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3세

Friedrich III

1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역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알브레히트 2세프리드리히 3세막시밀리안 1세

200px-Hans_Burgkmair_d._%C3%84._005.jpg
1415년 9월 21일 ~ 1493년 8월 19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재위 1452~1493)

이후 후손들에게 주걱턱을 물려 줬을것으로 예상되는 옆태이다

오스트리아 에른스트 공작의 아들로, 1424년 부친이 죽자 합스부르크가(家)의 영지인 이너오스트리아 지방을 상속받았다. 1439년 그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최고 서열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으나 재위기간 내내 끊이지 않은 친척들과의 갈등과 귀족들이 일으킨 반란 등으로 시달렸다. 한 때는 보헤미아와 헝가리를 독일귀족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상실하기도 하였으며 정부개혁을 추진할 수 없는 무능력, 친족들과 독일귀족들의 반란이 겹치면서 독일에서의 정사에서 물러나는 등 상당한 시련에 시달려야만 하였다. 그러나 1463년에 분할된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영지가 아들이 막시밀리안의 이름하에 재통합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지반을 만들었고, 1477년에 막시밀리안과 마리 드 부르고뉴와의 결혼을 성사시킴으로서 풍요로운 저지대 지역을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헝가리에게 1485년 빈을 빼앗기는 등 오스트리아 대부분을 빼앗기는 치욕을 당했으나 1490년에서 91년의 사이에 막시밀리안이 헝가리를 격파함으로써 오스트리아를 재탈환하였다.

이탈리아 및 교황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 프리드리히는 1452년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롬바르디아의 왕관을 받았고, 다시 로마에서 교황에 의해 황제로 대관되었다. 그리고 프리드리히는 교황에 의해서 로마에서 황제로 대관된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다. 중세 말의 다른 통치자들 처럼 연금술과 마술, 천문학에 몰두했으며 여러 인문주의자들을 교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은 서적과 귀금속들을 수집하였다. 또한 성지를 순례한(1437) 몇 안되는 군주이기도 하였다.

평화왕이라는 별명이 붙었지만 훌륭한 통치로 국토를 평정해서가 아니라 "한게 없어서" 평화왕이었다. 죽은 뒤 '신성로마제국의 게으름뱅이'라는 경멸이 담긴 별칭이 붙여졌는데,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가장 나쁜 평판을 받은 황제였다. 그러나 무능력한 프리드리히 3세에게도 한 가지 재주가 있었는데 바르 그것은 '오래 사는 것'이었다. 그가 끈덕지게 살아 있는 동안 "신은 적을 죽였다."

먼저 사촌인 알브레히트 2세가 즉위 1년만에 급서하면서 그에게 황제의 자리가 굴러들어 왔다.

그의 조카이자 피후견자였던 알브레히트 2세의 유복자 라디슬라스는 1457년 겨우 17세로 요절했다.

프리드리히 황제의 동생 알브레히트가 형에게 영지 분할 상속을 요구했는데 황제가 거절하자 형을 빈에 연금했다. 프리드리히는 일가를 이끌고 겨우 도망갔는데 1463년 동생 알브레히트가 사망, 프리드리히는 다시 오스트리아의 통치권을 얻었다. 그 자신은 무능한 군주였지만 합스부르크의 모토인 결혼과 자식 낳기 하나만큼은 잘 했기에 최종적인 승자가 된 셈.

A.E.I.O.U 라고 하는 문장을 즐겨 사용했고 여기에 마술적 힘이 있다고 여겨 그 뜻을 누설하지 않았는데 대략 '오스트리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이다' 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비록 그의 당대에는 비웃음을 당했겠지만 결국은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 외에도 신성로마제국의 공식 칭호로 최종 정착된 '독일 국민(민족)의 신성로마제국'이라는 명칭은 프리드리히 3세가 최초로 사용했다고 전해지는데, 1485년 발표한 평화칙령에서 사용했다. 이는 그의 아들 막시밀리안 황제에 의해 1512년 정식으로 채택된다.

36살의 프리드리히는 17살의 철컹철컹 포르투갈의 공주인 엘레오노르와 결혼을 하여 이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는 막시밀리안1세와 이후 바이에른의 공작부인이 되는 쿠니쿤데를 낳게 된다.[1] 결혼 당시 프리드리히는 특사를 파견해서 미래의 신부가 될 엘레오느르의 모습을 미화되지 않은 모습으로 보기를 원하는데 당시 프리드리히가 받아본 엘레오노르의 초상화는 예쁘고 귀여워서 만족스러워 했고 엘레오노르의 오빠인 아폰수5세에게 정식으로 청혼을 하게 된다. 이때의 엘레오노르는 프리드리히와 프랑스의 후계자 중에 남편감을 선택 할 수 있었는데 프리드리히를 선택했다. 그 이유는...."황후"의 타이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였는데 이후로 땅을 치고 후회 했을지도....
재정적으로 넉넉하지 못했던 프리드리히는 아내가 데려온 시종을 모두 돌려보내 아내를 향수병이 시달리게 하고 아내의 지참금을 자기가 홀라당 써버린다. 거기다 아이중 몇몇이 어려서 사망하자 부인에게 "포르투갈 음식을 먹여서 그래! "라고 했다고 한다.이뭐병

이 나쁜남자는 부인은 물론 자녀들과의 감정적인 교류가 거의 없었고 자녀의 양육은 아내인 엘레오노르가 모두 담당을 하게 된다 특히나 아내는 살아남은 아들인 막시밀리안에게 집착적으로 애정을 쏟아 부었다고 한다. [2]

부인이 사망한 이후로 26년을 더 살긴 하는데 재혼을 하지는 않았다. 다리에 생긴 상처가 악화 되어서 다리를 절단하다가 사망을 하게 되는데 무덤에 묻힐때 절단된 다리를 함께 넣어줬다.

2 독일 제2제국의 황제

프로이센의 역대 국왕/독일 제국의 역대 황제
빌헬름 1세프리드리히 3세빌헬름 2세

210px-Friedrich_III_as_Kronprinz_-_in_GdK_uniform_by_Heinrich_von_Angeli_1874.jpg

프로이센 국왕 겸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1세 - 프리드리히 3세 - 빌헬름 2세(독일 제국)

생애 1831년 10월 18일 ~ 1888년 6월 15일
재위 1888년 3월 9일 ~ 1888년 6월 15일

빌헬름 1세의 외아들.

이미 프로이센 시기부터 군대에 들어가서 제2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큰 공로를 세운 인물이었다.[3] 아버지가 프로이센 왕위에 즉위할 때에 이미 27세였다. 이후 독일 제2제국의 선포 등을 지켜보다가 아버지가 91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57세에 제위를 계승하였다. 독일 제국의 황태자가 된지 17년만의 일이었다(프로이센 왕세자 시절부터로는 27년).

왕세자가 되고나선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맏이인 빅토리아 아델레이드 메리 루이즈 공주[4]와 결혼하였는데, 빅토리아 여왕의 부군 앨버트 공의 뜻이 컸다.[5] 10살 차이로(결혼 당시 28세-18세) 나이 차는 났지만 아주 금슬이 좋았으며 이는 그의 자유주의 성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대립했으며, 집권 이후 자유주의 정책을 펴려고 했고[6] 많은 이들도 그렇게 기대했다.

하지만 99일만에 후두으로 급서(...). 어이없게 세상을 떠났다. 독일인 의사들은 이미 재위에 오르기 전인 1887년에 정확하게 진단했으나, 5월에 독일에 도착한 영국의 유명한 의사인 매켄지가 세포병리학의 시조인 루돌프 피르호의 생검 견해를 바탕으로 단순한 인후염일 뿐 암종이 아니므로 수술이 필요 없다고 주장하였다[7]. 그 결과 예정된 수술은 취소되었고, 다음 해 2월에 수술이 집행되었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

여하간에 병자인 상태에서 재위는 올랐으나, 6월에 사망하였고 제위는 아들 빌헬름 2세가 대신했다. 덕분에 1888년은 '세 황제의 해'라는 별명이 붙었다. 특히 빅토리아 아델레이드 메리 루이즈 황후가 영국 의사의 말을 믿고 수술을 미루자고 했는데, 그 당시 의학은 독일이 더 앞서 있었고, 결과도 보듯이 치명적이었던터라 "영국 여자가 남편 잡아먹었다!!" 라고 까였다. 다만 현재 의사들도, 그 당시 증상이면 발견이 늦어서 빨리 수술을 했어도 그 당시 의술로는 호전은 기대하기 어려웠다고 추측한다.

오랜 기다림 끝에 제위에 올랐으나 허무하게 사망한 탓에 여러가지로 역사학자들의 대체역사 떡밥이 무성한 황제다.[8] 한쪽에서는 프리드리히 3세가 조금만 오래 살았거나 일찍 즉위했더라면 독일 제국은 자유주의 국가가 되어 제1차 세계대전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한 편에서는 그는 아버지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반기를 들지 않았다면서 그가 과대평가되었다고 주장한다.

해석은 알아서. 예컨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자유주의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긴 했지만, 황가의 위엄에 강한 집착을 갖고 있었으며 강한 중앙정부를 선호하고 여타 독일계 소국들의 군주들에게 압력을 가하는 면에 있어서는 비스마르크를 능가할 정도였다고 말하고 있다.
  1. 총 3남2녀의 자녀를 낳았는데, 3명은 어려서 사망
  2. 당시의 모든 남자들이 비슷했을거 같긴 하지만 특히 프리드리히는 더더욱 무뚝뚝 했던것 같다
  3. 정확히는 참모장인 레온하르트 폰 블뤼멘탈의 능력이었다.
  4. 일명 '비키'라 불렸다.
  5. 독일의 소왕국 제후 가문 작센-바이마르-고타 출신으로, 독일이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통일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친프로이센 성향이었다.
  6. 대표적인 것이 황제만이 총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헌법의 조항을 제국의회도 총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바꾸고자 했던 일이었다. 즉, 독일의 군주 독재식 내각을 영국식의 더 민주적인 내각으로 개혁하고자 했던 것인데, 프리드리히의 의도대로 이루어 졌다면 아들인 빌헬름 2세의 경솔한 행동으로 일어난 사태들이 상당히 완화되었을 것이다.
  7. 비스마르크의 군비확장에 반대하다 결투 직전까지 갔던 그 루돌프 피르호(1821~1902) 맞다. 진보적 성향의 정치인으로서도 나름 성공적인 커리어를 가졌지만 본업인 의학, 특히 근대적인 병리학의 사실상의 창시자로서의 그의 업적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매킨지는 황제의 인후를 수차례 생검해 당시 병리학의 최고 권위자였던 비르호에게 판독을 맞겼는데, 그때마다 피르호는 이를 악성 종양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황제가 사망한 뒤 부검을 맡은 피르호는 악성 종양이 맞았다고 말을 바꾼다(...) 다만 이는 비르호가 무능한 의사여서 그랬다기 보다는 황제의 암이 당대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사마귀모양 암종(verrucous carcinoma)이었기 때문.
  8. 한국으로 치면 조선 문종 대왕의 좀더 안습한 케이스라고 하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