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리성 밀리언아서/한국 서비스/시즌 경과

목차

1 개요

한국에서 서비스되는 괴리성 밀리언아서의 시즌을 정리하는 문서입니다.

항목 작성 요령은 시즌 개최 분기 (신규/복각(콜라보 한정) 강적군 & 신규 한국형 강적)으로 기재합니다.

2 2015년

2.1 6월 상반기 (제 1차 요정)

제 1차 요정과 1등급 아이스 드래곤이 등장한다.

아이스 드래곤은 일본판 그대로 가져온 반면 요정들은 일본판에서 상향된 버전으로 들여오는 바람에 엄청나게 어렵다는 평. 바번시의 특급 난이도는 '크리스탈을 써라' 를 공략으로 내세울 지경이다. 2턴때 들어오는 바번시의 전체 공격 + 해골의 일반 공격을 맞아야 하는 한명이 살아남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 시즌 초중반에는 거의 당연하게 컨티뉴를 해야 클리어가 가능했고 시즌 말에서야 육성이 끝난 유저들이 노컨 클리어를 해내는 정도였다.

추후 웹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1차 요정의 경우 일본판의 복각된 상향된 난이도를 그대로 도입하였음이 실제로 밝혀졌다.무슨 지거리야

2.2 6월 하반기 (제 2차 요정)

제 2차 요정으로 라인업이 변경된 가운데 전 시즌에 이어서 등장하는 1등급 아이스 드래곤에는 신규 난이도 초특급이 추가되었다.

시즌2 아이스 드래곤은 이번에도 일본판 그대로 가져왔지만 요정들은 역시나 상향된 버전으로 들어왔다. 바번시는 중 후반부에 HP 20000을 넘긴 유저들이 무난하게 클리어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번엔 턴마다 18000 대미지를 날려대는 실키를 보며 유저들은 전의를 상실한 상태. 일부 유저들은 러시안 룰렛이라고 즐긴다 카더라 실키에 묻혔지만 상시 요정인 페리 댄서와 펙파울러 상급도 상당히 어려운 난이도다. 1차 요정 상급 정도의 난이도를 생각했다간 광탈 당하는 수준.

실키 특급은 1턴 2턴에 연속으로 공격을 받으면 가희의 힐량이 따라가지 못해서 거의 100% 죽고, 그렇다고 아예 파티원들이 방어 버프나 디버프에 치중하면 2턴때 에쿠스 하스토에서 날아오는 전체 공격을 막을 방법이 없어져버리고, 빠르게 클리어 하지 않으면 흡입량 상승으로 점점 더 늘어나는 실키의 공격력을 버틸 방법이 없어서 아예 가희까지 빙속성 공격에 가담하여 3 ~ 4턴 킬을 노려 사상자를 최소로 내는 방식으로 [1] 클리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략이 되어버렸다.

스타터 뽑기 UR 2장 확정으로 인해 일본판 초기보다 유저들의 스펙이 좋았던 것은 맞지만 실키는 그걸 감안해도 너무 과한 난이도로 비난받았고 카드 자체의 능력이 애매한 탓도 있지만 누가 죽을지 모르는 러시안 룰렛 난이도때문에 유저들이 호스트를 기피하는 탓에 방을 찾기가 매우 힘들었다.그래도 명성 100 찍는 사람은 꼭 있지만 액토즈는 난이도에 대한 문의에 대해 "한국 괴리성 밀리언아서는 일본 서버의 서비스와는 다른 한국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답변을 하고 있다. 다행히도 2차 요정 이후에 등장하는 요정 및 강적들은 난이도가 상향되지 않은 채로 들어오고 있다.

2.3 7월 상반기 (성야형 & 특이형 석탈해)

308535addd104305d911c15756677e16.png

스페셜 퀘만 돌아도 하루종일 돌릴수 있다
이거 뭐야 무서워
이거 다음달 심심해서 살겠나
하지만 다음시즌도 헬게이트였다
뭐야 너희 어떻게 대화하는거냐

한여름의 크리스마스 일본 서비스판의 등장 순서에 맞게 곧바로 성야형 시즌이 시작되었으며, 3D 레이드 보스로 강습형 파이어 키메라가 등장한다. 2015년 7월 2일 iOS에서도 뒤늦게 출시되면서 iOS 이용자들을 위해 1차 요정과 아이스 드래곤이 복각되었다. 복각으로 인한 살인적인 일정은 덤

최초의 한국형 강적 특이형 석탈해가 추가되었다.

2.4 7월 하반기 (신춘형 & 특이형 베더비어)

파일:JW0dqm4.jpg

신춘형 시즌에 신규 한국형 강적 특이형 베더비어가 등장하며 3D 레이드 보스는 블랙 치아리 이터. 일괴밀에서는 파이어 키메라→시시마이→블랙 치아리 이터 순으로 등장하였지만 한괴밀에서는 시시마이를 건너뛰고 바로 등장하는 바람에 바로 전 3D 강적인 시시마이에서 얻을 수 있는 광속성 카드인 신춘형 아서 검술의 성, 신춘형 리페를 획득하지 못한 덕분에 광속성 공격 카드 부족으로 인해 공략에 어려움이 있을거라 예상했으나 블랙 치아리이터의 난이도 자체가 하향되었고 어렵진 않은 탓에 매우 지루하다는 평을 받았다. 신춘형 오이페도 현재 일밀아에서도 대책 없을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한국형 강적 베더비어의 미친 난이도에 완전히 묻혀버렸다.

iOS 버전의 지연출시 보상으로 1차 요정에 이어서 2차 요정도 복각됨에 따라 살인적인 스페셜 퀘스트 일정은 이번 4번째 시즌에도 계속되었다. 오히려 지난시즌보다 더한데? 성야형 니무에 카드 드랍이 추가된 성야형 용병아서와 성야형 산타클로스가 복각되었는데, 참고로 성야형 니무에 카드는 상급과 특급에선 확률적으로, 초특급에서는 성야형 용병아서의 검과 성야형 산타클로스의 선물꾸러미를 파괴할시 100퍼센트 확률로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이 당시 시작한 유저들(특히 도적)은 성야형 용병 아서를 잡기위해 산타클로스부터 잡아야 했다

2.5 8월 상반기 (제 3차 요정 & 카라테리)

[[파일:/20150730_256/actozwiz_1438240219906x7AqI_PNG/8%BF%F9_1%C2%F7_%BD%C3%C1%F0_%BD%C3%B0%A3%C7%A5.png]]

8.6까지는 귀검사 콜라보도 같이 진행된다. 그리고 시시마이가 2가지 타입이라서 사실상 빡빡한 일정이나 마찬가지
그래도 시시마이가 크리스탈을 총 8개나 준다. 개이득
하지만 상당수 유저들은 그 크리스탈을 귀검사 던전을 위한 물약으로 써야했다고 한다...

제 3차 요정과 함께 등장 순서가 블랙 치아리이터와 뒤바뀐 3D 강적 신춘형 시시마이가 등장하며, 신규 한국형 요정인 카라테리가 출현했다. 시시마이는 사실상 기존 파이어 키메라에서 공격력과 HP만 증가된 팔레트스왑버전에 불과하기 때문에 블랙 치아리이터 시즌에서 전력[2]을 보강한 아서들에게는 일본판에 비해 상당히 쉬웠다는 것이 중론. 그런지 시시마이 초특급 공방에서 HP제한이 24k다.

일본판에서는 특별한 구분없이 짝수날 홀수날로 나누어서 시시마이의 드랍카드를 달리했지만, 한국서버는 아예 타입을 설정해서 A형과 B형으로 나누어 완전히 별개의 레이드로 설정했기 때문에 A형과 B형 각각에서 크리스탈을 입수할 수 있었다.

한국형 강적의 경우, 초특급 난이도에서만 MR로 진화가능한 UR 카드가 드랍되는 방식이 정형화된듯하다. 이전까지는 아이스 드래곤과 파이어키메라 초특급 난이도에서 UR 등급의 가희형 카구야나 가희형 기네비어을 드랍했지만, 이후 한국섭의 일본판 강적의 경우 초특급 난이도에서만 UR 카드를 얻게하는 방식은 지양하는 듯 하며, 한국형 강적은 일본판에서는 볼 수 없었던 퍼즐 형식의 패턴을 도입하는 듯하다.어차피 이러나저러나 대부분 원기옥 클리어를 강요하지만...

2.6 8월 하반기 (화연형 & 1등급 윈드 드래곤 & 멸염형 페리도트)

파일:TNuKuyE.png

여름 대규모 업데이트 직전 일정이다.폭풍전야

화연형 시즌에 3D 강적은 윈드 드래곤으로, 일본판에서 욕을 엄청 얻어먹었던 윈드 드래곤의 팔레트 스왑 버전 '사랑하는 소녀'는 등장하지 않았다. 한국형 강적으로는 멸염형 페리도트가 등장했는데, 화연형 펠리어스의 아성을 이길 정도는 아니었다고(...).

2.7 9월 상반기 (제 4차 요정 & 이계형 랜서 & 멸염형 앙트와네트)

[[파일:/20150830_30/actozwiz_14409050033170g7EJ_PNG/%BD%BA%C6%E4%BC%C8_%C4%F9%BD%BA%C6%AE_%BD%C3%B0%A3%C7%A5_08310915%28%BC%F6%C1%A4%29.png]]

본격 가희 개점 휴업 상태 시즌. 드랍카드가 단 하나도 없다.

Fate UBW와 콜라보가 예고되어서 상시 강적의 경우 이계형 서번트가 나오리라고 예상되었으나,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제4차 요정이 등장하였고, 예고편이라도 되는양 이계형 랜서만 게릴라 강적처럼 하루에 세 번 1시간씩 일본판과 같은 상시강적 정도의 난이도로 등장하였다.

3D 강적의 경우 세인트 키메라가 등장한다. 기존 파이어 키메라의 팔레트스왑 버전으로 패턴은 파이어 키메라와 윈드 드래곤의 복합형태이다. 일본판 순서대로라면 그 다음에는 오히나사마[3]나 쿠 훌린이 등장할 것으로 점쳐졌으나...

한국형 강적으로는 멸염형 앙트와네트가 등장한다. 업데이트 공지를 통해 파괴된 부위가 부활하는 매커니즘임을 밝히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계형 길가메쉬 등장하기 이전에 미리 연습하라는 친절한 액토즈 자세한 공략은 아래 참조.

이번 시즌의 최종보스로 꼽히는 요정은 셰리코트. 일본서버에서도 악명높았던 빅 웨이브 연타로 한국서버에서도 아서들의 사기를 깎고 있다.

이 시즌을 기점으로 UI 패치가 이루어져 부위의 체력이 표시된다. 일본 서비스판보다 상당히 빠른 시기에 이루어진 편.

2.8 9월 하반기 (이계형 서번트 & 추석형 묘묘)

[[파일:/20150922_215/actozwiz_1442904402851DuuhJ_JPEG/9%BF%F9_2%C2%F7_%B0%AD%C0%FB_%BD%C3%B0%A3%C7%A5_%28%B9%A6%B9%A6_%C3%DF%B0%A1%29.jpg]]

본격 봉인해제 카드 대란

본격적으로 Fate UBW 콜라보가 진행되면서 이계형 서번트 강적 5종이 출현한다 지난 시즌에 4차 요정과 Fate콜라보 강적인 랜서가 동시에 출현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역행형/미래형 강적과 Fate콜라보 강적이 동시에 출현하지 않을까 라고 추측했지만 설레발로 끝났다.

3D강적은 특이하게도 세인트 드래곤과 길가메쉬 드래곤이 짝수일/홀수일 각각 나누어서 등장한다. 드랍카드는 동일하다.길가메쉬 드래곤의 공략이 어렵다면 세인트 드래곤만 잡으라는 친절한 액토즈

시즌 초기에 한국형 강적의 등장이 없던데다 게릴라 강적이 등장하지 않는 시간대가 있어 의아해했던 유저들이었으나 9월 23일, 그 비어있던 시간대에 추석형 묘묘가 추가되었다.

이번 시즌의 최종보스는 당연히 길가메쉬 드래곤. 세 시즌을 건너뛰어 봉인해제를 포함한 여러 카드가 많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들어온 만큼 너프되어 들어왔지만,[5] 봉인 메타 자체와 브레스턴의 대미지 경감 조건은 유지되었으며, 대미지 너프가 미미할 정도의 무지막지한 화력은 여전해서 많은 유저들의 기를 빼고 있다.

저번 시즌은 가희가 개점휴업 상태이었다면 이번 시즌은 용병이 개점휴업 상태였다. 랜서가 용병 진영 카드이긴 하지만 지난 시즌에 이미 명작이 끝난 아서들이 많기 때문에... 하지만 메달린 명작을 해야하니 결국 돌아야한다

2.9 10월 상반기 (미래형/역행형 & 이계형 서번트 & 미래형 베더비어 & 미래형 산타클로스)

[[파일:/20151001_150/actozwiz_1443671009155FKfiP_PNG/10%BF%F9_1%C2%F7_%BD%C3%B0%A3%C7%A5%28%C4%A1%BE%C6%B8%AE_%BA%AF%B0%E6%29.png]]

유저와의 소통이 부족한 업데이트 공지로 시작한 시즌.

스페셜 퀘스트 강적은 다시 일본판의 시즌 시계열을 따라 미래형/역행형 강적이 등장하며, 3D 게릴라 강적 역시 히나 인형(=오히나사마)이 등장한다. 해당 시즌에 맞추어 히나 메달 뽑기 또한 등장. 일본에서 Fate UBW 콜라보가 1달에 걸쳐 진행되었던 탓인지 한국에서도 Fate 콜라보 강적들은 물론 세인트 드래곤, 길가메쉬 드래곤 출현 기간이 연장되어 10월 15일까지 등장하였다.

한국형 강적은 미래형 베더비어가 등장. 이미 추석형 묘묘가 9일까지 등장중인데 한국형 강적이 동시에 출현하는 건 보기드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다음 한국형 강적은 시즌이 종료되기도 전에 추가되는데, 바로 미래형 산타클로스. 두 강적 모두 자세한 공략법은 각 항목을 참조.

이번 시즌의 최종보스는 미래형 베더비어. 특이형 베더비어 시절의 퍼즐식 공략과 더불어 보스 러시로 만들어져, 실패에 대한 부담감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2.10 10월 하반기 (제 5차 요정)

[[파일:/20151015_234/actozwiz_14448918012693lAar_PNG/2%C2%F7_%BD%C3%B0%A3%C7%A5_4.png]]

Fate 콜라보가 종료되어 한가해질 줄 알았으나 그게 아니었던 시즌. 제 5차 요정과 함께 3D 강적으로 드디어 쿠 훌린이 등장한다. 한국서버 한정으로는 신규 3D 모델링의 강적.

한국형 강적은 미래형 베더비어/산타클로스가 기간연장(!)되어 등장한다. 추가적으로 미래형 베더비어의 경우, 인자 카드를 모아서 괴리진화를 하면 스킬, 진영, 능력치는 그대로인 채로 일러스트만 변경되는 업데이트가 추가되었다. 변경되는 일러스트는 직접 확인해보자하하하! 액토즈 이녀석들 하하하! 사실 보이스도 조금 바뀌긴 한다

이번 시즌 메달은 얼스터 메달로 특이하게도 이번 시즌에는 한국형 강적도 얼스터 메달과 미래형 베더비어 괴진재료를 드랍한다. 지난 시즌은 원기옥 와장창 패턴 덕분에 시즌 메달 모으기가 용이했지만 이번 시즌은 미래형에 비해 강적 난이도가 올라가서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 었지만 그동안 풀렸던 한국형 강적카드와 한국형 가챠카드, 그리고 일판보다 빠르게 진행된 페이트 시즌의 시너지가 겹치면서 체감난이도는 뚝 떨어졌고, 일부 쿠 훌린 파티에선 일판 첫 실장 당시엔 할 수 없었던 7코 원기옥 클리어마저 성행하게 되었다(...). 그래도 6코클은 못했다고 한다.

신규 괴리진화도 업데이트 되었다. 복제형 오이페와 신춘형 베이린으로, 이 둘의 괴리진화 소재 때문에 신춘형 강적이 복각되어 등장한다.

2.11 11월 상반기 (확산형 & 확산형 색동)

[[파일:/20151029_156/actozwiz_1446112001345bnKTt_PNG/11%BF%F9_1%C2%F7_%BD%C3%B0%A3%C7%A5.png]]

일본 서비스판의 확산형 시즌의 강적들이 그대로 나왔으며, 한국형 강적으로 확산형 색동이 등장했다. 또한 신규 괴리진화 카드로 제압형 에니드, 귀화형 니무에가 추가되어서 괴리진화 소재 카드를 위해 2차 요정이 복각되었다. 초창기에 농락당하던 그 아서가 아니다. 픽시의 반사데미지도 맞아가면서 잡는다 갓캐럴 괴소랑 있는데 마법은 사실상 1턴간 안들어오는 전법으로 5~6코에 대놓고 전원이서 마법딜카를 낸 파티도 있다 카더라.

제독 메달 가챠에서 학도형 니칼을 4종 뽑을 수 있으며, 이번에도 한국형 강적이 시즌메달을 드랍한다.

특기할 점은 이번 한국형 강적의 등장시간이 예전과 달리 1, 2번째 타임이 3D강적보다 더 빨리 나오게 바뀌었다.이제 일괴 한괴 병행하는사람들은 한국강적, 한국3d, 일괴3d 셋을 모두 돌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더 노라이퍼도(度)가 강화되었다

2.12 11월 하반기 (학도형 & 인페르노)

[[파일:/20151116_280/actozwiz_1447667118675dV5LV_PNG/11%BF%F9_2%C2%F7_%BD%C3%B0%A3%C7%A5_%BC%F6%C1%A4.png]]

학도형 1시즌의 강적들과 3D 강적으로는 윈드 치아리이터와 파이어 키메라 1차 복각이 등장했는데, 여기에 더해 최초의 한국형 3D 강적인 인페르노가 출현했다(!). 하지만 그 비주얼은...

학도형 메달 가챠에서는 기존의 학도형 4종에 한국형 메달카드인 학도형 기네비어 4종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일찍 일어난 아버지! 가방처럼 날아서! 나비처럼 들어가신다! 쭉 쭉 쭉쭉!

그리고 이전에 등장했던 한국형 강적인 특이형 석탈해와 특이형 베더비어가 해당 기간동안 열쇠를 통해서 복각되었다. 패턴이나 스펙은 이전에 등장했던 것과 차이가 없어서 전반적으로 상향평준화되어 있는 유저들에 의해서 예전에 비해서는 그리 어렵지 않게 클리어가 가능하다.대신 올부파가 어렵지

2.13 12월 상반기 (제 6차 요정 & 제 5덕급 깡통로봇)

[[파일:/20151127_140/actozwiz_1448615065762hxDUX_PNG/12%BF%F9_1%C2%F7_%BD%C3%B0%A3%C7%A5_%BC%F6%C1%A4.png]]

제 6차 요정 시즌으로, 3D 강적은 무사 쿠 훌린과 블랙 치아리이터 1차 복각이 등장하는 가운데 저번 시즌에 이어 신규 한국형 오리지널 3D 강적 제 5덕급 깡통로봇이 출현한다. 오리지널이라고 해도 이름부터가 치아리이터의 팔레트스왑 버전일 것으로 충분히 예상이 된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시즌메달은 무사 메달로 일본판과 동일하다. 이번에도 한국형 3D강적이 시즌메달을 준다.

2.14 12월 하반기 (제 7차 요정 & 성탄형 엘리자베스Ⅰ & 초각성 기린)

[[파일:/20151221_73/actozwiz_1450700235331X4nFs_PNG/2%C2%F7%BD%C3%B0%A3%C7%A5_%BC%F6%C0%FA%BE%FB.png]]

한국형 우아사하메달 교환소 업데이트로 인해 어떤 난이도가 튀어나와도 전혀 놀랍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즌

제 7차 요정 시즌에 3D 강적으로는 1등급 파이어 드래곤과 강습형 세인트 키메라 1차 복각버전이, 한국형 강적은 오랜만에 3D가 아닌 2D 보스로 성탄형 엘리자베스Ⅰ이 등장했다. 그리고 12월 22일 업데이트 이후로 한국형 강적 초각성 기린이 추가되어 등장한다.

신부 메달 가챠에서는 일본판과 동일하게 순백형 4종과 이전 시즌에 등장했던 무사 메달 가챠 출신 기사들을 뽑을 수 있다.

3 2016년

3.1 1월 상반기 (동화형 & 휘황형 마린 & 암타형 모드레드)

[[파일:/20160107_216/actozwiz_1452170044450eVf53_PNG/1%BF%F9_1%C2%F7_%BD%C3%B0%A3%C7%A5%28%BC%F6%C1%A4%29.png]]

동화형 시즌이며, 3D 강적으로는 케로틴과 히나 인형의 복각판인 블루 치아리이터가 등장하며, 괴리진화 대상으로 선정된 제1형 란슬롯, 복제형 쿠 훌린의 재료인 제 5차 요정들이 복각된다.

한국형 강적은 저번 시즌에 이어 2D 강적인 휘황형 마린이 등장한다. 저번 시즌의 초각성 기린처럼 괴리진화를 해야 본래 실력을 발휘할 수 있게끔 만들어뒀다. 또한, 1월 8일부로 암타형 모드레드가 추가로 등장한다.

시즌 메달은 장마 메달이다.

3.2 1월 하반기 (제 8차 요정 & 신화형 아킬레우스)

[[파일:/20160113_263/actozwiz_14526899821750hzBz_JPEG/1%BF%F9_2%C2%F7_%BD%C3%B0%A3%C7%A5.jpg]]

게릴라 강적은 제 8차 요정 시즌으로, 3D 강적으로는 다크 키메라와 쿠 훌린이 복각되어 등장하며, 괴리진화 대상으로 선정된 제1형 모드레드, 신춘형 에니드의 재료인 제 3차 요정들도 복각된다.

한국형 강적은 저번 시즌 중간에 추가되었던 암타형 모드레드와 새로 추가된 신화형 아킬레우스 둘이 등장한다. 신화형 아킬레우스의 경우, 괴리진화 시스템 없이 카드를 획득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이며, 이에 따라 초특급에서 100% UR 드랍이 아니게 되었다.

시즌메달은 원령 메달이다.

3.3 2월 상반기 (성관형 & 염하형 & 정월형 유리 & UNKNOWN & 정월형 설이)

[[파일:/20160129_212/actozwiz_1453995480616LiBLe_JPEG/2%BF%F9_1%C2%F7_%BD%C3%B0%A3%C7%A5.jpg]]

원래 일본 서비스판의 시즌 시계열대로라면 Fate 2차 콜라보가 실시되었어야 했으나, 아직 계약이 성사되지 않은 탓인지 그 대신에 성관형과 염하형을 동시에 진행했다. 3D 강적 역시 두 시즌 분량으로 4종이나 등장하는데,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국형 3D 제 5덕급 깡통로봇까지 복각되었다.

신규 한국형 2D 강적은 정월형 유리가 등장했으며, 2월 5일 점검 이후로는 정월형 설이도 추가되었다.

시즌메달은 썸머 메달이다.

여담으로 엄청나게 빡빡한 시즌 구성과 늦은 공지, 그리고 충격과 공포의 오덕깡통 복각으로 인해 빠져나간 유저들이 많고 액토즈는 욕을 실컷 얻어먹었으며, 첫 날부터 시간표 오류, 투명 버그, 모션스킵 등 버그가 많이 터진 바 있다.

3.4 2월 하반기 (특이형 & 정월형 도적 아서 & 화연형 카나리아)

[[파일:/20160214_213/actozwiz_1455447142292W3iPl_JPEG/2%BF%F9_2%C2%F7_%BD%C3%B0%A3%C7%A5.jpg]]

시즌 순서상 우마루 콜라보레이션이 실시되었어야 했으나, 이 역시 무산되고 대신 한국형 오리지널 컨텐츠로 변경하여 진행되었다.

정월형 설이에 도전급 난이도가 추가되었으며, 신규 한국형 2D 강적으로 정월형 도적 아서, 충격과 공포의 화연형 카나리아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해당 시즌에 특이형 오키타 소지, 헬보르가 괴리진화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그 재료가 되는 학도형 강적이 복각되었다.

시즌 메달은 정월 메달이다. 메달 디자인이 일본 서비스판의 신춘형 2 시즌 신년 메달과 똑같다.

3.5 3월 상반기 (신도형 & 돌아온 오덕깡통 & 돌아온 인페르노 & 신도형 산타클로스)

[[파일:/20160302_10/actozwiz_1456920317510gX2OE_JPEG/3%BF%F9_1%C2%F7_%BD%C3%B0%A3%C7%A5_%BC%F6%C1%A4.jpg]]

하츠네 미쿠 콜라보레이션이 실시되었어야 했으나, 이 대신에 최초로 한국형 오리지널 시즌이 실시된다.

게릴라 강적은 신도형으로 게릴라에는 신도형 앙트와네트와 세이메이, 상시로는 신도형 리페, 비스크라브레드, 묘묘가 등장하며, 기존 한국형 2D 강적 위치로는 신도형 모드레드가 등장한다. 첫날부터 게릴라 일정 오류라니 3월 11일부터는 신도형 산타클로스도 기존 한국형 2D 강적 위치로써 추가로 등장한다. 3D 강적 또한 한국형으로 대체되어, 돌아온 오덕깡통과 돌아온 인페르노가 격일 단위로 출현한다.

시즌 메달은 신학기 메달이다.

더불어 이번 시즌부터 한국형 내비게이터가 실장되어 우아사하에 한국형 보이스를 붙인 내비게이터가 추가된다. 메이의 재림이 가까워지고 있다

3.6 3월 하반기 (이계형 서번트 2차 & 이계형 길가메쉬 3종류)

[[파일:/20160320_268/actozwiz_1458462124734jPQm3_JPEG/3%BF%F9_2%C2%F7_%BD%C3%B0%A3%C7%A5_21%C0%CF%BC%F6%C1%A4.jpg]]

결국 Fate UBW와의 2차 계약이 성사되면서 장장 12시간에 걸친 장기 점검 끝에 결국 콜라보레이션이 실시되었다.

2D 강적은 기존의 이계형 서번트 강적들이 복각된 가운데 신규 한국형 강적으로 콜라보 대상인 길가메쉬의 배리에이션인 신규 2D 강적, 이계형 길가메쉬-왕의 재보-가 등장했다.

3D 강적으로는 길가메쉬 드래곤의 변형 복각판인 진·길가메쉬 드래곤이 새로이 등장하며, 일본 서비스판에서처럼 윈드 치아리이터가 복각되어 격일로 등장한다. 또한, 돌아온 오덕깡통의 기간이 연장되었다.

1차 콜라보 때와는 달리 염하형, 특이형을 먼저 실시한 덕분에 일본판의 2차 콜라보 때보다 나아진 카드풀이 도움이 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상시 강적인 초특급 랜서가 오덕깡통을 뛰어넘는 룰렛을 뽐내며 역대 최고의 난이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시즌메달은 Fate 골드 메달이다.

여담으로 12시간이나 점검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성관&염하형 때처럼 수많은 버그가 터져나와서 유저들의 원성을 샀다. 그 다음날에 긴급 점검으로 대부분의 문제를 수정했으나, 일부 버그는 그대로 남아있고 새로운 버그까지 추가되어 그다지 좋다고는 할 수 없었지만 현재는 해결된 상황.

3.7 4월 상반기 (화유형 & )

[[파일:/20160408_221/actozwiz_1460101244846bls3D_JPEG/4%BF%F9_1%C2%F7_%BD%C3%B0%A3%C7%A5_%BC%F6%C1%A4.jpg]]

신도형에 이은 두 번째 한국형 오리지널 시즌이 되었다.

이번 시즌에는 복각 아닌 복각 강적이 유독 많이 등장했는데 (총 6종) 대부분 공격력이 많이 강화되서 돌아왔다. 카라틴을 빼면 전보다 훨씬 공격력이 세졌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7]

시즌 메달은 꽃놀이 메달이다.

3.8 4월 하반기 (제 7차 요정 (복각) & 제 9차 요정 & 퐁퐁 키메라 & 블루 치아리 이터 & & 가련형 석탈해 & 이계형 미우)

[[파일:/20160418_52/actozwiz_1460947583523sgJoi_JPEG/4%BF%F9_2%C2%F7_%BD%C3%B0%A3%C7%A5.jpg]]
... 위에 시간표를 지금까지의 모든 시간표와 비교해보자. 제일 강적이 많이 쏟아지는 시즌이다... [8] 참고로 여기엔 가련형 석탈해 & 이계형 미우가 빠져있다.

아주 그냥 강적, 이벤트, 콜라보레이션 풍년인 시즌이로구나!!

Who Is She~?라는 이름으로 이미지가 올라오더니 하츠네 미쿠 콜라보가 실시되었다. 3시즌 동안 진행될 계획이다.
큐라레팬아트 공모전이 열리더니 콜라보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28일 이계형 미우가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콜라보가 시작되었다

시즌 메달은 하츠네 메달이다.

상시 강적 2종류 + 리바이벌 강적이 4개나 나오면서 역대급으로 바쁜시즌이 되었다. 자정(치아리 포함)하고 오후 8시에는 상시강적을 포함하면 무려 7종이나 되는 강적이 쏟아진다. 거기에다 22일부터 가련형 석탈해가 추가되면서 쉴 시간마저 사라졌다.[9] 여기에 그치지 않고 28일에는 본격적으로 큐라레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시작되면서 이계형 미우까지 나오기 시작했다. 당연할 지도 모르지만 타 게임의 일정레벨 도달 시 크리스탈/마력석을 주는 이벤트도 진행되면서 아서/사서들은 하루종일 스마트폰만 보는 신세가...

지난번 페이트 2차 콜라보처럼 3연속 가챠시 미쿠로 아서 체인지가 가능하며 서포트요정에도 미쿠가 추가되었다.

스타터팩도 지급하고 있으니 카드풀이 심각하게 안 좋거나 새로 시작하는 사람들은 유용하게 써먹자 다만 지난 페이트 2차 기념 스타터팩과 거의 다를게 없다는 점이...

3.9 5월 상반기 (제 4차 요정 (복각) & 추계형 & 다크 드래곤 & 강습형 세인트 키메라 & 가련형 석탈해 & 이계형 미우 & 입체형 베더비어)

[[파일:/20160501_54/actozwiz_1462033969042AmSLF_JPEG/5%BF%F9_1%C2%F7_%BD%C3%B0%A3%C7%A5.jpg]]

시즌 메달은 달맞이 메달이다.

미쿠 콜라보 2차가 진행되었다.

베더비어가 3D 강적으로 나왔는데... 난이도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0]

3.10 5월 하반기 (역행형 & 키마이라 & 카라틴(케로틴) & 입체형 베더비어 & 야만신 타이탄 & 아장형 렘)

[[파일:/20160514_250/actozwiz_1463152270113UXs5W_JPEG/5%BF%F9_2%C2%F7_%BD%C3%B0%A3%C7%A5.jpg]]

시즌 메달은 역행 메달이다.

미쿠 콜라보 3차가 진행된다.

파이널 판타지 14 ARR 콜라보레이션이 진행된다. 도대체 콜라보를 몇 개를 동시 진행하는거야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1 6월 상반기 (제8차 요정 (복각) & 마창형 & 마창형 (한국형) & (무사)쿠 훌린 (복각) & 다크 드래곤 (한국 리바이벌) & 아장형 렘 & 가희형 춘향)

[[파일:/20160531_233/actozwiz_1464636918081ntXiR_JPEG/6%BF%F9_1%C2%F7_%BD%C3%B0%A3%C7%A5.jpg]]

시즌 메달은 할로윈 메달이다. 아직 여름인데...

한괴밀 1주년으로 감사제4.1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아쉬운 점은 테일즈 오브 시리즈와의 콜라보 시즌이지만 한국형 오리지날 강적으로 교체되면서 이계형 바르바토스가 안 나와서 복각이 많아졌다는 거. 일괴밀 감사제 카드도 춘향이로 교체되서 아쉬움은 더 할 듯. 전 시즌만 해도 콜라보 천국이었는데

또한 업데이트가 되면서, 드디어 혼자서 플레이 하더라도 다른 셋의 카드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덱 좋은 친구만 잘 불러오면 혼자서도 클리어 가능할지도.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2 6월 하반기 (화연형 (복각) & 확산형 (복각) & 제 10차 요정 & 던만추 & 가련형 & 군고구마 이터 & 강습형 윈드 키메라 & 1등급 아이스 드래곤 (익종) & 키마이라 - 1차 복각 & 마창형 라피스 & 가희형 춘향 (도전급))

[[파일:/20160616_33/actozwiz_1466006434231DVbtz_JPEG/6%BF%F9_2%C2%F7_%BD%C3%B0%A3%C7%A5.jpg]]
... 16년 4월 하반기의 강적 숫자를 가뿐히 뛰어넘는 막장 시간표가 탄생했다...

시즌 메달은 던만추 메달과 동물귀 메달이다.

지난 시즌 테일즈 시리즈와의 콜라보는 무산되었지만 이번 시즌에는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와의 콜라보는 제대로 성사되었다.

문제는 잔여 테일즈 시즌 + 던만추 시즌만으로도 많은 강적군이 괴리진화 카드도 대량으로 나오면서 무려 4개나 동시에 나온다는 점... 한 타임에 상시 강적 + 게릴라 강적이 8명이 출연하고 3D 강적이 한 시즌에 5개나 나오는 미쳐 돌아가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와중에 한국형 강적들은 다른 시간대에 나오면서 아서들을 더욱 피곤하게 한다.[11]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3 7월 상반기 (미래형/역행형 (복각) & 제 11차 요정 & 1등급 아이스 드래곤 (익종) - 도전급 & 허둥지둥 제독 & 블랙 치아리이터 - 2차 복각 & 루후나 & 멸염형 앙트와네트 (복각) & 추석형 묘묘 (복각))

[[파일:/20160701_36/actozwiz_1467302102679Wil5l_JPEG/%BD%BA%C6%E4%BC%C8%C4%F9%BD%BA%C6%AE_%BD%BA%C4%C9%C1%EC.jpg]]

시즌 메달은 암타 메달이다.

1주년 이벤트,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콜라보에 이어 서유리 콜라보가 진행된다.

한동안 조용히 넘어가나 싶더니 이번에 업데이트 때 또 사고 하나 쳤다. 덕분에 입문 보스 그룹이 막힌 상황.

또한 크라이 사전등록시 크리스탈 10개를 준다.

7/7일 강적 난이도가 추가 되어 나왔으며 7/13일 시즌이 끝나갈 때 한국형 강적들이 복각되었다 왜...?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4 7월 하반기 (멸염형 앙트와네트 (복각) & 추석형 묘묘 (복각) & 특이형 (복각) & 성야형 2차 & 성야형 산타클로스 (언니) & 멸염형 베더비어 & 염하형 티아 )

%B0%AD%C0%FB_%BD%BA%C4%C9%C1%EC.jpg

시즌 메달은 성야 메달이다.

10시간의 점검 끝에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역시 액토즈 답게 또 문제가 터졌다

일괴밀처럼 크리스마스 선물 수집이벤트가 열렸는데 첫 날 수량이 2만개... 20만개도 아니고 2만개다. 최종 보상이 1천만개인 것을 생각하면 사실상 불가능한 수치였으며 결국 150만개로 하향조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5 8월 상반기 (신춘형 (복각) & 2차 신춘형 & 신춘형 시시마이 -빙아- (+ 도전급) & 다크 드래곤 (1차 복각) & 염하형 티아 & 멸염형 토르 )

8%BF%F9_1%C2%F7_%B0%AD%C0%FB_%BD%BA%C4%C9%C1%EC.jpg

시즌 메달은 신춘 메달이다.

슬슬 안 터트리면 지겨운지 또 하나 터트려 주셨다

별다른 이벤트도 없고, 따로 콜라보하는 것도 없는 시즌이다. 문제는 부호가 몇 시즌째 특정 강적으로 고통을 받는 중이다... [12]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6 8월 하반기 (납량형 & 키마이라 & 여전남 & 오륜형 콘스탄틴)

8%BF%F9_2%C2%F7_%BD%C3%B0%A3%C7%A5_tnwjd.PNG

시즌 메달은 행락 메달이다.

원래대로라면 마법과 고교의 열등생 콜라보 대체 시즌이지만 대신 한국형 자체시즌으로 진행 된다.

따라서 모든 강적과 가챠가 한국형 시즌인 납량형/행락형으로 바뀌었다. 3D 보스도 한국형으로 리뉴얼 되어서 나오게 되어서 초반 공략이 꽤 힘들어졌다. 몇몇 공략 사이트에서 올렸던 공략본이 한순간에 무용지물이 되었다

샤비가 아서 체인지로 나왔다. 로리콘들은 소리를 지르는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17 9월 상반기 (신화형 & 신화형(한국) & 동화형(복각) & 시원찮은 제독 & 골드 치아리이터)

9%BF%F9_1%C2%F7_%B0%AD%C0%FB_%BD%BA%C4%C9%C1%EC.jpg

시즌 메달은 신화 메달이다.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콜라보 시즌으로, 마법과 고교의 열등생 콜라보 대체 시즌이다.만세! 유저들은 대체 콜라보를 할 줄 알았지만 설마 일본 라노벨과의 콜라보를 진행할줄은 몰랐다는 평.

시원찮은 제독과 신화형 티케, 신화형 뮤즈는 마법과형 카라틴과 이계형 시바 타츠야, 이계형 이치죠 마사키를 대체하는 강적. 티케와 뮤즈는 테일즈 시리즈 대체 강적등의 사례로 봤을때 훗날 SP퀘스트로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

3.18 9월 하반기 (9월 상반기(연장) & 시종형 & 추석형 & (추석형, 만월의) 브리샤)

%B0%AD%C0%FB_%BD%BA%C4%C9%C1%EC.jpg

시즌 메달은 한가위 메달이다.

추석을 맞이해서 나오는 오리지날 시즌이다. 파르살리아는?!!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콜라보도 계속 유지 중이며 사람들의 예상처럼 추석기간에만 나오는 이벤트 시즌이 아닌 정규 시즌이 되었다. 그런데 전 시즌까지 연장을 하게 되면서[13] 시간표가 꽤 더러워(...)졌다.[14]

평소에도 점검 하루 전에나 올라왔던 공지가 이번 시즌에는 아예 점검 중에 올라온다... 일해라 액토즈

전반적으로 평이 최악인 시즌. 시즌 갱신을 위해 8시간 점검을 했음에도, 버그 수준이 상상을 초월한다.[15] 이에 대한 청원이 게속 올라왔음에도, 추석 연휴가 끝나고 수정하는 늦은 뒤처리에, 그 수정사항 또한 극히 일부분이라 여전히 버그가 그대로이며, 중간에 복각된 첨침형 가챠는 데이터가 그대로 이어져 이미 돌린 유저들은 초차회 할인이 되지 않는 어이없는 버그가 발생했다. 또한, 한국형 자체 시즌 특유의 낮은 드랍률은 한몫. 거기다 저번 시즌(+복각 강적)까지 추가로 연장하게 되면서, 시즌이 진행될 수록 지루함을 느끼는 유저들까지 속출했다.

3.19 10월 상반기 (화연형 2차 & 제 9차 요정(복각) & 파르살리아 & 키마이라(2차 복각) & 암백형 카나리아)

%EA%B0%95%EC%A0%81_%EC%8A%A4%EC%BC%80%EC%A5%B4.jpg

시즌 메달은 미쿠 V4 메달이다.

미쿠 콜라보 +파르살리아 시즌이다.

그런데 유키미쿠가 아니라 미쿠 V4 콜라보 시즌이다.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콜라보도 그렇고 액토즈가 자체 콜라보에 맛을 들인 듯 하다.[16]

문제는 이번 시즌에도 버그가 넘쳐난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20 10월 하반기 (10월 상반기(연장) & 제 12차 요정 & 역행형(복각) & 1등급 세인트 드래곤 (익종) & 강습형 윈드키메라 & 장미형 용병 아서 & 성전형 용병 아서)

%EA%B0%95%EC%A0%81_%EC%8A%A4%EC%BC%80%EC%A5%B4.jpg
...막장 시간표 시즌 3...[17]

시즌 메달은 미쿠 V4 메달(연장), 축구 메달이다.

지난달에 이어 미쿠V4 콜라보가 연장되었는데... 상반기 시즌도 연장되었다. 여러가지로 최악의 시즌이라 불린 9월 하반기가 연상되는 시즌이다... (콜라보, 시즌 연장, 수많은 버그...)

V4미쿠가 서포터, 아서 체인지로 나왔으며 기교 아서도 아서 체인지로 나오게 되었다.

부호가 드로우 하는 기계인 시즌이기도 하다(...) [18]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21 11월 상반기 (2차 신화형 & 오이페 & (무사)쿠 훌린 (2차 복각))

시즌 메달은 오이페 메달이다.

미쿠 콜라보도 끝나고, 새 시스템인 스테이지 퀘스트로 시작하는 시즌이다.

스테이지 퀘스트에 대한 설명도 같이 서술해놓았다.

공통적인 의견은 '일괴처럼 제압포인트 설정해놓으면 크리스마스의 기적(...)을 다시 보게 될지도 모른다...'였다. [20]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1. 3턴킬 기준으로는 3/4확률로 전원이 생존할 수 있다.
  2. 신춘형 오이페, 캐럴 등
  3. 블랙 치아리이터의 팔레트스왑 버전. 훗날 블루 치아리이터라는 이름으로 복각된다.
  4. 9월 23일에서 10월 9일까지 등장.
  5. 일부 대미지 너프 + 봉인이 확률적으로 들어감.
  6. 과거 등작 강적들이 다수 등장했으나 전부 리바이벌이란 이름을 달았으며 공격력이나 패턴 등도 수정된 것이 있어서 복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7. 카라틴은 오히려 공격력이 약해서져 훌륭한 메달 공급원이 되었다
  8. 6월 하반기에 강적이 무려 4그룹이 출연하면서 옛말이 되었다
  9. 가련형 석탈해가 나오는 시간 대중 한 번이 18시~19시가 되면서 게릴라 강적이 안 나오는 시간은 오전 2~8시 밖에 없게 되었다. 괴창이 되라는건가...
  10. 다른거는 평범하지만 미친듯한 공격횟수 + 랜덤 공격이 아서 한 명 눕기 딱 좋다
  11. 가희형 춘향 (도전급)이 출연하는 시간 중 새벽 2시가 있다!!
  12. 아장형 렘(디버프 무효)을 시작으로 가희형 춘향 도전급 (탐레인이 필수), 루후나(전공기 준필수), 염하형 티아, 멸염형 토르(극마방 필요), 시시마이(드로우 -2, 디버프 무효)까지... 부호 다 죽는다 이놈들아!!!
  13. 그거도 시즌 종료까지 연장한다!
  14. 제일 더러웠던(...) 시간표는 6월 하반기인데 강적군이 4개, 3D 강적이 5종이었다. 한 타임에 강적이 8종이나 등장할 정도였으니...
  15. 대표적인 버그로, 해당 시즌의 한국형 괴리진화 카드인 지원형 키안티와 제2형 블레어놀을 괴리진화 시, 별의 표시가 유료표시가 아닌, 드랍으로 취급되어 중복구제의 재료가 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이 버그는 추석연휴 내내 수정되지 않다가 10일이 지나서야 겨우 수정되었다. 그 외에도 자잘한 오타와 발적화 등 잔버그가 매우 많다.
  16. 미쿠 V4 발매가 8월 31일이어서 이번에는 V4 콜라보를 하고 유키미쿠는 겨울에 진행한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17. 시즌 1은 4월 하반기, 시즌 2는 6월 하반기. 한국형 강적인 성전형 용병아서는 빠져있다. 그래봤자 시간표가 막장인건 변하지 않지만...
  18. 세인트 드래곤 (익종), 성전형 용병 아서가 각각 드로우 -2, -1을 들고 나온다.
  19. 스테이지 퀘스트로 인해 상시/게릴라 구분이 없어졌다
  20. 해당 상황을 잘 모르는 아서들을 위해 설명하면 원래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1천만개를 모아야했으나 첫 날 2만개밖에 모이지 않아 결국 최종조건을 150만개로 대폭하향했다.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조건 도달에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