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껸의 차기 기술 중 하나. 딴죽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두발당상, 두발낭성 등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표준어는 두발당성이다.[1]
1 설명
두발당성은 흔히 태권도에서 말하는 이단차기를 의미한다. 즉 한 발을 찰 것처럼 주었다가 반대발로 날래게 상대를 차는 기술이다. 이 두발당성은 솟구쳐 차는 기술의 극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보기에는 그냥저냥 쉬워보이지만 실제로 상대에게 먹히게 하기에는 여러모로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이다.
발길질의 기술은 손기술보다 파괴력은 좋으나 느리기 때문에[2] 여러모로 전략이 필요한 기술이다. 상대의 사각에서 찬다든지 차는 순간 골반을 뒤틀어버린다든지 하는 방식들이 주를 이루는데 이것의 최종판이 바로 속임발이며 결국 발길질이 가다가다 마지막에 가면 이 두발당성이 된다.
두발당성의 기술이 어렵다는 것은 일단 속임수로 주는 발이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정말 저 발길질이 나를 맞추겠구나 하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너무 빠르면 두발당성을 쓸 것도 없고 그렇다고 너무 느리면 속이 훤히 보이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당한 전략적 전술이 선행되어야 하며 두발당성도 이단 앞차기식이냐 옆차기 식이냐 아니면 태껸의 곁차기식이냐 들어찧기 식이냐로 확 갈려버리기에 내가 기본 발길질이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난감한 기술이 아닐 수 없다.
태권도의 나래차기도 두발당성의 일종인데 스포츠화된 기술 말고 유럽에서 신극진회의 시합에서는 중단 돌려차기 이후 바로 솟구치며 반대발 상단 돌려차기라는 바리에이션의 두발당성으로 한판승을 거두는 모습도 보인다.
여러모로 비각술이라는 태껸의 명칭과 잘 어울리는 기술인데 송덕기 옹도 이 두발당성을 잘 썼으며 젊은 시절에는 황학정의 풍경도 두발당성으로 차버릴 정도로 몸이 날랬다고 한다. 박철희 사범도 이북은 박치기, 이남은 두발당성 이라고 표현하며 아이들도 고드름을 두발당성으로 맞추며 놀았다는 증언을 하는 것으로 볼 때 확실히 한국 민족이 발길질로 무언가를 잘 하는 것은 오랜 세월 내려온 전통에 가까워 보인다.
2 가라데와 두발당성
택견이나 태권도를 다루는 매체 등을 보면 흔히들 가라데에서는 보이지 않는 기술이라고 이야기하지만,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나하테의 계보를 있는 고주류 가라테의 최고급 카타인 슈파린페[3]에 이단 앞차기 동작이 엄연히 있기 때문. 슈리테와 토마리테를 있는 쇼토칸의 쿠샨쿠(칸쿠) 카타에도 이단앞차기가 있다. 카타 시작하고 5~6번째 동작 쯤에 나온다. 정도관에 전해진 쿠샨쿠에서는 아예 뛰어 뒤차기로 응용할수 있는 자세까지 나온다. 애초에 가라테의 원류가 된 백학권에 이단앞차기가 버젓이 존재한다. 단지 이단앞차기 그 자체를 두발당성이라고 할 수 있느냐가 문제지만.
극진공수도의 카타에는 가류(臥龍)라는 형에 나오는데 이 가류는 최영의 총재가 직접 만든 카타로 이단 앞차기, 즉 두발당성이 들어가 있어서 한민족 빌길질 유전자설 같은 이야기도 나오곤 한다.[4][5] 어쩌면 가라데에 이단앞차기가 존재는 했지만, 태권도의 이단앞차기 비중에 비해 전체적으로 마이너한 기술이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래서 유파의 최고급 카타[6]와 대표 카타[7]에 들어있나 보다, 정말정말 마이너하니까.판단은 알아서 하자.
애초에 특정 기술을 어디에는 존재한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우열을 가리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주장이기도 하고. 태권도가 가라데에서 많은 부분을 따왔고, 현대에 들어 가라데가 태권도의 발차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기술을 만드는 것처럼 무술은 돌고 도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