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우-스완 모형

Solow-Swan model

1 개요

로버트 솔로우와 트레버 스완이 독자적으로 1956년에 발표한 경제성장모형. 기존의 성장모형이던 해로드-도마 모형을 대신하여 주요 성장모형으로 자리잡았다.

2 상세

한계수확은 체감하므로, 한 사회의 자본량이 균형점에 미치지 못한다면(즉 현재 경제가 본래 있어야 할 수준보다 미달한다면) 균형에 도달하려는 힘에 의해 빠른 속도의 성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균형에 도달하고 나서는 그 원동력이 정체된다. 이후부터는 기술수준의 향상에 따른 생산함수의 이동에 의해서만(=균형점이 다시 이동해야만) 성장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전후 저개발 국가들[1]에 의한 빠른 경제성장에 대해서는 강한 설명력을 갖는다. 그러나 한계수확이 체감함에 따라 외생적인 기술발전에 의해서만 장기적인 성장이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2] 또한 70년대가 넘어가자 개발도상국들은 성장추진력을 잃은 반면 선진국들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어서 모형을 수정해야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었다.

1980년대 중반에 폴 로머의 인적자본 개념이 추가되면서 경제성장론내생성장이론으로 관심을 옮겨가게 된다.
  1. 대한민국을 비롯한 신생 독립국들. 실제로 한국은 경제성장 연구에 있어서 상당히 흥미로운 연구주제로 꼽힌다.
  2. 솔로우-스완 모형은 장기적 경제성장을 기술발전에 전적으로 의존함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발전을 외생변수로 취급함으로서 기술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