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어

1 개요

우랄어족에 속하며, 스칸디나비아 북부와 러시아 무르만스크콜라 반도 일대에 사는 사미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 지역별로 말이 아예 안 통할 정도로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여러 개로 나누어지지만, 워낙 북부 사미어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이쪽을 그냥 사미어라고 하기도 한다.

현재 노르웨이(네세뷔·라방엔·스노사·카라쇼크·카우토케이노·코피오르·타나·튀스피오르·포르상에르), 스웨덴(아리에플로그·옐리바레·요크모크·키루나), 핀란드(에논테키외·이나리·소단퀼래·우츠요키) 북부의 몇몇 지역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2 서부 사미어

2.1 남부 사미어

Åarjelsaemien gïele.
노르웨이 중부의 스노사(Snåsa)와 하트피엘달(Hattfjelldal) 지역을 중심으로 쓰인다. 화자수는 600여 명. 사미어가 대부분 영어처럼 SVO 어순을 띄는 반면 남부 사미어는 SOV 어순을 띈다.

2.2 우메 사미어

Ubmejensámien giella.
스웨덴 북부의 우메 강 유역에서 쓰인다. 화자 수는 20명 정도로 매우 적은 편. 사미어 중에서는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된 언어이지만 지금은 언어 사용자 수도 매우 적고 표준화된 표기법도 없는 상황이다.

2.3 피테 사미어

Bidumsámegiella.
스웨덴 북부의 피테 강 유역에서 쓰인다. 화자 수는 우메 사미어처럼 역시 20명 정도로 역시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역시 공식적인 표기법도 없다.

2.4 룰레 사미어

Julevsámegiella.
스웨덴 북부의 룰레 강 유역과 노르웨이의 노를란드 지역에서 쓰이며, 노르웨이의 튀스피오르(Tysfjord)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사용자 수는 2,000명 정도로 사미어 중에서는 많은 편.

2.5 북부 사미어

Davvisámegiella.
노르웨이스웨덴, 핀란드 북부에서 쓰이며 사용자는 2만여 명으로 사미어 중에서 가장 많고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북부 사미어로 된 노래인 소피아 야녹의 <Áššogáttis>.

3 동부 사미어

3.1 이나리 사미어

Anarâškielâ
핀란드 북부 이나리 호 주변에서 쓰이며 사용자는 300여 명이다.

3.2 케미 사미어

핀란드 동부 쿠사모(Kuusamo) 일대에서 쓰였던 사미어. 1900년경에 사멸했다.

3.3 스콜트 사미어

Sääˊmǩiõll.
핀란드 북부와 러시아 무르만스크 주 서부에서 쓰이며 사용자 수는 400명 정도이며 거의 핀란드에 분포하고 있다. 사용자 수는 사미어 중에선 많은 편이지만 꽤 넓은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사멸 위기에 놓여 있는 언어이다. 철자법이 다른 사미어에 비해 복잡한 편이다.

3.4 아칼라 사미어

러시아 콜라 반도의 아켈(A´kkel)과 추크수알(Ču´kksuâl) 마을에서 쓰였던 사미어. 2003년 아칼라 사미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었던 마지막 사람인 마리야 세르기나가 사망하면서 사어가 되었다.

3.5 킬딘 사미어

Кӣллт са̄мь кӣлл.
러시아 콜라 반도의 로보제로(Ловозеро) 호수 일대에서 쓰이는 사미어로 사용자는 500여 명이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툰드라를 뜻하는 말이 킬딘 사미어로 나무가 없는 평지를 가리키는 '툰다르'(tūndâr)의 속격 형태인 '툰드라'(tūndra)에서 왔다.

3.6 테르 사미어

Saa´mekiill.
러시아 콜라 반도 동쪽에서 쓰이며 사미어 중에서는 가장 동쪽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19세기까지 수백여 명의 사용자가 있었으나 소련 때 군사 기지를 지으면서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사미어 사용을 금지시키는 등의 일을 거치면서 화자수는 2010년 기준으로 2명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