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금원

9526_19453_3713.jpg
姜金源

1952년 11월 10일 ~ 2012년 8월 2일

1 개요

대한민국의 기업인. 한국 염색연합회 이사, 창신섬유 회장 등을 역임했다. 노무현의 유일한 재정적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1]

2 생애

1952년 11월 10일,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태어났다. 전주공고를 졸업하고, 부산에서 섬유사업을 했는데, 지역차별때문에 큰 고통을 겪었다.[2] 그래도 1975년 설립한 창신섬유가 크게 성장하여, 부산에서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다.[3]

1998년 정치인 노무현이 서울 종로구 보궐선거에 출마할 당시 전화로 처음 만났다. 지역주의를 타파하려고 했던 노무현에 감명받아 2000년부터 노무현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4] 노무현에게 “먹고사는 문제는 내가 다 알아서 할 테니 걱정 말고 소신껏 정치를 하라”고 말했으며 실제로 노무현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절에는 '대통령에게 누가 될까봐' 한치의 사업도 확장하지 않았다.[5] 노무현은 대통령이 되고 난 후에도 공평무사한 정치를 하기 위해 자기 측근들을 요직에 거의 챙겨주지 못했는데, 강금원이 그러한 노무현을 대신해서 가난한 친노인사들에게 생활비를 대주었다.[6]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그렇게 애를 썼건만,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영화를 맛보긴커녕 검찰 수사로 고통만 더 심하게 당했다. 결국 2003년 12월 배임 및 조세 포탈 혐의로 구속 기소되었고,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 받았다.[7] 그리고 노무현은 자신의 재임기간 중에 강금원을 사면복권하였다.[8] 2006년에도 불법 대선 자금과 관련해 구속되었다.

노무현 퇴임 후에는 검찰이 그와 노무현 주변에 대해 먼지털이식 수사를 실시하였다.[9] 이 당시 검찰에게 최우선의 수사대상이었던 게 노무현과 강금원 사이의 비리였다. 그러나 둘 사이의 비리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박연차 게이트’ 수사가 시작되면서 검찰의 올가미가 노무현과 강금원을 본격적으로 옥죄기 시작했다.[10] 이때부터 봉하마을에는 친노인사들이 거의 발길을 끊다시피 하였고, 오직 강금원과 안희정 등 몇몇만이 노무현 곁을 지켰다.

결국 2009년 4월에 회사 돈을 임의로 사용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이 당시 노무현이 미안한 마음에 면회를 신청하려고 했으나, 마음은 알겠다면서 만류했다.[11]

강금원이 수감되기 전까지 창신섬유는 직원이 400명에 이르는 등 부산의 대표적인 섬유업체였다. 그러나 검찰의 계속된 수사와 거래업체 압박으로 직원이 60명까지 줄어들었다.[12]

구속기간 내내 지병인 뇌종양이 악화되어 보석을 신청했으나 검찰의 반대로 수술시기를 놓쳐 2012년 8월 2일에 사망했다. 향년 61세. 그의 죽음에 대해 안희정은 "회장님을 '바보 강금원'이라 부르고 싶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추모사를 썼다.

3 일화

  • 수천억 원대의 재력가였음에도 집안 살림은 매우 검소하였다. 다섯 개의 계열사에서 월급만 5억 원 정도를 받았지만, 휴대전화도 최신 스마트폰을 쓰지 않고 구형 폰을 썼다고 한다.
  • 노무현을 금전적으로만 후원한 것이 아니라, 외로운 노무현에게 진정한 친구가 되어주었다. 갖고 있던 요트를 노무현에게 빌려주어, 부산에서 (전남) 보길도까지 노무현이 쾌속 요트를 타고 다녀온 적도 있었다.
  •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절 청와대 뒤편에 있는 원두막에서 함께 담배를 피우기도 했고, 함께 돼지고기를 구워먹기도 했다. 노무현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청와대 경내를 둘러본 적도 있고, 대통령의 여름휴가 때는 경남 진해에서 함께 지내기도 했다. 그 정도로 친한 사이였다.[13]
  • 노무현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민정수석 문재인이 안희정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했다면서, 문재인과 불편하게 지냈다고 한다.
  •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말에 열린우리당 인사들이 여러 갈래로 쪼개진 것을 말리기 위해 애썼다고 한다. 특히 유시민 등이 국민참여당으로 독립해 나가는 것에 대해 강하게 만류하였으나, 유시민이 말을 듣지 않아 섭섭한 감정을 가졌다고 한다.[14]
  •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이병완과 사돈을 맺었다. 그때 퇴임 직후의 노무현이 주례를 섰다.
  1. 박연차가 있긴 하지만, 박연차는 노무현의 형 노건평과 엮인 사람이고, 노무현을 순수하게 후원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는 노무현 휘하의 힘 있는 정치인들에게 로비자금을 많이 뿌린 사람이다. 박연차는 그 뿐 아니라 PK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한나라당 의원들과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 등 이명박의 측근에게도 상당히 많은 로비자금을 건넸다. 반면 강금원은 친노 인사들 가운데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난한 백수들에게만 생계비를 지원했다.
  2. 후일 이렇게 회고하기도 했다. “나는 젊었을 때부터 호남사람으로서 부산에 건너와 사업했다. 부산이 나의 제2의 고향인 셈이다. 하지만 나는 호남에 대한 끝없는 편견과 선입견에 시달려야 했다. 툭하면 사람들은 말했다. 호남 사람 의리 없다, 신용 없다고... 하지만 나는 보여줄 것이다. 호남 놈이 얼마나 신용 있고 의리 있는지... 부산 사람 노무현 대통령이 보여줬던 호남에 대한 의리가 있었다면 나 또한 역시 호남 사람으로서 보여주고 싶다. 권력에 부나방처럼 달려들던 그 많은 사람들이 다 떨어져 나가도... 내가 대통령 옆에 있음으로서 호남사람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고쳐주고 싶다.”
  3. 특히 창신담요는 따뜻하고 정전기가 없어서 소비자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고 한다.
  4. 2000년 4월 13일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부산 북·강서 을 지역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노무현에게 "이제 대통령밖에 할 게 없네"라고 말하며, 처음으로 대통령 출마를 권유했다고 한다.
  5. 반면 박연차는 노건평 등을 앞세우며, 대대적인 사업 확장에 나섰다. 실제로 박연차는 참여정부 기간 동안 신발산업협회장을 지냈으며, 세종증권 주식투자와 농협의 자회사인 휴켐스 인수로 쏠쏠한 이익을 봤다. 골프장을 건설하는가 하면 베트남 화력발전소 건설 국책사업 입찰에도 성공했다.
  6. 후일 강금원은 “내가 돈 준 사람은 다 백수”라면서 “공무원이나 정치인에게는 돈을 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무현이 “그 많은 돈을 왜 줬냐”고 묻자, 강금원은 “사고치지 말라고 준 것”이라면서 “그 사람들 대통령 주변에서 일하다가 놀고 있는데 먹고 살 것 없으면 사고치기 쉽지 않겠느냐. 사고치지 말고 뭐라도 해보라고 도와 준 것”이라고 답했다.
  7. 2003년 12월 31일, 당시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과 이호철 민정비서관 등이 강회장에게 면회하러 왔는데, 문재인이 "대통령께서 내일(2004년 1월1일) 면회를 오고 싶어 하신다"고 전하자, "미쳤느냐. 여기가 어디인데, 오신다는 것이냐. 오시지 말라고 해라"라고 크게 호통을 쳐서 돌려보냈다고 한다.
  8. 한마디로 보은차원의 복권이었다
  9. 노무현이 사법시험 치르기 전부터 다녔던 성당의 송기인 신부는 이 당시 식당 가서 밥 사먹고 받은 영수증까지 검찰에게 털렸다고 한다.
  10. 박연차가 노무현 퇴임 후에 권양숙에게 100만 달러의 돈을 줬다는 것에 대한 수사이다. 박연차가 준 돈에 대해 노무현이 알았는지 몰랐는지는 사실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권양숙이 받은 것은 사실인 듯하다. 검찰이 이걸 밝혀내면서 노무현의 도덕성은 급격히 무너졌고, 노무현은 갑자기 궁지에 몰리기 시작했다.
  11. 이 당시 노무현은 강 회장에 대해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을 맞은 것”이라면서 홈페이지에 자신을 ‘면목 없는 사람’이라고 적었다.
  12. 검찰 조사로 탈탈 털려서 거래처 다 끊기고, 나중엔 이불 등 재고 상품들을 땡처리로 오픈마켓에 올렸다고 한다. 그런데 제품 품질이 무척 좋아서 인기가 아주 많았다고 한다.
  13. "국정원의 통치 자금이 연간 2백억원가량 되어서 (대통령 임기가 끝날 때까지) 1천억원은 챙길 수 있다. 그런데 강회장이 ‘단 1원도 받지 말라고 해서 못 챙기겠네"라고 노무현이 농담을 해서 함께 크게 웃은 적도 있었다고 한다.
  14. 이때 유시민에게 ‘쥐XX처럼 정치하지 마라’고 화를 냈다고 한다. 안희정이광재도 ‘유시민이 언제 우리들 말을 들었느냐.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했지’라고 말했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