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노우

1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의사 (John Snow)


John Snow
1813.03.15~1858.06.16

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의사.

역학의 선구자

원래는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로서 효과적인 마취방법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였으며 빅토리아 여왕출산을 직접 보조하기도 했다.[1]

하지만 그는 이것보다 역학의 선구자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는 그가 1854년 런던 소호에서 창궐한 콜레라가 오염된 물을 통해서 퍼졌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밝혀 내어 수많은 목숨을 구한 덕이다. 오늘날에도 역학의 방법론은 그가 한 방법들을 빅데이터와 첨단 기법을 동원해 발전시킨 것일 정도로 역학의 성립에 너무나도 많은 면을 기여했다. 이와 같은 빅데이터 역학은 판데믹(pandemic)[2]의 예방과 치료가 중요해진 현대 사회를 맞아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 2014학년도 서울의대 신입생 선발 면접고사에서도 출제된 바 있을 정도이다. 사실상 200년 뒤에 태어난 우리가 그의 업적에 신세를 지고 있는 셈.

19세기 런던의 상하수도 체제는 대단히 엉망진창이어서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 상수도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했고, 콜레라 등 각종 수인성 전염병이 창궐했었다. 당시 그린 지도. 검은색 막대가 그 주소에서 발생한 사망자의 수를 나타낸다.가운데 넓은 거리가 유행의 중심이었던 브로드가 (Broad Street)이고 한 가운데 펌프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당시 런던에서는 콜레라가 주기적으로 창궐하고 있었다. 1854년 소호의 브로드가를 중심으로 다시 유행이 시작되자 그는 콜레라의 전염 양상을 관찰하고 발병자 및 사망자가 나온 집들을 지도에 표시하기 시작했다. 그랬더니 그 거리의 특정한 펌프를 중심으로 콜레라가 돌고 있다는 규칙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펌프 물을 퍼올려 현미경으로 들여다보아도, 특별한 점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이는 당시 과학 발전 상태가 미약했기 때문인데,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세균이라는 입자가 사람 몸에 들어와 죽음에 이르게한다는 사실이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였다.

그에 더하여, 당시에는 전염병의 원인이 '미아즈마(miasma)'라고 하는 공기 중의 독기라고 설명하는 '미아즈마 설'이라는 사상이 널리 퍼져 있었다. 보통 악취가 나는 하수구나 늪지대와 그 근방에서는 전염병이 잘 돌기 때문에 나온 이론이지만,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병원균들이 원래 습하고 어두운 곳에서 잘 증식하기 때문에 그저 우연의 일치로 맞아떨어진 미개한 이론이었다. 공기를 통해 전염되지 않는 병들은 당장 설명할 수가 없었던 것을 봤을 때도. 그러나 이런 사실들이 밝혀져 있지 않았던 당시에는 사람들이 미아즈마의 패러다임에 갇힌 바람에, 사망자 발생 지점을 통해 펌프를 진원지로 밝혀내고 역학조사를 실시한다는 생각 자체를 떠올리지 못했다.

때문에 존 스노우는 콜레라가 수인성 전염병이라는 사실을 입증시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들여 조사를 해야했다. 낮에는 현역 마취의로 일하고, 밤에는 콜레라의 뒤를 밟는 탐정으로 활동한 것. 윌리엄 파(William Farr)가 조사했던 콜레라 사망자 통계를 기반으로, 사망자가 발생한 집을 일일히 조사해 브로드 가 펌프의 물을 마셨는지 끈질기게 조사했다. 그에 더해, 당시 맛있기로 소문이 났던(..) 펌프물을 타 지역에서 공수해다가 먹은 사람이 똑같은 증상으로 발병했다는 사실도 밝혀내기에 이른다. 이런 자료를 기반으로 발병 이후 7일, 지역 이사회를 설득하여 펌프를 폐쇄하는 대업을 이루게 된다.

이를 대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그만큼 당시 미아즈마 설에 대한 의학계의 신뢰가 극에 달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미아즈마 설은 질병과 도덕, 윤리, 빈부 등을 연결시키는 종교적 색채와도 잘 어울렸기 때문에 사실상 천동설에 맞먹는 각계각층의 지지를 얻고 있었다. 환자들조차도 본인이 앓아누운 방이 오염됐다고 철썩같이 믿고 혼자 틀어박혀 죽음을 맞이하는 와중에, 여왕을 치료한 의사가 (독기설 기준으로) 극히 위험한 빈민가를 휩쓸고 돌아다니며 자료를 조사한다는건 어지간한 사명감과 자신감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였다. 펌프 손잡이를 뽑아버린 건 굳게 자리잡은 잘못된 통념을 과학적 진실로 설득하여 뒤집어버린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

그 이후 스노우의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를 통해 최초 발병자의 집 정화조가 펌프의 저수조와 지하에서 상당히 근접하게 위치했고, 정화조의 벽은 엄청나게 부식된 상태였으며, 둘 사이에 위치하는 토양층이 상당히 오염되어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무엇으로 오염되었는지는 굳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뻔한 상태였다. 최초 발병자의 장에서 나온 세균이 정화조와 토양층을 통과해 펌프의 저수조에 유입되었고, 해당 펌프물을 즐겨먹던 사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감염되어 시체가 되었다는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는 순간이었다.

일부 야사에 따르면 스노우가 직접 해머를 휘둘러서 펌프를 손수 부쉈다는 이야기가 나돌지만 사실무근이다. 이 문제의 펌프는 해당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현재까지도 남아 있고 그 근방에는 존 스노우 기념 호프집(pub)까지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김영사에서 출간한 감염지도라는 책을 읽어보자.

이 사건에 이어서도 스노우는 콜레라의 유행의 원인을 찾는 연구를 계속했고, 오염된 템스강의 하류에서 취수를 하는 수도회사들의 물을 공급 받는 지역에서 콜레라가 더 많이 생긴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템스강이 오염된 이유도 미아즈마설 때문이었는데, 배설물의 나쁜 냄새가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했으므로 배설물의 냄새만 제거하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해 배설물들을 주거지에서 하수도든 퍼세식이든 방법에 관계없이 빼내서 주거지에서 떨어져 있는 템스 강에다 그냥 버렸기 때문이었다.

1858년에 뇌졸중을 일으켜 만 45세의 이른 나이에 안타깝게 사망.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취제 연구를 위해 지속적으로 자기자신의 몸에 실험을 한게 영향이 크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있다.

워낙 업적이 선구적이었기 때문에 권위있는 의학잡지인 Lancet에 당대에 실린 부고에는 마취과의사로서의 면만 서술되어 있었다. 그러나 출생 200주년을 맞아 Lancet은 정정문을 싣고 역학자로서의 업적을 추가했다.

2 영국의 뉴스 진행자 (Jon Snow)

Jon Snow
현재 Channel 4에서 뉴스를 진행한다.

여담으로 이름 철자마저 같은 얼불노 가공 인물을 맡은 실제 배우인 키트 해링턴을 인터뷰한적있다.
  1. 그 때는 마취통증의학과라는 말도 없었다. 그냥 내과의사 (Physician)라고 불렸다.
  2. 세계구급 전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