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덕기

songdukki.gif

표준사진

song2.jpg


현암 송덕기 玄庵 宋德基
1893년 1월 19일 ~ 1987년 7월 22일

1 소개

조선의 마지막 택견꾼. 호는 현암. 1983년에 신한승과 함께 중요무형문화재 76호 택견의 초대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일제가 택견을 금한 뒤로도 꾸준히 택견을 수련해왔던 사람으로. 이 분이 안 계셨다면 우리의 택견은 환상의 무술로 존재할 뻔 했다. 1893년[1] 현재의 서울 사직공원 옆 필운동(경성부 필운정 35번지)에서 국가 관리였던 '송태희(宋泰熙)씨’의 2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문화재관리국의 조사 자료나 기타의 여러 자료에는 7남 7녀 중 막내로 되어 있으나 잘못된 것.

12세 때부터 필운동에 살던 당대의 유명한 택견꾼인 임호(林虎 1882~1952)를 사사(師事)[2]하기 시작해 16세부터는 결련택견 판에 나가 누상동, 애오개 등의 택견꾼들과 겨루었다. 특기는 솟구치는 발길질[3]로, 그래서 인기가 좋았다고 한다.

img01.gif
택견의 계보.

다만 이 계보에 있어서는 논란이 많다.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송덕기와 신한승을 각각 나눠 인간문화재로 임명했는데, 두 사람의 택견 모습이 확연하게 다를 뿐더러 현재 문화재로 남아있는 것은 신한승 선생의 것뿐이라서, 송덕기에게 직접 배운 제자들은 이 계보만 가지고 정경화 씨가 자신만 원류이며 나머지를 사이비라고 몰아붙였던 것에 매우 반발하고 있다.

제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90세 때도 두발당성 정도는 직접 시범 보일 정도이니 뭐 할 말 다 한셈. 덕분에 도기현을 비롯한 젊은 제자들은 택견 연습을 할 때 무한 솟구쳐 차기를 연습할 것을 주문받아서 지옥을 경험했다고(…).

17세에 결혼했고 군에 입대했으며, 여러 가지 새로운 체조나 스포츠를 하기도 했으나 투기로는 가라데, 중국권법, 유도 등을 전혀 하지 않고 오로지 택견만을 계속 했다. 일제가 택견을 금지시킨 것에 대해서 집안이 만류하자 그냥 개인의 기예로만 간직하였지만, 어쨌든 꾸준히 택견을 수련해왔으며, 그 결과는 80넘은 양반이 휙휙 나는 기록된 동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무리 봐도 80세 노인의 몸짓이 아니다.

해방 후 이승만이 관심을 보였기에, 택견 시범을 보이기도 했고 관심을 가진 태권도 등 무술 사범들이 조금씩 배우러 오기도 했는데, 이때 제일 처음 가르침을 받은 사람이 YMCA권법부 출신으로 경무대 무술사범이던 박철희이다. 박철희가 사단법인 택견무도회를 만들려고 했으나 수박도 협회[4]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했고, 이후 김병수, 임창수 등이 배우러 오기도 했으나, 딱히 단체를 이루거나 송덕기가 만족할 만큼 유지하지는 못한 듯하다. 1969년 같은 동네에 살던 고용우라는 청년이 배우기 시작했다고 하고, 70년 중반 들어 충주의 신한승 선생이 배우기 시작했으며, 80년대 초 도기현을 비롯한 대학생들이 배우기 시작해 이로 인해 노년에 또 한 번 왕성한 지도를 하게 된다.

2 택견 책의 촬영에 대해서

송덕기의 택견은 한풀의 창시자 김정윤의 설득에 의해 촬영되어 택견 원전(위대, 아래대편)이라는 책으로 만들어졌다.(네이버 책 링크, 링크2) (출판사 링크)[5] 여기에는 기존 택견에서는 볼 수 없던 벽치기(장타. 손바닥으로 타격)[6], 과시(관절기), 물주(혈자리 누르기)등 택견의 공격적인 기술들도 수록되어서 일부 택견계에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상당수의 택견인들이 이를 가짜라고 매도하며 김정윤이 송덕기에게 돈을 주고 한풀의 기술을 시연하게 했다는 드립까지 나오게 된다. 사실 여기에는 저자가 택견을 다케다류 유술과 연관 지어서 설명한 것이 화근이 된 것으로, 과거 한풀의 다케다류 유술 신라 기원설 주장에 힘을 가하기 위함이고, 실제로 지금까지 많은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송덕기는 택견에 대해 굉장한 자부심을 가졌고, 고작 돈 몇 푼 받고 택견이 아닌 기술을 찍어줄만한 사람이 아니었기에, 진짜가 아닐 가능성은 적다고 한다. 송덕기의 집안 자체도 넉넉하지는 않았더라도, 당시 이미 택견의 예능보유자였고 국가의 지원이 있었기에, 금전적인 문제로 쪼들려 밥을 굶거나 불도 안 들어오는 찬 방에서 자는 상황은 아니었다고 한다. 김정윤이 발간한 택견 원전은 한풀과는 일체 관계가 없으며, 실제로 결련택견협회에서는 이 책에 나온 기술의 많은 부분을 옛법으로서 전수하고 있다.[7]

2.1 의혹

송덕기의 택견에 대한 자부심으로 때문에 즉석에서 기술을 시연했을 가능성도 존재하며, 친아들처럼 지내던 이준서의 부탁으로 '택견에 이런이런 기술이 없나요?' 하는 식으로 어느 정도 자세를 잡아줬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낱기술은 결련택견협회에서 옛법으로 가르치는 것들이 존재하기에 그렇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택견춤 같은 일종의 투로 같은 것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택견인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2.2 이에 대한 택견인들의 자세

결국 한풀 쪽의 이런 주장들에 대한 것은 각자의 판단에 맡기는 수밖에 없을 듯하다. 한풀이 송덕기에 대한, 송덕기가 직접 촬영한 방대한 실질적인 자료들을 가지고 있었고, 또 생각해볼 때 아직 배포하지 않은 사진, 영상 등의 자료들이 많이 있는 것 같으니 이후 한풀의 행적을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다. 일단 송덕기의 사진 한장한장이 아쉬운 시점이기에[8] 그 내용과는 별개로 택견 원전은 수록되어 있는 사진들만으로도 충분히 택견계에서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도기현회장 역시 이 책을 관심 있게 보라고 권한 바 있다. 다만 최근 도기현 회장과 대화해본 결과(2011년) 택견 원전에 대해서 매우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것은 또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

3 여담

song1.jpg
택견의 기예 외에도 활쏘기(국궁)도 할줄알았고 황학정을 이전하는데 가슴을 치며 돌을 나르기도 했다. 황학정에서 꾸준히 활을 쏘았는데 명궁으로 지금도 알려져 있다. 구한말의 전형적인 한량의 모습을 간직한 사람으로, 언제나 여유로웠던 모습이 공통적으로 증언에서 나타나며, 일부 언론매체의 보도와는 달리 본인이 택견꾼이라는 것과 택견에 대한 자부심이 있던 사람이다. 언론매체가 어차피 기자의 수준에서 적당한 각색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게다가 택견에 대한 제대로 된 지식이 없던 시절에는 더 했을 것이며, 그런 대표적인 소리가 택견에는 기술이 적다는 소리다.

역사적으로 큰 족적을 남긴 사람은 아니지만, 일제가 택견을 금하고[9] 다른 택견꾼들이 그들의 기예를 잊었던 것에 비해, 어떻게든 택견을 간직한 것은 어찌 보면 운명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람이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는 태권도가 과거의 택견이라는 거짓말을 그대로 믿고 살았을 수도 있고[10]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게 되었을 것이다. 누가 뭐라고 하든 간에 택견은 한국의 독특한 고유 무술이다. 우리는 이런 소중한 전통무술을 우리에게 전해준 모든 택견꾼들에게 존경을 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택견 서적을 사실상 최초로 집필한 사람은, 우리나라의 중국무술 보급과 정리에 큰 역할을 했었던 박종관 씨[11]였다. 도기현 회장도 이 분이 최초로 택견 서적을 출간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는 도기현 회장과도 교류가 있었던 모 무예 동호회 운영진 등을 통해서도 확인한 사실이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 책의 사진 해설이 조금 부족하여, 택견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어떤 동작인지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택견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기 한참 이전에, 우리나라의 전통무예 택견에 관심을 갖고, 어떻게든 자료를 남기려 했다는 점은 높이 사야 할 것이다.
  1. 호적에는 1896년이라고 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
  2. 스승으로 모시다.
  3. 두발당성이라고 하는데, 이 기술로 처마에 걸린 경종을 차기도 했다고 한다
  4. 지금의 수박도 협회는 아니다.
  5. 가격은 권당 24만원으로 결코 만만하게 볼 수는 없다. 출판사 홈페이지에서는 17만원으로 팔고 있었지만 그 상품은 없어졌다.
  6. 그래도 결련택견협회가 공개한 옛법에는 이러한 타격기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장태식 선생의 옛법 시연에 나온 손벽치기 등..
  7. 당시 이 책이 발간될 때 결련택견협회 측은 "우리들이 배울 때도 이런 형태로 배우고 기술도 배웠다. 다만 우리는 다른 것보다 구한말의 마을과 마을의 단체전 경기인 결련택견에 중점을 두고 전수를 하고 있으,며 경기에서 쓸 수 없는 기술들은 옛법이라는 형태로 배웠고, 뭉뚱그려서 지도자 과정의 사람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라고 이야기했다고 하며, 또 한풀의 사범을 하던 이는 "도기현 회장은 송덕기 할아버지의 택견 기술들을, 적어도 한풀에서 배운 만큼은 다 알고 있다." 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도 회장 본인이 택견 수련 당시 옛법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이기도 했고, 이에 대해 송덕기에게 많은 것들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8. 이 항목에 있는 사진도 택견 원전에 있던 사진이다(...)
  9. 정확하게는 결련택견. 마을과 마을 간의 경기가 진행되어 사람들이 모이고 이것저것 이야기하다 뜻이 맞게 되면, 일제에 대한 반감이 커지기 때문.
  10. 다만 송덕기에게 택견에 관심을 가지고 최초로 배우던 사람들은 태권도 사범들 대부분이었다. 위에 나와 있는 최초의 제자인 박철희 또한 태권도인으로 태권도 협회 이사를 했던 원로들 중 하나이다. 당시엔 택견을 태권도의 일부로 인식하고 송덕기를 찾아 택견을 진지하게 배웠기 때문. 당시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와 근대화에 대한 인식 차이로 지금 와서 보면 완전히 틀린 생각이었지만 덕분에 태권도계에서 자신 있게 그런 드립을 칠 수 있었던 것이다.
  11. 현재는 중관이란 이름으로 여전히 저술이나 무술 보급 등을 하고 있는 듯하며, 당시 저명한 무술가들과 교류도 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