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피르호

Rudolf_Virchow_NLM3.jpg
루돌프 루트비히 카를 피르호(Rudolf Ludwig Karl Virchow, 1821년 10월 13일 ~ 1902년 9월 5일)

근대 의학의 아버지
의학계의 교황

1 개요

뉴턴 이후 과학적 방법론이 모든 학문을 휩쓸며 큰 영향을 미쳤다. 의학도 예외가 아니었지만, 여전히 의학은 의사들(특히 귀족출신의 엘리트들)의 반발에 의해 형이상학에 치우쳐져 있었다. 그러나 젊은 의사들을 중심으로 과학적 방법론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데카르트의 근대 철학에 영향을 받아, '과학적 근거에 따른 의학' -현재의 의학과 이전 세대의 의학이 가장 큰 차이가 나는- 이 받아들어 졌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피르호라고 할 수 있다.

피르호는 학창시절 데카르트와 근대철학 - 특히 기계론 - 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이에 '세포의 병이 신체를 병들게 한다.' 라고 생각, 세포병리학 연구의 장을 열었다. 이는 피르호의 가장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는데, 세포병리학 연구 이후로 자신은 색전증과 백혈병 연구로 명성을 쌓았고, 후대의 많은 의사와 의학자들이 피르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빛나는 업적들을 이뤄냈다. 실제로 피르호의 위 업적 덕택에 의학은 과거의 형이상학에서 벗어나 '현대의학' 이라 불릴 수 있게 되었으며 드디어 '과학' 이라는 범주에 들 수 있게 되었다. 사실 피르호 사후 1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의학의 패러다임은 그가 창시한 그것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 당장 암의 진단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최종 단계의 확진은 암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생검해 세포병리학적으로 암세포를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그가 의학에 남긴 족적은, 염증의 삼대 임상 소견-발적, 통증, 부종-을 일컫는 '피르호의 삼증상' 등의 명칭에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피르호의 가장 큰 의학적 업적은 세포병리학이지만, 예방의학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 예방의학의 선구자로는 영국의 의사 존 스노우가 있었다. 19세기 초 영국을 강타한 콜레라의 피해를 역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막아낸 인물로, 당시 의학 수준은 높지 않았지만, 명망있는 마취과 의사였던 존 스노우 덕분에 런던 콜레라는 진정될 수 있었다. 피르호 역시 위 사건에 대해 알고 있었고, 공중위생이 질병예방에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아, 공중보건운동을 직접 진두지휘 했다. 덕분에 독일의 공중보건은 진일보 하였으며, 실제로 전염병을 크게 예방하였다. 이는 전염병이 의학적 현상으로만 여겨질 것이 아니라 공공보건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건에 의해 크게 구애받는다는 것을 파악한 피르호의 혜안에 힘입은 바가 컸고, 질병의 사회적 성격이라는 아이디어는 피르호의 정치적 입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 인류학자로서의 피르호

당대 피르호는 의사로서 가장 유명했지만 역시 저명한 인류학자였다. 의학적 지식이 뛰어났던 피르호는 각 유럽의 민족들의 해부학적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각 지방마다, 민족마다 유골들을 비교연구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독일인이 타 인종에 비해 우월하지도 않으며, 순수민족이란 증거가 없다.'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받아 들이지 못한 히틀러는 피르호를 후대에 까내렸다. 이 외에도 1180편의 인류학 논문을 썼으며, 미국 출신의 발굴가 하인리히 슐리만과 더불어 트로이 발굴에 참가하였다. 덕분에 베를린 박물관이 풍족해졌다.

3 정치가로서 피르호

당대 가장 유명한 좌파 정치인이었던 피르호는 군 예산 증액을 항상 반대하였고 대신 공중보건 및 위생 쪽으로 예산 집행을 하려 하였다. 이에 철혈재상으로 유명한 비스마르크와는 정치생활 내내 대립하였다. 군 예산 증액을 언제나처럼 거부한 피르호에게 격노한 비스마르크는 결투신청까지 하였으나, 피르호의 재치로 이는 유야무야 넘어갔다.

피르호는 당대 독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그가 죽자 신문에 '독일은 위대한 인물 4명을 잃었다. 위대한 의사, 위대한 자유주의자, 위대한 인류학자, 위대한 위생학자' 라는 논고가 실렸을 정도였다. 그는 의학을 자연과학의 꽃이자 가장 중요한 사회과학으로 여겼으며 실제로 두 분야 (자연과학으로서의 의학, 사회과학으로서의 의학) 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의사는 가난한 사람들의 대변인이다." 라는 신념 하에 수많은 정책을 실시 하였고, 일생 내내 사치를 하지 않았다.

4 흑역사

독일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암을 잘못 진단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고 결국 이른 죽음을 맞게 한 흑역사가 있다. 프리드리히 3세가 좀 더 오래 재위했다면 그 아들 빌헬름 2세의 온갖 삽질을 조금이나마 늦출 수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도 어쩌면 실제보다 덜 참혹하게 일어났을 수 있다는 점에서 피르호의 오진은 흑역사라고 할수 있겠다. 다만 프리드리히 3세의 암이 당대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종류의 암이었다는 사실, 1차 세계대전과 같은 역사적 대사건이 단지 일국의 군주의 성향에 의해서 좌우될만한 일은 아니라는 것을 감안할 때, 이 부분에서 피르호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지나친 비약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