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기

1208-01.jpg
古事記 こじき

일본 최초의 차원이동물 역사적 문헌이긴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신화에 가깝다. 학자들은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기록된 신화를 합쳐서 '기기신화'라고 부른다.[1] 일본어로는 일반적으로 코지키라고 읽지만 사실 올바른 방법은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후루코토후미라고 읽기도 한다. 참고로 '코지키'는 '거지'(밥 빌어먹고 사는 새끼)를 뜻하는 '乞食'와 발음이 같다.(…). 일본서기와 고사기의 관계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관계와 비슷하다.

1 설명

《고사기》는 겐메이 덴노의 명을 받아 오노 야스마로가 지은 으로, 712년에 완성되었다. 다만 그가 모든 것을 담당한 것은 아니고 이전부터 그 시도가 있었고 야스마로는 그것을 최종적으로 정리한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서문과 상중하 세 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당시 일본 덴노는 강력한 중앙집권화 정책을 추구했고 이로 인해서 임신의 난 이래로의 정통성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유교적 충성성을 강조하고 천황이 대대로 일본의 유일한 정통 지배자라는 것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었고 이를 위해서 역대 신토 신을 천황 가문으로 연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문서가 고사기다.

그 내용은 덴노 가문의 계보, 그리고 그에 얽힌 신화와 전설이다. 상권은 천지개벽과 아마츠가미쿠니츠가미 등 신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중권은 초대 덴노인 진무 덴노부터 15대 오진 덴노까지, 하권은 16대 닌토쿠 덴노부터 33대 스이코 덴노까지 다루고 있다. 현재 고사기가 편찬된 이유와 관련된 자료는 고사기 서문이 유일한데 이에 따르면 본래 히에다노 아레가 송습, 즉 암기해 읊는 것을 오노 야스마로가 받아 적어 712년에 완성했다고 전한다.

오랫동안 일본 신토계에서는 일본서기만을, 정확히는 일본서기 중 신대기 관련 부분만을 경전으로 삼았기 때문에 고사기에는 일본의 지식인들도 별 관심이없었다. 그러나 후대에 들어 일본서기는 순수한 일본적인 사상이 아닌 외래 중국물이 들었다고 비판하며, 고사기야말로 순수한 일본정신이 깃든 고문서라는 주장이 퍼지면서 두 책에 대한 평가가 뒤바뀌기도 하였다.

에도 막부시기 국학이 발생하면서 헤이안 시대 이후의 위작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런 주장이 나올 만도 한 게, 원본이 유실되고 마지막으로 남은 사본이 남북조시대라 일단 100% 조작인지는 둘째치고 원본과 얼마나 비슷한지 판별이 불가능하기 때문. 하지만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연구로 고사기의 표현이 이미 당시부터 있었던 표현임을 밝힘으로써 위작설은 폐기되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고사기가 최초의 원본을 얼마나 반영했는지는 아직까지도 알 도리가 없다.

참고로 오노 야스마로는 관련 기록이 일본서기 일부에만 있어 그 활동에 있어 의문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그 무덤이 발굴되어서 실존인물임이 확정되었고 이로 인해 고사기의 신빙성 역시 높아졌다.

한국사로 따지면 삼국유사와 화랑세기의 중간단계쯤 되는 책이라고 할까? 사실 이 책은 현대 사학자들에게는 역사책의 의미라기보기보다는 문학적, 신화적 의미가 더욱더 강하다. 왜냐하면 막상 실제 일본역사에서 중요한 서기 3세기 이후의(고사기의 하권) 기록이 전무하고 왕위계승과 관련된 최소한의 기록만 있기때문. 따라서 이 책은 실제 고대 일본사를 연구하는 데에는 큰 의미가 없다.

소설 닌자 슬레이어에서는 어째서인지 역사 뿐 아니라 닌자 신화, 닌자의 규칙, 말법칼립스의 예언 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실린 초월적인 예언서가 되어버렸다. 뭐든간에 '고사기에 그렇게 쓰여있다' 라고 한마디 하면 다 해결된다. 이때문에 니코니코 동화2ch 같은 곳에서는 뭔가 그럴 듯하지만 사실과는 다른 주장을 하면서 "그것도 고사기에 실려 있습니다." 라고 우기는 식으로 코멘트를 하는 경우가 있다. 어찌보면 적절한 사용이다.

2 관련 항목

  1. 흔히 일본신화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기기신화다. 하지만 기기신화는 야마토 조정이 명백하게 정치적 의도로 정리하고 변경했다. 따라서 기기신화가 고대로부터 이어진 원형적인 신화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일본신화 중에 기기신화도 있다고 생각함이 더 정확하며, 기기신화에서 드러나는 정치적인 의도도 함께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