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신고등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목록
서울
경기강원인천세종
충남충북대전대구
경남경북부산울산
전남전북광주제주
경상남도 진주시 고등학교
경남과학고등학교경남예술고등학교경남자동차고등학교경남정보고등학교경남체육고등학교
경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경진고등학교경해여자고등학교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대곡고등학교
대아고등학교진주동명고등학교명신고등학교선명여자고등학교제일여자고등학교
진주중앙고등학교진서고등학교진양고등학교진주고등학교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진주외국어고등학교

a58cb39b57578656631fcd1d71d1925f07ccbb1a2ba1aca8_0.jpg

굴림체 으악!

파일:ZkKJ1mX.jpg
2005년 당시 본관 야경 사진
파일:JnxtQzU.jpg
파일:QDhxlZI.jpg
2005년 1월 당시 학교 운동장 및 3학년 건물
10년도 더 된 사진을 올려 죄송합니다 허허
농구장 포장했고 철창 설치됐고 급식소 공사중

logo.png
교명명신고등학교
한자明新高等學校
개교1984년 3월 2일
유형인문계 고등학교
성별남자[1]
운영형태사립->공립
소재지경상남도 진주시
홈페이지

1 개요

경상남도 진주시에 초전동에 위치한 공립 남자고등학교이다.
현 주소는 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 1225-1(진주시 대신로 614)

2 특징

1980년 5월 15일 학교법인 설립
1983년 김장하 이사장이 학교법인 '남성학숙'을 설립승인 이후
1984년 3월 1일 명신고등학교 개교 및 입학식 거행
1991년 9월 1일 이사장이 남성학숙을 국가에 헌납해 사립고등학교에서 공립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과학중점학교로 선정되었으나 2016졸업생으로 끝. 과학중점이 끝난것은 아쉽지만 그동안 지원이 좋아서 과학실 상태는 옆학교랑 천지차이다.

3 연혁

1980.05.15학교법인 石隱學園 설립
1983.04.19학교 설립 승인 (18학급)
1983.08.11법인 새 이사진 구성(金章河 이사장 취임)
1983.12.08학급 증설 인가(24학급)
1983.12.23학교 법인 명칭 변경(石隱學園을 南星學塾으로 변경)
1984.03.01초대 강극영(姜極瑩) 교장 취임
1986.11.07학급 증설 인가(30학급)
1987.02.14제1회 졸업식(졸업생 455명)
1988.03.01제2대 강춘득(姜春得) 교장 취임
1989.12.22도서관(明新圖書館) 및 체육관(靑雄館) 준공
1991.08.17金章河 이사장 명신고등학교 국가 기증 선언
1991.09.01명신고등학교를 公立으로 전환(金章河 이사장 南星學塾 전재산 국가 기증)
1994.03.01제4대 박삼봉(朴三奉) 교장 취임
1997.09.01제5대 정현증(鄭鉉增) 교장 취임
1999.09.01제6대 이용성(李瑢星) 교장 취임
2000.02.11제14회 졸업식(졸업생 469명, 졸업생 누계 7,013명)
2000.09.01제7대 고영진(高永珍) 교장 취임
2002.03.01제8대 이종현(李鍾賢) 교장 취임
2002.03.01학급 증설 인가(남학생 38학급)
2002.06.11별관 교사 신축 공사 준공(보통 교실 16실)
2003.03.01제9대 정차근(鄭次根) 교장 취임
2004.03.012004.학급 인가(12-12-13, 37학급)
2004.09.01제10대 박기복(朴起福) 교장 취임
2005.03.012005.학급 인가(10-12-12, 34학급)
2006.03.012006.학급 인가(10-10-12, 32학급)
2006.03.01제11대 박춘효(朴春孝) 교장 취임
2007.03.012007.학급 인가(11-10-10, 31학급)
2007.03.03제23회 입학식(신입생 431명)
2007.09.01제12대 이인수(李仁秀) 교장 취임
2008.03.012008.학급 인가(10-11-10, 31학급)
2008.03.03입학식(신입생 10학급, 393명)
2009.03.03입학식(신입생 10학급, 399명)
2010.02.09제24회 졸업식(졸업생 424명, 졸업생 누계 11,175명)
2010.03.02입학식(신입생 10학급, 388명)
2010.09.01제13대 김성호(金聖昊) 교장 취임
2011.03.03입학식(신입생 10학급, 379명)
2012.09.01제14대 김학수(金學洙) 교장 취임
2013.03.04입학식(신입생 10학급, 369명)
2014.03.03입학식(신입생 10학급, 340명)
2015.02.12제29회 졸업식(졸업생 377명, 졸업생 누계 13,072명)
2015.03.01제15대 안명영(安明榮) 교장 취임
2015.03.02입학식(신입생 10학급, 336명)
2016.03.02입학식(신입생 10학급, 331명)

4 학교 소개

4.1 상징

4.1.1 교목

01.gif

교문앞에 심어져있다.
cabcahafbhfgfifaf_0.jpg
예전 정문앞 도로확장공사하기 전에는 은행나무가 심겨져 있었다.[2]

4.1.2 교화

02.gif

4.1.3 교기

03.gif

지역 중학교에서 아주 뛰어난 검도선수는 광역시로 빠지고 나머지 선수들이 모인다.

4.2 교가

04.gif
후렴구의 명신 명신을 병신 병신으로 바꿔부르는 명신병신인들이 많다

교가는 다음 링크를 통해 들을수 있다.

명신고 교가 mp3

5 학교 시설

본관과 별관, 도서관, 다목적강당+급식소[3]로 구성되어있다.

건물을 자세히 보면 본관1층짓고 별관을 지은후 본관을 4층으로 높히는 공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5.1 본관

현재 4층건물이며 한층에 교실이 10개 들어있다. 양 끝에 계단이 있으며 특이하게 층과 층사이에 특별실이 배치되어있다. 즉 양끝 계단 반지하, 1층2층사이, 2층3층사이, 3층4층사이, 4층옥상사이에 하나씩 10개의 특별실이 있다.
3층에 2학년교실, 4층에 1학년 교실이 있다.
1층은 교장실, 수학전용실(3개), 보건실, 체력 단련실[4]이 있다.
2층은 교무실, 수준별교실(2개), 교사휴게실(2개)가 있다.
특별실은 총 10개로, 다목적관2개, 과학실(물,화,생,지), 영어전용실, 미술실, 컴퓨터실, 음악실 이 있다.

5.2 별관

수능을 대비하는 고3을 격리수용하는 곳이다...

5.3 도서관

도서관 건물인데 도서관이 차지하는 면적은 20프로도 안된다. 1층에는 독서실(심화반)이 2개(1,2학년) 있으며 2층에는 도서관과 역사관, 3층에는 자습실이있다.

5.3.1 역사관

개교 이래 명신의 모습을 하나하나 담아서 전시해놓았다.

5.4 다목적강당

평상시에 체육관으로 쓰인다. 좌우후방에 스탠드가 있다.
내부에 농구대가 설치되어있는데, 사용 안할시에는 접어서 강당 천장에 매달수 있다.

5.5 급식소

2015년 후반기에 확장공사를 시작해서 2016년부터 급식이 재개되었다.

5.6 운동장

모래다. 축구골대가 설치되어있으며 철봉이 있다. 그리고 족구장이 있다.

5.6.1 족구장

울타리를 세워놨다. 안에는 네트가 2개 설치되어있다.

5.7 농구장

농구장은 고무로 포장되어있다. 농구골대 6개가 설치되어있다.

5.8 매점

매점건물 1층에는 매점과 검도부숙소가 있다. 2층에는 진로실이 있다.
현재 매점은 매점동아리에서 자치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학생증에 체크카드 기능을 포함시켜서 현금을 안받으려고 하고 있다.

5.9 별관 주변

씨름장과 족구장이 있다.

6 학교 생활

컷트라인이 100%에 육박하기 때문에... 옛날에는 50%대였는데??? 최상위권에서 최하위권 학생들의 모습을 한군데에서 다 볼수 있다. 독서실에 SNU 라고 적어놓고 공부하는학생, 일본문물에 빠진녀석들, 폐품으로 살인병기를 만드는 녀석들... 흡연자.... 양아치...
7교시까지 정규수업을 하고 8,9교시(겨울에는8교시만) 보충수업을 한다. 학기초에 전부 다 시키다가 빠지는 훌륭한 친구들 덕분에 자유희망으로 바뀌었다.
야자는 희망자만 한다. 희망자중 성적순[5]으로 1,2학년 30명을 뽑아서 자습실에서 자습을 시키고 나머지 1학년은 도서관 열람실, 2학년은 교실에서 한다. 아 물론 300명중 100명이 신청해서 10명이 남아있는 기엄을 보일때가 많다.[6]
방학 보충도 역시 실시한다. 물론 한반에 신청자가 열명 이상이면 많은거다. 그리고 심화반과 신청자들을 모아서 자습을 시키는데 2015년 겨울방학 기준 방학 급식이 안된다.....
교문을 나오면 버스 정류장 쪽에 작은 컨테이너 매점이 있는데 불량식품을 판다. 근처에 음식 파는 곳이라고는 편의점, 빵집, 작은 피잣집이 끝이다. 교문앞에 아파트가 3천세대정도 있는데 자주 민원이 들어오는 편이다. 교복입고 담배핀다고..

일부 학생들의 경우 새로생긴 웨이닝에서 커피를 사먹기도한다. 명신고 없었으면 웨이닝 커피는 망했을 것으로 추정될 정도.,

급식 대체품목으로 과거 영출이라는 걸출한 중국집이 있었으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편의점으로 대체되었다.

6.1 그래도 과거는 화려했다

80년대에는 서울대를 연간 20~30명씩 보냈었다. 그후 평준화가 너무 심하게 이루어 진 것이다...

6.2 교복

1983년에 학교가 처음 개교했을때 부터 교복이 없었으며 80년대에 대다수의 고등학교에 교복이 생길때도 교복이 없는 학교였으며 최근(2013년)까지 교복이 없었다.
설립자(김장하)가 매년 신입생 입학식때마다 말하길 명신고등학교에는 1200가지의 교복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교복이 없다는 점에 애착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전국에서 손가락 안에 꼽는 교복이 없는 학교로서 창의성을 중시하는 학교로 생기부에 멋지게 적을수 있었다.
이는 다른 고등학교와 비교했을때 명신고만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교복 문제는 항상 신입생이 입학할 때마다 문제제기가 되었으며 결국 2013학년도 신입생 부터 교복이 생기고 말았다.

남녀공학 디자인을 골라서 남성용만 사용하고 있으며 동복바지가 유독 얇다. 아니 춘추복 바지만 있고 동복바지가 없다고 보는게 맞다.


cabcahafbhfecjhjc_0.jpg
당시 학교 교복이 없던 시절 강당 행사. 축제때 여고생들 오면 흡사 남녀공학이겠네
어떻게 알았지?

7 축제

진주시내에서 제일 큰 축제를 자랑한다. 이름은 밝음 새롬제. 축제날에는 명신고 학생들이 관람할 자리가 없다. 다 여고생으로 가득찬다.

그 이유는 남고의 흔한 축제 덕분이다.

첫째날은 전시를 하고 둘째날은 체험부스와 공연을 한다. 실상은 첫날에 부스운영자들은 부스준비하고 나머지들은 교실에서 영화를 보고 있다.

여담으로 축제날 미술부에서 그림과 건담 및 밀리터리 프라모델류를 전시하는 풍속이 있었으나 프라모델 전시는 교복 도입과 함께 사라졌다.[7]

8 기타

디시인사이드에 명신고 마이너 갤러리가 있다. #
  1. 중학교에 입시홍보하러 올때 젊고 예쁜 여자선생님들이 많다고 홍보한다.
  2. 다른 곳으로 옮겨 심을 수 있었다고 하는데 당시 교장이 이 은행나무들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아서 그냥 베어냈다는 모양이다.
  3. 붙어있다.
  4. 헬스부의 본거지
  5. 내신과 모의고사를 같이 반영하는데 비율은 오리무중...
  6. 2학년 되면 자습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긴 한다.
  7. 2015년 축제 때는 비스마르크(전함)등 몇가지 프라모델과 미술부가 아닌 학생이 지원해준 전차 프라모델들을 전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