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용두산 대화재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65x368px

전쟁이 끝난 뒤인 1954년 12월 26일 아침 6시 20분쯤 발생한 대화재.더불어 역덕후들이 발버둥칠만한 사건.

1 개요

1953년 7월 27일 전쟁이 끝나고 대한민국의 수도가 부산에서 다시 서울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부산에는 전쟁을 피하려 몰려든 피난민들로 가득 찬 상태였다. 당연히 주택난도 심각해져서 피난민들은 서로 다닥다닥 붙어있는 가건물에서 살았다. 문제는 이런 상태는 상대적으로 불에 취약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대단히 컸었으나, 피난민들은 어쩔 수가 없었다. 1954년 12월 10일 새벽 3시 57분에는 부산시 동광동의 고물상 윤모씨 집에서 화재가 난 적이 있는데 당연히 다닥다닥 붙어있는 판자집의 특성상 불이 삽시간에 번졌고 판자집 1000호와 동광국민학교(초등학교)가 전소되는 등 큰 피해가 있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불에 타던 장소는 높은 곳에 위치한 지대였으므로 불을 끌 물이 나오지 않아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불길을 막을 수 없었다> 라는 기사가 있어 그야말로 그 당시 이 지대에서는 화재가 발생해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상태였다. 그리고 결국 16일 뒤인 12월 26일에는 비슷한 지대인 광복동과 동광동 일대인 용두산에서 또 다시 화재가 발생해 그나마 남아있던 판자집들이 다 잿더미로 변해버렸다. 하지만 이 화재가 왜 충격적인 사건이었는지는 다른 연유가 있었다.

2 상세

1950년 6.25 전쟁이 터진 뒤 대한민국이 서울을 수복하자마자 안전 하에 궁중유물들을 당시 임시수도였던 부산에 황급히 이송시킨 적이 있었다. 이 궁중유물들은 부산까지 내려와서 어느 한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이 창고가 바로 관재청 창고였다. 이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던 유물들은 총 4000여점이었고 궁중일기, 조선왕들의 어진, 왕실유물, 역대재상을 그린 초상화, 어필, 많은 서적과 은제기 등이었다. 이 국보급 유물들은 전시에 한 번도 폭격당하지 않았고 1950년~1954년에 발생했던 크고 작은 화재에도 무사하였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고도 창고 안에 있는 유물들은 즉각 서울로 옮겨지지 않았고 그 안에서 1년을 보내었다. 허나 위에 서술한대로 이 유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 인근은 화재에 취약한 판자촌들이 몰려있는 곳이라서 당장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야 했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1년동안 이러한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결국 화재 발생 두어달 전에 문화교육부가 국립박물관장에게 공문첩을 보내 국보보존에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하여 대책을 요청했지만 씹혔다..이 뭐병 전형적인 안전불감증 이리하여 유물들을 안전지대로 옮길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허무하게 날아가 버렸고 그로부터 두 달이 지나고 12월 26일 아침 6시 20분... 화재가 발생했다.

3 대화재

동아일보에 따르면 1954년 12월 26일 아침 6시 20분, 전기공사청부업자 정수홍(33)의 집 식모 안순자(22)라는 여자가 판자집 2층 마룻바닥에 촛불을 켜둔 채로 잠자고 있을 때 촛불이 마룻바닥으로 그만 떨어져 불길이 일어났다. 하필 그 때는 겨울이었으므로 이때 부는 계절풍인 서북풍이 강하게 불어서 불은 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번졌다. 거칠 것 없이 태우던 불길은 용두산 동남쪽 일대의 피난민촌 298동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 화재로 인해 142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397만 4천환이라는 피해금액이 나왔고 이 화재의 범인인 안순자는 구속되었다. 그런데...

경향신문1954년 12월 31일자에 따르면 화재로 판자집들뿐만이 아니라 창고까지 소실돼 고전악보, 악기 등이 없어졌으며 구황실재산관리총국하에 보관되어 있었던 어진과 같은 귀한 문화재들이 소실되었다고 전했다. 그리고 진상조사를 위해 부산으로 내려갔고 1955년 1월 6일에 조사결과 유물 4000여점 중 무려 3500점이 소실되고 반만 타거나 재활용이 가능한 유물 546점을 겨우 빼내 광복동에 있는 국립박물관 창고에 보관했고 현재 남은 유물들은 영조와 철종의 어진과 덧불여 34점의 역대 재상 초상화, 그리고 어필과 제기만이 남았을 뿐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보도했다. 그런데 경향신문이 밝힌 당시 화재상황에 따르면 창고에는 평소 경찰관들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서술되어 있다. 화재 발생 20분만에 창고지붕에 불이 옮겨붙었는데 화재도 화재지만 더 가관이었던 것은 이 때 창고의 열쇠가 없어서 창고가 불타는 것을 지켜봤다... 그리고 문교부와 구황실에서는 서로 상대방이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고 책임을 떠넘기는 행동도 신문에 그대로 기사화 되었다. 종합하자면 문화재를 귀중히 여길 줄 몰라 생긴 참사였다.

더하여 화재로 소실된 3500여점의 유물들은 어떤 유물들 이었는지 알 길이 없다. 그 이유는 이 유물들을 적어둔 서류가 1960년 6월 6일 창덕궁 청사 누전사고로 소실되버렸기 때문이다. 현재 역사학자와 학생들이 보면 매우 한탄할 일이다.

4 결과

이 화재로 현재까지 남은 건 왕의 어필과 초상화, 은제기, 공신들의 초상화 등이다. 46축의 어진 중 소실된 어진만 35축이었다. 그나마 불길에서 구해낸 11축 중 복원이 쉬운 세축은 태조, 영조, 그리고 철종의 어진이었다. 이것들은 성공적으로 복원되었다. 그러나 순종과 정원군의 어진은 얼굴이 남아있지만 누군지 알 수 없었으므로 오랜 시간에 걸쳐 복원되었다. 최근에 순종의 어진을 복원하였다. 복원이 불가능한 어진은 2축인데, 바로 순조의 어진과 문조(효명세자)의 어진이다. 얼굴이 불에 타버려 복원이 불가능하게 된 상황이다. 게다가 공신들의 초상화들은 표제의 대부분이 타버려서 강세황을 제외하고는 누구인지 분간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