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론

1 개요

경제성장을 다루는 경제학, 특히 거시경제학의 분야.

학문적으로 경제의 성장이란, 실질 시장가치로 측정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한마디로 실질 국민소득의 증가. 경제성장론은 어떻게 이런 증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를 논하는 분야이다.

경제의 성장은 곧 그 경제 내에서 획득 가능한 선택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쓰면 별 것 아닌 것으로 생각될지 모른다. 그러나 국민소득이 1천불인 시절에는 냉장고나 선풍기가 엄청난 사치품이었지만 소득 3만불을 바라보는 현재 시점에서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자. 냉장고를 스스로 만들지 못해 전량 수입하던 나라가 이제는 냉장고 뿐이 아니라 백색가전, 그리고 그걸 넘어서 선박, 반도체, 철강제품 등을 전세계에 수출할 만큼 많이, 그리고 고품질으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발전을 생각해보면, 경제의 성장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가 생각해볼 수 있다.

복리의 힘을 크게 느낄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연 2% 성장하는 국가 A와 연 3% 성장하는 국가 B가 있다 하자. 2000년에 두 나라의 실질 GDP는 100달러였다. 그러나 100년 후에 A국의 실질 GDP는 724달러가 되는 반면 B국은 1921달러가 된다. 단 1%p의 차이가 100년 후에는 2.5배 이상의 격차로 벌어지는 것이다.[1]

2 역사

경제성장은 즉 인간의 욕구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거시적인 해답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경제의 상황을 알아야 했는데, 이는 국가의 경제성장을 어떻게 회계적으로 정립할 것인가부터 알아야 했다. 1930년대에 이르러 국민계정(National account) 작성이 본격화되었고, 부족하나마 국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의 경제를 수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경제의 상태를 GDP, GNI, GNP 등의 경제지표로 요약할 수 있게 되면서 경제성장에 대한 연구는 활기를 띄게 되었다. 이 시기에 경제학은 수학화의 바람을 거쳤는데, 관련하여 나온 것이 1940년대의 해로드-도마 모형이다. 해당 모형은 저축률이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해로드 도마 모형의 문제점은 성장을 '면도날 위에서 중심을 잡는 행위'로 묘사했다는 것이었다. 즉, 경제가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 다수가 보는 경제의 현실인데, 이 모형은 불규칙하게 성장한다고 보았다는 것.

이를 해결하며 나선 것은 1950년대의 솔로우-스완 모형인데, 여기에서는 저축률 외에도 노동력, 그리고 기술이 경제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추가로 인하여 해로드-도마 모형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지만, '기술'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비판은 피할 수 없었다. 솔로우의 모형은 이 기술을 외생변수[2]로 취급하였는데, 결국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 '기술'이 있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한동안 발전이 없던 경제성장론은 폴 로머의 R&D 이론을 통해 또 한번 발전하게 되었다. 인적자본을 통해 기술이 축적되는 과정을 묘사하는 방식을 통해 기존의 성장이론들이 가졌던 한계생산성 감소로 인한 경제성장 멈춤이라는 제약을 탈피한 것이다. 이렇게 기술의 발전을 모형 내에서 설명할 수 있는 내생성장이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경제성장론에서는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즉 한계생산성이 증가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 기타

영역적으로 경제발전론(Development economics)과는 구분되는데, 경제발전론은 주로 저소득국가의 경제 발전과 관련하여 정책입안자들 및 시민단체 등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가를 연구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기본적으로 경제발전론은 미시적 접근이고, 경제성장론은 거시적 접근을 취한다. 상위 단계로 올라가면 물론 그 두 가지가 서로 연관되어서 영향을 주고받는다. 최근에는 Esther Duflo 와 같은 학자들이 저소득국가에서 직접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개도국의 보건 및 교육 개선을 추구하는 정책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성장론보다 발전론이 더 주목받고 있다.
  1. 개인이 아닌 국가이기에 이 차이는 더 크다. 국가는 기본적으로 영속성을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2. 모형 바깥에서 결정되어 주어진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