 맹신이 사진 입문가들 사이에 팽배해지고 있지만, 고감도 필름 특유의 입자감이나 디지털의 노이즈도 사진의 매력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어느 감도를 선택할지는 전적으로 촬영자의 몫이다.[9] 또한 최근 기종들의 지나친 노이즈 저감 적용 때문에, 디테일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진가들은 이 고감도 성능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디테일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저감도로 찍으면 된다

  1. 셔터 속도값도 ISO처럼 선형단위이지만 손떨림 등과 연관이 되어 살짝 배울 게 많고, F값은 제곱이나 루트 등을 가지고 난리법석을 떨어야 하므로 스탑단위로 외워 버리는 게 편하다. 어차피 카메라 좀 만지게 되면 3가지 모두 1/3스탑 단위로 외워져 버리지만...
  2. 아이폰은 꾸준히 ISO 25의 저감도를 지원한다.
  3. 이런 경우 ISO100이나 200이나 화질이 똑같다고 보면 쉽다. 프로세싱에 따라서, ISO200보다 ISO100의 명부 DR이 떨어지는 경우도 생겨난다.
  4. 이는 필름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ISO50이나 100도 과거 ISO25만큼 입자가 미세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같은 입자라면 당연히 고감도 필름이 찍기에 편하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관용도나 명암표현 등에서 수학적으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신경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5. 일반적으로 감도가 올라갈수록 암부.. 그러니까 사진에서 어두컴컴한 부분에서 노이즈가 아주 심해진다. 고로 침침한 실내에서의 800사진은 밝은 야외에서의 800사진에 비할 때 노이즈가 많이 드러나게 된다는 설명.
  6. 일반적으로 화질 열화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감도를 뜻한다.
  7. 픽셀 피치를 늘려 한 픽셀이 받을 수 있는 빛의 양을 늘리고 노이즈의 입자감을 줄였기 때문. 개인마다 평가가 다르지만 일반적인 풀프레임 센서보다 2에서 3 스탑의 노이즈 개선 효과가 있다는 평가이다.
  8. 물론 화질 열화가 심각해 어디까지나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수준이다.
  9. 특히 흑백 사진 쪽에서는 이 '입자감'을 미학적인 요소로 다루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