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공선

官公船

해상에서 공무를 집행하는 선박 종류를 말한다. 대부분 해상에서 활동하는 배로는 해군이나 해양경찰것만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군과 해경 외에도 각종 정부기관 소속으로 해상에서 역할을 하는 선박이 있는데 이를 통틀어서 바로 관공선이라 하는 것이다. 해군이나 해경으로 군 복무를 했고 각종 통신기로 교신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적어도 한 번 이상은 들어봤을 것이다.

1 종류

지방자치단체에서부터 정부 부처 소속까지 생각보다 다양하다.
각 도와 광역시, 특별시 관할 관공선이 대표적이다. 두 자리로 된 한글 선명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경기도 소속이면 선명에 '경기'가 들어가고 인천광역시 소속이면 '인천'이 들어간다. 번호는 총 세 자리인데 처음 번호 한 자리는 기능표시라 하며 주요 직무에 따라서 번호가 달라진다. [1] 나머지 두 자리는 임의로 부여되는 일련번호이다.
다른 정부 부처 소속 선박이면 선명이 위와는 달리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관련 지식이 없는 사람이 본다면 어느 부서 관할인지 정확히 짐작하기 어렵다. 농림수산식품부 소속의 '무궁화'열차 이름이 아니다가 그 중 하나이다.[2]
보통 소형정이 대부분이나 배수톤수 기준 500톤 이상의 중형급 선박도 있다.[3]

2 임무

주로 어로지도, 항만 작업 등을 담당한다. 병원선도 포함된다. 해군이나 해경 함정처럼 정기적으로 출동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특수한 상황에만 투입되는 선박도 있다. 특정 단속기간 등에 어망을 강제로 수거하거나 등부표[4] 설치나 보수 등의 사유로 출동하는 관공선이 있는 것이다.
  1. 예를 들어 어로지도선은 2, 병원선은 5, 항만 작업 관련 선박은 9로 시작하는 것이다.
  2. 무궁화n호(n은 숫자가 들어갈 자리) 식으로 선명이 결정된다.
  3. 그래서 EEZ 근처까지도 출동하는 관공선이 있는 것이다.
  4. 해저에 추를 설치하여 수면에 떠 있고 야간에는 등화(등불)를 발하는 표지. 항행하는 선박을 위해 항로 안내, 암초 등 장애물 표시, 통행 금지 등 여러 용도로 쓰이는 일종의 신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