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발당성

태껸의 차기 기술 중 하나. 딴죽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두발당상, 두발낭성 등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표준어는 두발당성이다.[1]

1 설명

두발당성은 흔히 태권도에서 말하는 이단차기를 의미한다. 즉 한 발을 찰 것처럼 주었다가 반대발로 날래게 상대를 차는 기술이다. 이 두발당성은 솟구쳐 차는 기술의 극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보기에는 그냥저냥 쉬워보이지만 실제로 상대에게 먹히게 하기에는 여러모로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이다.

발길질의 기술은 손기술보다 파괴력은 좋으나 느리기 때문에[2] 여러모로 전략이 필요한 기술이다. 상대의 사각에서 찬다든지 차는 순간 골반을 뒤틀어버린다든지 하는 방식들이 주를 이루는데 이것의 최종판이 바로 속임발이며 결국 발길질이 가다가다 마지막에 가면 이 두발당성이 된다.

두발당성의 기술이 어렵다는 것은 일단 속임수로 주는 발이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정말 저 발길질이 나를 맞추겠구나 하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너무 빠르면 두발당성을 쓸 것도 없고 그렇다고 너무 느리면 속이 훤히 보이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당한 전략적 전술이 선행되어야 하며 두발당성도 이단 앞차기식이냐 옆차기 식이냐 아니면 태껸의 곁차기식이냐 들어찧기 식이냐로 확 갈려버리기에 내가 기본 발길질이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난감한 기술이 아닐 수 없다.

태권도의 나래차기도 두발당성의 일종인데 스포츠화된 기술 말고 유럽에서 신극진회의 시합에서는 중단 돌려차기 이후 바로 솟구치며 반대발 상단 돌려차기라는 바리에이션의 두발당성으로 한판승을 거두는 모습도 보인다.

여러모로 비각술이라는 태껸의 명칭과 잘 어울리는 기술인데 송덕기 옹도 이 두발당성을 잘 썼으며 젊은 시절에는 황학정의 풍경도 두발당성으로 차버릴 정도로 몸이 날랬다고 한다. 박철희 사범도 이북은 박치기, 이남은 두발당성 이라고 표현하며 아이들도 고드름을 두발당성으로 맞추며 놀았다는 증언을 하는 것으로 볼 때 확실히 한국 민족이 발길질로 무언가를 잘 하는 것은 오랜 세월 내려온 전통에 가까워 보인다.

2 가라데와 두발당성

택견이나 태권도를 다루는 매체 등을 보면 흔히들 가라데에서는 보이지 않는 기술이라고 이야기하지만,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나하테의 계보를 있는 고주류 가라테의 최고급 카타인 슈파린페[3]에 이단 앞차기 동작이 엄연히 있기 때문. 슈리테와 토마리테를 있는 쇼토칸의 쿠샨쿠(칸쿠) 카타에도 이단앞차기가 있다. 카타 시작하고 5~6번째 동작 쯤에 나온다. 정도관에 전해진 쿠샨쿠에서는 아예 뛰어 뒤차기로 응용할수 있는 자세까지 나온다. 애초에 가라테의 원류가 된 백학권에 이단앞차기가 버젓이 존재한다. 단지 이단앞차기 그 자체를 두발당성이라고 할 수 있느냐가 문제지만.
극진공수도카타에는 가류(臥龍)라는 형에 나오는데 이 가류는 최영의 총재가 직접 만든 카타로 이단 앞차기, 즉 두발당성이 들어가 있어서 한민족 빌길질 유전자설 같은 이야기도 나오곤 한다.[4][5] 어쩌면 가라데에 이단앞차기가 존재는 했지만, 태권도의 이단앞차기 비중에 비해 전체적으로 마이너한 기술이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래서 유파의 최고급 카타[6]와 대표 카타[7]에 들어있나 보다, 정말정말 마이너하니까.판단은 알아서 하자.

애초에 특정 기술을 어디에는 존재한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우열을 가리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주장이기도 하고. 태권도가 가라데에서 많은 부분을 따왔고, 현대에 들어 가라데가 태권도의 발차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기술을 만드는 것처럼 무술은 돌고 도는 것이다.

3 관련 항목

  1. 두발당사니 라는 말도 표준어이다.
  2. 어디까지나 손기술에 비해서일 뿐이다. 잘 차는 사람의 발길질은 상상을 초월한다.
  3. 일백령팔수
  4. 유튜브 영상 16초경
  5. 가라데의 전법이야 사실 중국권법처럼 발은 지면에 붙이고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손기술과 몸기술의 공방이 오가는 것이니 중심이 뜨는 두발당성이 있기 어렵다.
  6. 슈파린페
  7. 쿠샨쿠, 칸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