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포르메

déformer

1 개요

미술, 특히 주로 회화미술에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일부 변형, 축소, 왜곡을 가해서 표현하는 기법. 데포르마시옹(déformation)이라고도 불린다.[1]

2 역사

회화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눈을 거쳐서 들어온 사물을 인간의 사유와 행동을 통해 캔버스의 옮겨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주관을 배제한다고 하더라도 만들어진 작품에는 작가의 왜곡이 조금이나마 섞일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예로 고대 그리스의 인체 조각상에는 조금이라도 더 이상적인 모양으로 표현하기 위해 왜곡이 들어갔고, 르네상스기의 미술들에는 대상을 조금이라도 더 아름답게, 웅장하게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들어갔으며, 심지어는 회화는 아니지만 약 기원전 2만 5천년경에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는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상을 봐도 당대 미의 기준(이라고 추정되는 모양)을 따라 젖가슴, 허리, 엉덩이 등이 매우 과장되게 표현돼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왜곡을 작가가 고의적으로 사용하려는 시도도 나타났는데, 주로 폴 세잔 전후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존의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모방하려는 시각에서 벗어나, 때로는 부자연스럽고 기괴할 정도로 대상을 과감하게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조형적 시도를 모의했다. 표현주의야수파 화가들이 이러한 방법론을 많이 받아들여 의식적으로 많이 사용했고, 후대 미술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 기법이다.

3 현대의 데포르메

현대[2]에서는 미술사나 순수 미술 쪽의 얘기가 아닌 이상, 데포르메는 주로 상업예술 전반에서 표현하려는 대상을 어떻게 간략화시켜서 표현하느냐에 대한 방법론의 총칭으로 통한다. 더 쉽게 말하면, 캐릭터를 얼마나 캐릭터스럽게 표현할지에 대한 고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데포르메를 어떻게 적용하느냐는 전적으로 작가 개인 취향이나 성향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이러한 데포르메를 어떻게, 얼마나 차용하느냐에 따라 그림체의 차이를 좌지우지한다. 최소한의 데포르메만 유지하면서 극사실주의에 가까운 화풍을 보이는 작가도 있는 반면, 말 그대로 점 두개에 선 하나 그어놓고 눈 두개랑 입이니까 얼굴이라고 우기는 수준까지 정말 다양하다. 치비와 같은 경우도 데포르메가 극단적으로 적용된 예 중 하나.

4 관련 항목

  1. 데포르마시옹은 데포르메의 명사형일 뿐이라 의미상으로는 완전히 동일하지만, 둘을 미묘하게 구분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주로 미술사적인 얘기를 할 때 데포르마시옹이라는 용어를 쓰고, 현대 상업미술 쪽 얘기를 할 때 데포르메라는 용어를 쓰는 편이다.
  2. 미술사적으로 말하면 동시대(Contemporary)라고 하는 게 좀 더 정확하지만, 여기서는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현대라고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