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숙

1365766282_00465972001_20130413.JPG

대한민국고전모욕가 문체로 사람 혈압을 터지게 만드는 고전평론가.[1]

1960년 강원도 정선군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광산촌에서 자랐지만, 공부를 지상 최고의 가치로 여기신 부모님 덕분에 공부를 열심히 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할머니, 부모님, 3남매에 삼촌, 고모까지 9식구가 한방에 살았던 가난한 환경에서 일찌감치 인간의 희로애락을 보았고, 왜 세상에 이렇게 고난이 많은지 고민하며 교회를 찾았다고 한다. 1978년 고려대학교에 진학할 때까지 독실한 개신교인으로 살았다고 한다.

대학교에서의 전공은 독문학이었다. 하지만 대학(고려대) 4년 때 우연히 참가한 고전문학 강의에 매료되어 대학원에서는 고전문학을 전공했다. 고려대학교에서 국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태호 교수[2]와 함께 연구공동체[3] '수유 + 너머'를 결성하였다. 수유리의 작은 공부방에서 소수의 국문학 연구자들로 시작된 모임이 서울사회과학연구소[4] 출신의 사회과학 전공자들과 결합해 당대 제일의 연구공동체로 성장하였다. 이곳에서 수많은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강연 및 집필활동을 하였다. 소모적인 교수 임용에 매달려 ‘정력탕진’하느니 경제적 자립과 배움이 가능한 ‘열린 광장’을 만들겠다는 꿈을 현실화한 셈이었다. 다소 독설가 기질이 있어서 '수유+너머' 내에서도 '고마녀'라는 별명으로 불리었다. 그러다가 2010년 경 '수유 + 너머'를 탈퇴하였다. 현재는 남산 자락에 있는 '감이당'에서 활동하고 있다.

문체가 매우 재기발랄하고, 자유분방하다. 예를 들어 별에서 온 그대라는 드라마가 유행할 때에는 '나는 별이다'[5]라는 글을 써서 독자들의 주의를 환기하는 식이다. 그리고 고전을 생동감 있게 재해석하는 식으로 글을 쓴다. 예를 들어 열하일기를 읽어보면 연암 박지원이 옥전현이라는 마을 점포에서 너무나도 재미있는 문장을 발견하게 되어 그걸 열심히 베끼자, 점포 주인이 연암에게 왜 그걸 베끼냐고 물으니까, 연암이 “돌아가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한번 읽혀서 모두들 허리를 잡고 한바탕 웃게 하려는 거요. 아마 이걸 읽는다면 입안에 든 밥알이 벌처럼 날아갈 것이며, 튼튼한 갓끈이라도 썩은 새끼처럼 끊어질 것이외다.”라고 답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런 대목들을 소개하며, 무려 300년 전에도 연암 같은 사람이 남을 웃기기 위해서 그러한 고생을 다 했다고 평하는 식이다. 그런 이유로 고미숙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수많은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다만 싫어하는 사람도 무지하게 많다. 좋게 보면 문체가 재기발랄하고 자유분방한 것이지만, 나쁘게 볼 경우 정말 난잡한데다 맥락을 자꾸 끊어먹을 정도로 반복되는 자잘한 묘사와 쉼표, 감탄사, 심지어 이모티콘(!) 등이 읽는 사람을 매우 짜증나게 한다. 귀여니 작가의 서문 등을 보면 흔히 "글은, 소설은 누구나 쓸 수 있다"로 요약되는 사상인 듯 한데, 그야 물론 어디 시정잡배라도 글을 쓸 수는 있겠지만 그걸 아무도 읽어주지 않는다는게 문제지(...) 대충 비슷하게 표현해 보자면 "열하일기, 그 웃음과, 그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아, 얼마나 생동감 있고 팔팔한 시대였는가! 믿기지 않는다고? 그렇다면 이건 어떤가?" 라는 식의 문장이 책 전체를 다 채우고 있다. 문장 구조에서 보아도 감탄사는 한 두번 쓸 때야 주의를 환기시킨다지만 글 내내 이 쑈를 하고 있으니 읽는 사람이 노이로제가 걸릴 지경. 직접 한 챕터만 읽어봐도 안다.

저서로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나비와 전사》, 『이 영화를 보라』,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 『윤선도 평전』, 『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 : 다산과 연암 라이벌 평전 1탄』,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삶과 문명의 눈부신 비전 열하일기』,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 사주명리학과 안티 오이디푸스』,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 동의보감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 『사랑과 연애의 달인, 호모 에로스』, 『돈의 달인, 호모 코뮤니타스』, 《낭송의 달인, 호모 큐라스》 등이 있다.
  1. 고전평론가는 그가 만든 직업이다. ‘우주 유일의 고전평론가’라는 닉네임을 갖고 있다.
  2. 1980년대 이진경이란 가명으로 <사회구성체와 사회과학방법론>(일명 사사방)을 출판해서 학계와 민주화운동세력에 엄청난 회오리를 불러 일으킨 사람이다.
  3. 성령충만한 인문학 덕후 공동체라 불리기도 하였다.
  4. 1980년대 후반 서울대학교 82학번들이 중심이 되어서 활동했던 연구집단으로 학생운동 PD그룹의 이론적 근거지였다. 위에 언급된 이진경 외에 조국(!), 진중권(!) 등이 핵심멤버였다.
  5.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80000000330/3/70080000000330/20120313/4472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