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사실주의

서양 미술사의 시대, 사조
고대 미술
(5세기 이전)
선사 미술메소포타미아 미술이집트 미술
그리스 고졸기 미술그리스 고전기 미술헬레니즘 미술로마 미술
중세 미술
(5세기~16세기)
비잔틴 미술로마네스크고딕
르네상스매너리즘바로크로코코
근대 미술
(17세기~19세기)
신고전주의낭만주의아카데미즘
모더니즘리얼리즘인상주의후기인상주의
라파엘 전파미술공예운동아르누보상징주의
현대 미술
(1880~1970)
분리파표현주의다리파청기사파데 스틸바우하우스
추상회화야수파입체주의미래주의다다이즘초현실주의
기하학적 추상러시아 아방가르드구축주의절대주의생산주의
나치 시대의 예술사회주의 리얼리즘
추상표현주의미니멀리즘
팝 아트옵아트키네틱 아트해프닝
서정적 추상엥포르멜아르테 포베라상황주의
동시대 미술
(197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행위예술대지예술개념미술설치예술
제도비평페미니즘 미술소수자 미술탈식민주의 미술신표현주의
전유미술극사실주의
키네틱 아트플럭서스비디오 아트사운드 아트미디어 아트

극사실주의 極寫實主義
Hyperrealism, Super Realism

xbernardi11.jpg
article-2539172-1AA7102E00000578-51_964x789.jpg
극 사실주의작가 로베르토 베르나디(Roberto Bernardi) 의 작품
캔버스에 유화.

사진을 어렵게 찍는 방법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새로운 미술경향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 완벽하게 그려내는 기법. 포토리얼리즘(Photorealism)[1]장 보드리야르의 철학[2]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술 경향이다. 사진 이나 실물처럼 극사실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식을 취한다. 확대하면 흐려지거나 깨지는 사진보다 사실적인 화풍을 추구할 때도 있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시간과 실력을 요구한다.

작가마다 사용하는 재료가 다르며 실물, 상상, 생각으로 그리기도 하지만 대개 사진을 레퍼런스 삼아 그린다. 그도 그럴 것이, 조금이라도 움직이거나 빛의 방향이 달라지거나 한다면 그리기 어려워지기 때문.만약 그 상태로 그렸다면 완성작품은 극사실주의가 아닌 창작물로 보이는 효과를 가진다

유투브SNS에서 "정말 진짜같이 그리는 그림"등의 제목으로 떠다니곤 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극사실주의와 사진은 '사실적인' 그림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긴 하지만 결국 그 사실감이란 것은 작가의 주관이 들어간 것. 물체를 있는 그대로 찍는다는 사진 역시, 실제로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서 조명과 셔터 타이밍 만으로도 수없이 다른 결과와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사실적이라는 그림 역시 '사실성'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주관이 들어간다. 실제로 우리가 보는 사물은 극사실주의 그림처럼 화려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유념하자.뽀샵을 생각하면 된다

일부 평론가들은 극사실주의가 철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을 펼치는 사람들은 장 보드리야르가 이야기한 시뮬라시옹을 끌어들여, 가상인 그림이 현실보다 더 현실같고 매력적인 현대 사회의 세태를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역설적인 상황을 만들어 관객이 이런 현대시대의 상황이 아이러니함을 느끼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베껴 그리기'보다 나은 것이 무엇인가 하는 비판도 존재한다. 사실 극사실주의라는 것 자체가 사진이 등장한 20세기의 미술계의 경향(모더니즘)에 정면으로 대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향은 현대에 와서 더 강해지기 시작했는데,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극사실화를 더 호의적으로 보는 일반인의 시야와 달리 실제 미술계에선 회의적 시선이 많다. 일단 당연한 얘기지만 사진을 찍는게 극사실 그림을 그리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간편하다. 굳이 사실적인 것을 보여주려고 일일히 붓질하며 그리는건 자동차와 경주 대결하는 것만큼이나 미련한 짓일 뿐이다. 일부 사람들은 이를 예술가의 공력(또는 노력, 예술혼)이 들어갔다느니 하는 말로 옹호하지만, 솔직히 그냥 눈으로 보기에는 사진이나 극사실주의나 거기서 거기다. 일반인들도 처음 볼 때는 '대단하다'라고 평가하지만 여러 번 보다보면 '차라리 사진을 찍지'하는 평을 하게 된다.

게다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극사실화에는 작가의 개성이 들어가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분명하다. 현대 미술의 패러다임은 어디까지나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에 있다. 이미 남들이 했던 것을 따라하는 것은 경제적인 이득을 추구하는 상업예술의 영역에 있는 것이다.[3] 새로운 것을 추구하지 않는 예술가는 곤경에 빠지게 될 수밖에 없다. 표절 문제는 오늘날 예술계에서 매우 심각하게 거론되는 문제기 때문. 저런 극사실주의 작품도 원 사진 저작권의 문제나, 다른 작품과의 분위기의 유사성 문제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사진을 보고 그리거나, 실제 사물과 사람을 보며 그리기 때문에 판타지나 이 세상에 없는 물건을 '사실주의'가 아닌 '극사실주의'로 그려낼 수 없다. 허구, 상상의 표현은 '사실주의'까지가 한계다.

하지만 위에 서술된 현대미술의 메이저한 사조에 대한 반발의 발로라는 해석도 있다.

한국에 극사실주의 화가로는 김성모가 있다 카더라 #

극사실주의 데드풀
  1. 사진의 영향을 받은 미술 경향이다.
  2. 보드리야르의 철학은 현대사회에서 파생실재(hyperréel)가 실재(réel)를 압도하는 현상, 쉽게 말해서 가짜가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받아들여지고, 이에 더하여 가짜가 진짜를 대체하는 현상을 탐구한다. 여기서 가짜를 보드리야르는 (제3열의) 시뮬라크르(simulacre)라고 하였고, 이것의 동사적 형태를 시뮬라시옹(simulation)이라고 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보드리야르 항목을 참조.
  3. 하지만 현실은 미술계도 이미 상업화한 지 오래지만. 오늘날 순수미술계는 새로움을 찾는 것이 아니라 허접한 작가의 작품을 새롭다고 꾸며낸다. 실제로 광고기업 출신 홍보전문가가 작가의 작품성을 만들어내고 띄우는 일은 이미 예전부터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