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캔이글

철권의 테크닉. 더킹 캔슬 이글크로우의 줄임말이다.
스티브 입문자의 벽이다. 스티브를 키워보려다 포기한 사람 대다수의 원인.
기원초, 도젯처럼 있으면 좋은 부가적인 기술이 아니라 국콤에 들어가는 필수 테크닉이라는 게 문제다.

덕캔이글 자체는 쉽다. 6k로 더킹 중에 1로 보냈다가 중립을 잡고 lprp를 누르면 나간다. 참 쉽죠?
하지만 문제는 국콤중에 입력하는게 많이 어렵다는 것이다. 스티브 국콤 루트가 띄우기 - 왼페레~플리커(3lp rp~lp4) - 플잽(lp) -[1] 덕인~플리커(6rplp4) - 덕캔이글(6k 1n 기상lprp) - (B) - 소닉팡(3ap) 인데 레버도 많이 움직이고 이래저래 입문자나 손이 안되는 사람에겐 힘들다.

기술이 잘 안나간다면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 덕인 다음에 더킹이 안나간다 : 덕인 다음에 플리커 자세를 잡지 않아서이다. 덕인 중에 레버를 4로 고정하고 있다가 기술이 끝날 타이밍에 적절하게 더킹을 입력하면 된다.

2. 더킹중 이글크로우가 안나가고 가젤펀치가 나간다 : 더킹 캔슬(레버 1)이 제대로 입력되지 않아서이다. 대각선입력이 제대로 안된 경우인데 1을 입력하는 동안 1이 인식되도록 순간적으로 비비자. 아니면 킹오파 기술 쓰듯이 더킹후 63214를 빠르게 입력후 lprp를 입력해도 나간다. 이렇게 하다가 감을 잡은다음에 정식 커맨드로 바꿔도 된다.

3. 더킹중 앉아 왼잽이 나간다 : 더킹캔슬 후 레버 중립을 잡지 않아서이다. 이글크로우는 기상기이므로 레버를 자유롭게 둬야한다. 레버로 1을 입력하고 살짝 기다렸다가 lprp를 입력하면 된다. 물론 너무 느긋하게 기다리면 이글크로우로 공중을 휘젓는 스티브를 볼수 있다.

덕캔이글이 너무 어려운데 스티브는 하고 싶어요! 라는 사람이 있다면 철권 57을 하면 된다 사실 다른 콤보가 있긴 하다. 왼페레 다음에 바로 드라고닉(66rp)로 바운드 후 덕인~플리커(6rplp4) - 플잽(lp) - 퀵턴중단(akrp)을 쓰면 된다. 야 신난다! [2]
  1. 여기서 플리커~플잽은 생략해도 된다. 다만 뒤의 덕인 이후 플리커 자세를 취해주지 않으면 안 된다.
  2. 물론 데미지는 덕캔이글 콤보보다 못하지만 그래도 5차이밖에 안 난다. 그래도 덕캔이글은 필수스킬이나 다름없는 테크닉이기 때문에 익혀두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