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1 개요

연습할 땐 모르고 있다가 실전에서야 갑툭튀해서 아스트랄함을 안겨주는 것

(사람이나 그 신체 조직이) 수축되거나 흥분 되었을 때의 상태를 의미한다.

심리적으로 평온하지 못하고 정신이 바짝 조여지는 상태나 이로 인해 몸의 근육 등이 경직되고 수축되는 상태를 둘 다 표현하는 단어이다.

축 늘어져 있다가 갑작스런 위험에 당하지 않게 해주는 역할도 하지만 과할 경우 정신과 몸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양날의 검. 과한 긴장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도 많고 이 때문에 항상 '긴장을 푸는 법'에 대한 떡밥은 끊이지 않고 있다.

긴장을 풀기 위해서 우황청심환이나 기타 다른 약을 먹기도 한다.
다만 체육관련이나 보컬 및 악기 연주관련 등 실기시험을 치르는 사람들은 이 방법을 피하는 것이 좋다. 약을 복용한 후 긴장이 완화되어 수면증상이 나와 집중력을 흐트러뜨릴 수도 있고, 아무리 워밍업을 해도 원래 상태만큼 근육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실기시험에서 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도핑 테스트 같은걸 할시 약물로 걸려 불이익을 얻을수 있다.

2 긴장의 증상

긴장은 우리 몸의 교감 신경계가 반응하여 생긴다. 기본적으로 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 두뇌회전이 느려진다.
  • 판단력이 떨어진다.
  • 심장이 평소보다 더 두근거린다.
  • 숨이 거칠어진다.
  • 다리에 힘이 풀린다.
  • 몸이 떨리고 목소리가 굳는다.
  • 추위를 느낀다.
  • 침이 마른다.
  • 가슴이 답답하다.
  • 구역질이 난다.
  • 소변이 자주 마렵다.
  • 아랫배에 가스가 차거나 아프다.
  • 사람에 따라선 똥이 마렵다.
  • 하품을 한다. 긴장이 풀려 졸음 오는 것 같지만 그것보단 산소가 부족해져서 하품이 나온다.
  • 식은땀이 난다.
  • 사람에 따라, 짜증난다
  • 열이나고 오한이 느껴진다

등등이다. 더 자세한 것은 추가바람.

3 긴장을 하는 이유

긴장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우리가 공포를 느꼈을 때 (흔히 발이 안떨어진다고들 한다.)가 있다.

4 긴장을 하게 되는 상황

등이 있다.

5 여담

일본에선 이걸 이용해서 면접과 같이 개그 소재로 쓰는 경우가 있다. # 후방주의
  1. 특히 사람들이 매우 많을 때. 누구든 조용한 데에서 강요 받으면서 노래를 부를 때 한번쯤은 느껴봤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