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導哉日記. 조선시대의 선비 이준(李濬, 1686~1740)이 숙종~영조 대에 자신의 일상 생활을 기록으로 남긴 생활일기. 상당수가 멸실되고 현재는 숙종 43년인 1717년부터 영조 7년인 1731년까지 약 14년간의 일기만이 남아 있다.
2 내용
전라도 함평 출신의 선비인 이준은 살아생전 매일의 일상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현재는 많이 훼손된 상태로써 남아있는 부분은 1717년 11월 27일부터 1731년 2월 16일까지 약 14년 분량 뿐이다.
책은 앞부분이 크게 훼손되어 날아간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첫 부분인 1717년보다 훨씬 이전부터 일기를 쓰기 시작했음이 확실하고, 일기의 마지막 부분인 1731년 2월 16일 이후에도 모월 18일의 일기와 5월 15~16일의 일기가 파편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후에도 한동안 일기를 썼음이 확실시되고 있으나 소실된 상태라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다.
이준은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향촌 사회에서 초야 생활을 한 인물로, 도재일기는 향촌 재지 사족의 일상 생활이 어떠했으며 무엇을 생각하고 살았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3 일기에 남겨진 생애
현재 남아있는 일기를 통해 이준의 본관은 함평이고 숙종 12년에 태어나 영조 16년 사망할 때까지 함평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남아있는 일기 최초 분량인 1717년에 황감시에 응시한 것을 시작으로 1730년까지 13년간 계속 과거에 응시하고 낙방하는 생활을 반복했음을 알 수 있다.
- 숙종43년(1717) : 12월 1일에 서울에서 응시 = 불합격
- 숙종45년(1719) : 4월 9~10일에 흥덕에서 응시 = 불합격
- 경종2년(1722) : 6월 15일에 응시 = 합격
- 경종2년(1722) : 7월 28~30일에 순창에서 복시 = 불합격
- 경종3년(1723) : 8월 19~21일에 장성에서 응시 = 불합격
- 경종3년(1723) : 9월 6일에 금산에서 응시 = 형의 사망으로 취소
- 영조1년(1725) : 8월 13일에 고창에서 응시 = 불합격
- 영조2년(1726) : 8월 초에 화순과 고산에서 응시 = 병으로 응시 취소
- 영조2년(1726) : 8월 28~30일과 9월 2일에 해남에서 응시 = 늦게 도착해 초장 응시 불가, 중장에 응시, 종장에는 눈병으로 응시 불가
- 영조4년(1728) : 2월 10일에 홍성에서 응시 = 초장은 응시하였으나 종장은 집안일로 인해 응시 불가
- 영조5년(1729) : 8월 11~13일에 서울에서 응시
- 영조5년(1729) : 8월 27~29일과 9월 2일에 서울 예조에 東科
- 영조5년(1729) : 9월 22일, 10월 13일, 10월 14~15일, 10월 17일 = 총 11차에 걸쳐 시행된 통독 강제 시험을 거쳐 합격 중 가장 낮은 석차인 삼하(三下)를 얻었고 최종적으로 17일에 차상(次上)을 얻어 불합격
- 영조6년(1730) : 5월 5일에 응시 = 불합격
일기 마지막 부분 이후에도 끝까지 벼슬에는 오르지 못하고 일생을 마쳤다.
일기에는 과거에 떨어진 후 자신의 무능함을 한탄하거나 자신과 비슷한 실력의 사람들이 모두 합격했음을 언급하며 말을 할 수 없을 정도의 분노를 토로하기도 한다.
흉년이 들었을 때는 1년을 버티지 못하고 관에서 주는 구휼미를 받아 겨우 생활하기도 하는데, 영조 2년 2월 16일의 일기에 의하면 나라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쌀을 무상으로 나눠주기로 하여 함평읍에서도 장성에서 일대의 백성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었는데 이에 이준도 소노(小奴)에게 조를 받아오게 했으나 도망가고 돌아오지 않아 절망에 빠졌다. 결국 4월 20일에 옥과에서 쌀을 받아와 겨우 해갈하였고 4월 29일에는 보리를 벤 후 가속들에게 드디어 죽음을 면하겠다고 말하며 웃고 말았다.
계속된 낙방으로 집안의 가세와 분위기가 좋지 않았는지 경종1년 2월 12일에는 계집종들이 모두 도망갔는데, 이후 다른 종들은 모두 다시 돌아왔으나 막비만은 돌아오지 않아 분하게 여겼다. 이후 형편이 궁하여 이필무란 사람에게 노비들을 매매했으나 역시 그 소식을 듣고 계집종들이 모두 도망쳐 이를 잡아 형장을 가했다. 경종3년 2월 5일에는 도망친 노비 돌선을 관에서 추쇄해 왔으나 추노해 잡아온 노비에 대한 처우 조차 어려워 부근의 양반인 고한익, 오덕해에게 매매하려 했고, 숙종45년에는 솔거노비였던 운비라는 종이 도망쳐 훗날 엄길촌이란 곳에서 운비를 잡았으나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고 애처로워져 그냥 돌아섰다. 자신 또한 훗날엔 이를 자조적으로 받아들였는지 시험을 보러 진주를 지나던 중 지리산을 보고 데리고 가던 노비에게 "네가 이 길을 잘 알면 훗날 도망갈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말하기도 했다.
도망가지 않은 노비들도 이준을 대놓고 가볍게 보곤 하였는데 경종3년 정월 30일에는 자신의 노비인 철노의 집에 방문하였으나 대놓고 출타했다고 말하며 나와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당시 향촌 사회 양반의 권위가 크게 하락되었고 특히 시험에 계속 낙방하는 선비에 대한 푸대접을 볼 수 있다.
가난하여 영조1년 5월 5일 단양절, 영조1년 11월 18일의 참례전, 영조2년 2월 29일의 장모의 염습 등 선비로서 반드시 행해야하는 제사와 상례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울부짖기도 한다.
그 외에도 없는 살림에 문중 땅과 관련된 송사까지 당하여 이에 시달리기도 하고, 이러한 삶의 고통으로 인해 초연한 승려들의 생활을 부러워하고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불교 교리에 깊이 빠지기도 한다. 특히 전염병이 돌아 어머니의 생사가 오락가락하게 되자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스님들에게 찾아가 종교적 행위를 하기도 하고 신의 도움을 빌기 위해 목욕재개하고 산밑의 소에서 음식을 차려놓고 무속 신앙 행위도 한다.
4 기타
현재 도재일기와 청대일기(淸臺日記) 등의 여러 일기류 서적들은 조선시대 당시 벼슬에 오르지 못했던 선비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참고 사료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이준의 도재일기 외에도 이준의 재종손인 계일헌(戒逸軒) 이명룡(李命龍)이 계일헌일기를 저술했으며, 이 두 일기의 원문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료총서 제42집으로 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