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는 동음이의어·다의어/ㄷ 항목입니다.
1 검
중국의 전국시대에 월나라의 명인 구야자가 월왕 윤상의 명에 따라 만든 명검 중 하나로 희광에게 전해진 세 자루 중 하나.
1.1 창작물에서
열국지에서는 담로(湛盧) 혹은 잠로(潛盧)라고도 불리며, 잠잠하고 검푸른 빛을 띄고 있다고 해서 희광이 붙인 이름이라 한다.
희광이 오나라의 왕이 된 이후 초나라와 싸울 시기에 계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물에 젖은 채로 초소왕의 침실에서 발견되었다. 마침 검상을 잘 본다는 풍호자라는 사람이 초나라의 수도에 나타나자 초소왕은 이 검을 보였는데, 그 세 자루 중에 어장은 전제가 사용해서 효력을 잃었기 때문에 담로는 어장보다 낫다고 한다.
풍호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검을 빼어들면 검신(劍神)의 도움을 받아 어떤 강적도 물리칠 수 있다. 왕이 아니고서는 소유할 수도 없으며, 만일 그 왕이 도의에 어긋난 일을 저지르면 스스로 주인을 떠나 도의가 있는 왕에게로 간다고 한다.
풍호자의 말은 담로가 오왕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강을 건너 초왕에게 와서 초왕을 진정한 왕으로 인정했다는 소리이며, 이 사실을 듣고 기뻐한 초소왕은 항상 차고 다니면서 이 사실을 백성들에게도 알렸다. 오나라는 초나라에 담로를 보내는 이 계략으로 초왕을 오만하게 만드는 것에 성공해 전략상의 우위를 얻을 수 있었다.
1.2 관련 문서
2 직책
대한민국의 삼국시대, 백제의 지방행정구역. 원래 백제어 '다라','드르'의 음차(音借)로서 '성(城)'을 의미한다.
중국의 군현과 같은 기능을 가진 지방지배조직으로서, 왕족 출신의 자제종족이 중심이 된 지방관이 파견되었다. ≪양서 梁書≫ 백제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22개의 담로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담로는 지방지배의 거점으로서의 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 것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통치영역을 의미하는 말로 생각할 수 있다.
(출처 : 한국 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