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왜란

1 개요

1510년(중종 5년) 부산포, 염포, 내이포 등 삼포에서 일본인들에 인해 발생한 폭동. 흔히 임진왜란이나 당시 잦았던 왜구의 침입 등으로 인해 이 사건 역시 대중적으로는 '못된 일본놈들의 폭동'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실상은 좀더 복잡한, 상호간의 갈등과 증오가 맞물려 폭발한 사건이었다.

2 배경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등의 문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조선 건국 당시 왜구들의 난동은 조선과 명, 그리고 심지어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까지 골치를 썩이게 하는 요소였다[1]. 조선 초까지도 왜구들이 기승을 부리자, 상왕으로 물러나 있던 태종[2]은 1419년(세종 1년) 이종무로 하여금 대마도를 공격할 것을 명한다. 조선은 대마도를 정벌하는 강경책으로 대마도와 왜구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한편 부산포, 염포, 내이포 등 3포를 개항하고 왜관을 두어 일본인들이 무역을 하거나 상업 활동을 하도록 하는 유화책도 병행하였고, 그 결과 왜구들의 수는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왜구의 준동 때문에 조선인들의 일본인에 대한 인식은 "일본인=해적놈=천하의 개쌍놈들" 이었고, 실제로도 당시 조선을 찾는 일본인들 중에는 행실이 불량하거나 밀수를 위해 들어오는 범죄자들이 상당히 섞여 있었다. 즉, 조선 영내에 일본인들의 거주구역이 들어서게 되면 갈등이 심화될 것은 뻔한 일이었다. 초기에는 일본인들의 숫자를 약 60명 정도로 제한했으나, 점차 무역이 성행하자 자연히 왜관의 일본인 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었고, 급기야 세종 말년에는 2000명에 육박하게 되었는데, 이 때 조선 조정에서는 교린 정책의 하나로 이들에게 면세 등 다양한 혜택을 주었다. 하지만,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조정의 분위기는 일변했고, 이들 왜관에게도 강경책을 쓰기 시작하며 혜택들을 하나씩 줄여 나가게 되었다. 당연히 왜관의 일본인들은 부당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는데, 여기에 더불어 이런 국가적 분위기가 일본인들을 압박하고 엄하게 다루는 방침으로 흘러가자, 원래부터 일본인을 멸시하던 사회적 분위기와 합쳐져 일본인들에 대한 다양한 차별과 학대가 나타나게 되었다.[3] 결국 이러한 상황에서 대마도주의 지원 하에 폭동이 일어나게 된다.

3 전개

왜인들은 4000~5000명 정도의 사람들을 모아 각지에 불을 지르고 난동을 피웠다. 이러한 상황에 부산포, 제포 등이 함락당하였고, 부산포 첨사 등이 살해당하는[4] 등 피해도 컸다. 상황이 악화되자 조정에서는 급히 군사를 모아서 폭동을 진압하게 되었지만, 300명 가까이 민간인들이 죽어나갔고, 재산 피해는 이보다 훨씬 심하였다. 일본인들도 300명이 죽는 피해를 입었다.

4 결과

이후 1512년 대마도주가 폭동의 주모자의 머리를 바치는 등 노력을 기울이자 지원한 쪽이 누구더라? 조정에서는 임신약조를 맺는다.[5]
  1. 왜구들은 일본 정규군이 아닌, 해적 비스무리한 집단이였기 때문에 일본에도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일본 전국시대에도 상당히 많아서 일부 다이묘들은 왜구를 매수해서 전력에 보강하기도 했다
  2. 하지만 병권 등은 태종이 가지고 있었고, 특히 대마도 정벌은 태종이 거의 단독으로 한 일이다.
  3. 가장 악명 높았던 사례는 부산포 첨사였던 이우증의 행각인데, 일본인을 붙잡아 머리카락에 노끈을 묶어 천장에 매달고 그 노끈을 활로 쏘아 떨어뜨리며 공포에 떠는 일본인을 보고 즐거워하는 식의 놀이를 즐겼다. 문제는 이것을 본 주위의 조선 군인들이 말리기는 커녕, 칭찬하고 좋아하며 따라하여 전 군영에 번질 수준이었다는 것.
  4. 그냥 살해가 아닌 아주 난도질을 했다고 한다.
  5. 삼포거주 불하,세시미두,세견선 반으로 축소,내이포만 개방,내이포로 오는 직로 외 왜인은 왜적 간주