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色禪師. <의천도룡기>의 등장인물. 소림사의 승려로 나한당(羅漢堂)의 수좌.
지금은 몇십년간 불문에 몸을 담아 정통한 고승이 되었으나, 청년 시절에는 한때 녹림에 가담한 적도 있었기 때문에 호연지기가 있어 양과와도 절친하게 되었다고 한다. <신조협려>에서는 양과의 부탁을 받아, 곽양의 생일선물로서 다른 여러 고수들과 함께 몽골군의 군량과 마초를 불태워 없애고 화약고를 폭파하는 일에 가담했다. 또 곽양에게 철나한 상을 인편으로 전해주었다. 다만 신조협려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않는다.
나한당 자체가 소림사의 명성에 도전하는 외래 고수들을 접대하는 처소인 만큼, 그 수좌인 무색선사의 무공 또한 소림사에서 손꼽을 만큼 고강하다. 무색선사 역시 젊은 날의 호연지기를 간직하고 있어 은근히 승부심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 무림 각 파의 무공을 철저히 연구하여 견문이 출중하다. 소림사에서 각원대사가 벌을 받고 있는 것을 보고 승려들과 시비가 붙은 곽양에게 십 초를 겨루는 동안 사문의 내력을 알아맞추겠다고 내기를 건 것도 이런 견문에 자신감이 있기 때문. 그런데 곽양이 당대의 초일류 고수들로부터 주워배운 다종다양한 무공을 수박 겉핥기로나마 구사하고 마지막엔 다름아닌 소림권으로 덤벼드는 바람에 그 드넓은 견문으로도 곽양의 내력을 짐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누가 소동사 아니랄까봐. 결국 곽양이 떨어뜨린 철나한상을 보고 그녀의 신분을 알아맞춘 다음 시비를 그치게 된다.
- 장군보가 나한권으로 하족도를 물리쳤을 때, 규율을 어긴 것을 변호하기도 했다. 각원대사가 장군보와 곽양을 데리고 도망치자, 그들이 걱정되에 뒤를 쫓아왔다가 각원대사가 원적하는 자리에 참석하여 구양진경을 일부 듣게 된다. 각원대사에게 계송을 읊어주고 소림사로 돌아왔다. 원래 낡은 계율에 얽메어서 공을 세운 장군보를 몰아세우는 것을 좋게 보지 않았으므로, 소림사에서는 장군보가 도망칠 수 있도록 제자들을 엉뚱한 방향으로 보내서 찾게 하는 식으로 장군보를 도와주었다.
- ↑ 곽양의 경우 다양한 무학을 일신에 익혔기에 아미구양공을 정묘한 형태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무림의 각종 무공에 통달한 무색선사가 곽양보다 견문이 낮은 것은 아니나, 본인은 순수한 소림 무공만을 철저히 숙달하여 구사하는 고수였기 때문에 자연히 소림신공의 단순하면서도 강맹한 장점을 심화시키게 된 것. 곽양의 경우 낭송을 들을 당시 무공의 수위가 깊지 않기도 했지만 타구봉법, 공명권 등 무색선사조차 몰라볼 희귀한 무학을 다수 알아둔 상태였으므로 자연스럽게 아미구양공이 정묘하고 다양한 발전을 이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